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WebZine] 2024년 6월

편집부

Seoul Art Guide × Weekly Mailzine
서울아트가이드로고
2024.5.31 - 2024.6.6
+ Every Friday

메일진 배너 게재문의 02-730-6214  



Exhibition
포스터를 클릭하면 상세정보가 새 창으로 연결됩니다.
전시 진행 및 전시장 방문 가능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
임채욱: 북한산길
2024-03-14 ~ 2024-06-09 | 삼각산금암미술관
02-351-8554 | museum.ep.go.kr
 

임채욱 작가는 그동안 인왕산, 설악산, 낙산, 인수봉, 지리산 등 산을 주제로 다양한 작업을 해왔다. 이번 전시는 은평역사한옥박물관에서 보이는 북한산과 한옥마을, 진관사에 이르기까지 작가가 바라본 북한산의 겨울 풍경과 역사, 문화, 예술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북한산 네 겹의 길을 담는다.

프랑스 프락(FRAC) 컬렉션 전 경이로운 여행
2024-03-26 ~ 2024-06-09 | 청주시립미술관
043-201-2650 | cmoa.cheongju.go.kr
 

프락 피카르디와 프락 그랑 라주 두 기관의 소장품 60여 점을 선별하여 선보인다. 아미앵에 위치한 프락 피카르디는 유럽에서 가장 규모 있는 동시대 드로잉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 그리고 프랑스 북부 항구도시인 덩케르크에 위치한 프락 그랑 라주는 1960년대 이후 미술과 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Together: 세상과 함께 산다는 것
2024-03-26 ~ 2024-06-09 | 이응노미술관
042-611-9800 | leeungnomuseum.or.kr
 

사회에 대한 반항보다는 이제는 사회에 적응해야 한다는 생각을 먼저 할 수밖에 없는 세대다. 이렇게 젊은 작가로 전반전을 마치고 또는 후반전을 뛰고 있는 중견에 접어든 작가들의 작업을 선보이는 자리다. 이응노와 유사한 길을 걸어가고 있는, ‘동시대 작가들의 생각, 경험의 전망을 현재의 시점에서는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를 고찰해 보는 의미 있는 전시회가 될 것이다.

무방향운동: 노한솔·박영지·이향아
2024-03-28 ~ 2024-06-09 | 엑스포아트갤러리
061-659-5793 | expo2012.kr
 

수묵채색화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청년작가 노한솔·박영지·이향아 등 3인을 초대해 현대사회 청년들이 살아가는 방법과 그들의 시각을 탐색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들의 회화 및 도자 등 이전 작품과 신작 40여 점을 소개하며, 현대 수묵채색화의 새로운 양식적 실험을 다각도로 감상할 수 있다.

지구를 위한 소네트 전 2024 동시대미감
2024-04-19 ~ 2024-06-09 | 성남큐브미술관
031-783-8141 | museum.snart.or.kr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중요성, 플라스틱 쓰레기와 해양 오염, 급격한 산업화로 공해병의 피해를 입은 지역민에 대한 이야기, 안정된 생태계 속에서 지속 가능한 일상 감정의 소중함, 인간과 자연의 관계등을 다룬 다양한 관점의 동시대 미술을 선보인다.

박현호 전 불타오르는 살갗
2024-05-10 ~ 2024-06-08 | 도암갤러리
02-2287-0512 | doam.me
 

박현호 작가는 회화를 통해 이미 왔다가 사라진, 혹은 사라짐이 예고된, 아니면 언젠가 사라질 대상에 대한 인상을 붙잡아 두려고 한다. 지금까지 그 대상은 자신이 거주하던 지역의 풍경이기도, 혹은 지난날의 상처와 그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떠올랐던 이미지이기도 했다.



Critic & Review
클릭하면 상세정보가 새 창으로 연결됩니다.
  고충환 : 심병건, 프레스 조각으로 조각에 새로운 장을 열다
  김달진 : 원로 네 분의 마음에 그린 그림
  김성호 : 고승현 / 화이트 큐브로 초대하는 전유의 자연미술
  김영호 : 정현재 / ‘당신의 시선으로’ 열어가는 세상
  김종근 : 위대한 천재 화가들의 비결
  이선영 : 손희숙 / 실재와 기억의 원천인 자연
  연구소Blog: 필립 파레노 《보이스(VOICES)》, 리움미술관
  연구소Blog: 《올해의 작가상 2023》,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연구소Blog: 《2024년 대구포럼 Ⅲ : 누구의 숲, 누구의 세계》, 대구미술관
  연구소Blog: 《문자와 삽화 - 알브레히트 뒤러의 판화를 만나다》, 국립세계문자박물관
  연구소Blog: 《렘브란트, 17세기의 사진가》, 대구미술관


Book & Magazine
책표지를 클릭하면 상세정보가 새 창으로 연결됩니다.
힐튼이 말하다 기억을 위한 서울 힐튼 기록집

김종성, 안창모, 전이서, 정인하, 지정우, 오호근, 함혜리, 홍재승 지음 | 램프북스 | 2024년 1월 | 25,000원

남산 곁에서 40년을 운영한 힐튼 호텔은, 영업 종료 후 처분을 기다리고 있다. 서울 힐튼의 처음부터 끝까지 건축사•사회사적 측면을 보여주는 사진•청사진•도면•글을 모아 기록집을 만들었다. 지난해 4월 열린 좌담회 ‘건축가 김종성과의 만남: 힐튼호텔 철거와 보존 사이’에서 출발한 저술은, 관련 이야기를 모아 건축이 간직한 시간과 가치를 전한다.

김달진, 한국 미술 아키비스트 새로운 가치 창조, 수집에서 공유로

김재희 지음 | 벗나래 | 2024년 3월 | 17,000원

미술자료 수집의 길을 걸으며 인생을 쏟아부은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장, 김달진의 이야기다. 저자는 다년간 인터뷰와 내밀하고 사적인 자료까지 뒤적여서, 수집과 공유라는 생을 관통하는 두 개의 열쇠말을 뽑아냈다. 수집은 유년기부터 국립현대미술관에 발을 들여놓던 때까지, 공유는 김달진미술연구소를 개소한 시기부터로 잡았다.



Notice & Event
배너를 클릭하면 상세정보가 새 창으로 연결됩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