
유틸정보
메뉴 목록
미니인터뷰
136 건
-
- (86)토비아스 브램벡(Tobias BREMBECK)
- [2019-01-01] 변지수 [1141]
- 토비아스 브램벡 뒤셀도르프에서 거주하며 활동하는 작가 토비아스 브램벡과 인터뷰를 가졌다. 작가는 2018년 9월부터 12월까지 대전테미예술창작센터 레지던시에 참여하였다. Q. 이전에는 레지던...
-
- (85)리처드 윗비(Richard WHITBY)
- [2018-12-02] 이진한 [847]
- 리처드 윗비 Q. 간략하게 작업을 소개해달라.A. 기억이 왜곡돼 생경한 말을 하는 치매 환자의 이야기에도 실제 경험에서 비롯된 근거, 이야기의 중심, 방향이 존재한다고 믿는다. 이처럼 역사와 기억, 실...
-
- (84)알렉시 하예르(Alexis HAYÈRE)
- [2018-12-01] 이은화 [797]
- 알렉시 하예르 Q. 공간 안에서의 형태에 관한 작업을 하게 된 계기는?A. 처음에는 페인팅 작업을 했었는데, 공간을 일종의 매체로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현재의 조각적 오브제로 변화하게 되었다. 작업은 ...
-
- (83)마틴 파이플레(Martin PFEIFLE)
- [2018-10-01] 변지수 [881]
- 마틴 파이플레 Q. 2000년부터 공공장소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는 설치작업을 해 오고 있는데 그 계기는?A. 장소 특정적 작업은 대학 시절에 시작하게 되었다. 빈집 전체를 하나의 조형으로 접근하였고 그 ...
-
- (82)앤드류 스타흘(Andrew STAHL)
- [2018-09-01] 이진한 [810]
- 앤드류 스타흘 Q. 본인의 작업을 설명해달라. A. 나를 둘러싼 여러 문화, 사회적 현상에 관심을 두고 관계를 맺으며 작업의 영감을 받는다. 다양한 문화가 연결되는 지점을 형상화하는 나의 작품이 ...
-
- (81)오니시 야스아키(Yasuaki ONISHI)
- [2018-08-02] 배상순 [1084]
- 오니시 야스아키 일본 간사이 지역에 폭우가 쏟아지던 날 작가를 만나 이야기를 나누었다. 폭우로 인해 큰 피해를 본 지역과 주민들의 빠른 복구와 위로를 전하며 인터뷰 내용을 전한다. Q. 대학원 졸업 ...
-
- (80)필리프 코네(Philippe COGNÉE)
- [2018-08-01] 이은화 [784]
- 필리프 코네 지난 4월 부산 조현화랑에서 4번째 국내 개인전을 가진 작가 필리프 코네를 만났다. Q. 밀랍에 안료를 섞어 그린 후 필름을 덮고 다리미질을 하는 독특한 기법을 사용하게 된 계기는?A. 이집...
-
- (79)시를 그리는 그녀, 장빈(張斌)
- [2018-08-01] 오영민 [751]
- 장빈(張斌) 꽃송이는 내 화폭의 중심(重心)이자 생활의 중심이다. 그 연약한 꽃은 오랫동안 영혼의 기둥이었고 사상과 생활의 모델이었다. 꽃의 자태는 각양각색이다. 누구도 모른다, 그것이 내 인생 하...
-
- (78)마키시마 타케시(Takeshi MAKISHIMA)
- [2018-06-01] 변지수 [961]
- 마키시마 타케시 지난해 마리안네데페트회화예술상(Mariane-Defet-Malerei-Stipendium)을 위해 뉘른베르크의 레지던시에서 돌아온 뒤 뒤셀도르프에서 작업을 재기한 마키시마 타케시를 만났다. Q. 뉘른베르...
-
- (77)이시다 조(Jo ISHIDA)
- [2018-05-02] 배상순 [818]
- 이시다 조 1995년 조직된 민간단체 ‘Japan Art Forum’을 시작으로 설립된 ‘JARFO’의 대표 이시다 조를 교토화랑에서 만났다. Q. JARFO는 어떤 단체인가?A. 공식명칭은 ‘인정 NPO 법인 교토 예제교류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