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국 박물관의 역사

편집부

8•15 광복 이전의 박물관
1908년 9월 기울어져 가는 국운 앞에서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은 창경궁 내에 황실박물관을 발족시켜 우리나라 박물관의 시초를 이루었다. 황실의 재정적 지원으로 삼국시대 이후의 불교공예품, 고려자기, 조선시대의 회화, 역사풍속도 등을 주로 수집하여 1909년 11월 창경궁을 공개하면서 식물원 동물원과 함께 황실박물관도 일반에게 공개하였다. 그 후 총독부박물관이 설립되면서 황실박물관은 이왕가미술관으로 격하 개칭되었다. 1910년 일제강점 이후 일본은 조선총독부의 시정 5년을 대대적으로 선전하기 위하여 물산공진회를 경복궁에서 개최하고 1915년 12월 1일 공진회 당시의 미술관 건물을 본관으로 하여 총독부박물관을 발족하였다. 이곳에서는 주로 고적조사에 의한 수집품과 매장유물의 국고귀속품, 구입품, 그리고 각 사찰의 기탁품등을 중심으로 역사, 미술공예에 관한 자료들이 전시되었다. 건물 이외에도 수정전(修政殿), 사정전(思政殿), 근정전(勤政殿)과 회랑(廻廊)등 경복궁의 전각을 이용하여 시대별 역사적 전시방법으로 전시활동이 시작되었다. 1913년 경주지방에서는 경주고적보존회가 발족되면서 신라시대의 유물을 수집하여 일반에 공개하기 시작하였고, 1926년 총독부박물관의 분관으로 편입되었다. 그리고 부여에서도 1929년 부여고적보존회가 발족하면서 조선시대 관아였던 백제관을 유물전시관으로 사용하다가 1939년 총독부박물관의 분관으로 편입되어 발전하게 되었다. 1934년에는 공주에서 공주고적보존회가 발족하여 백제시대에 대한 유물수집과 보존작업에 착수하게 되었고, 1940년 옛 관아(官衙)였던 선화당(宣化堂)을 옮겨 공주읍박물관으로 설립하여 공주사적현창회(公州史蹟顯彰會)에서 운영하였다. 또한 개성과 평양에도 1931년과 1933년에 각기 부립(府立)박물관이 세워져 개성에는 고려시대의 유물이, 평양에는 고구려, 낙랑시대의 유물을 중심으로 진열되었으나 총독부박물관이 보다 많은 진열품을 대여하였다. 총독부박물관은 총독부의 한 과(一個課)에 속해 있어서 고적조사사업이 박물관에 의해 독점되고 있었다. 따라서 총독부박물관은 한국의 문화를 순수하게 소개하기보다는 정치적 도구로 사용하였고, 박물관 중심의 고고학적 발굴조사도 중요한 출토유물 자체만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을 뿐, 발굴조사보고서가 작성되어 발표된 사례는 극소수에 지나지 않았다.
이왕가미술관의 발족
1938년 덕수궁을 일반에게 공개하면서 석조전(石造殿)에 일본의 근대미술품을 진열하여 상설미술관으로 문을 열고 회화, 조각, 공예로 분류전시하였다. 그리고 같은 해 3월 새로운 미술관 건물이 준공되면서 창경궁 내에 있던 황실 박물관에서 미술품만을 골라 이관하고 이왕가미술관을 발족시켰다. 이 미술관은 구조나 시설 면에서도 미술관의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지어진 우리나라 최초의 미술관이었다.

초창기의 국립박물관(1945~1954)
국립박물관은 과거 일제강점기에 조선침탈의 연구자료로서 우리의 문화유산을 수집해온 조선총독부박물관을 인수 개편하여 1945년 9월에 경복궁안의 석조전 건물에서 처음으로 업무를 시작하였다. 또한 이 해에 경주, 부여 및 공주에 국립박물관 분관을 두고 이듬해에는 개성분관을 열었다. 6.25 전쟁 직후에는 서울이 점령당한 위기에서도 박물관 직원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유물을 지켜내면서 수복을 맞았으며, 이 해 남산민족박물관도 국립박물관 분관으로 통합되었다. 그러나 12월 중공군이 개입, 전황이 불리해지자 국립박물관 및 덕수궁미술관 소장유물 중 약 2만점을 부산으로 이동격납하게 되었으며 피난시절의 어려움 속에서도 유적조사와 학술연구를 계속하는 한편 <제1회 현대 미술작가초대전>과 같은 전시회를 열어 호평을 받기도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최초로 1946년 경주에서 실시한 고분 발굴조사에서는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호우라는 명문(銘文)이 새겨진 청동그릇이 출토되어 이 고분을 호우총으로 명명하였으며, 이 고분에 대한 발굴조사보고는 훗날 국립박물관 유적조사보고서 시리즈의 첫 호가 되었다. 같은 해 8월15일부터 31일까지는 해방 1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중요 출토품 특별전>을 개최하고 조사연구사업과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상설박물관 강좌가 시작되었다. 1946년 3월에는 후에 국립박물관에 흡수된 덕수궁내의 이왕가미술관이 덕수궁미술관으로 이름을 바꾸어 재개관하였고, 같은 해 4월 인천시립박물관이 문을 열었으며, 5월에는 남산의 구 총독관저 자리에 국립민족박물관이 발족되어 우리민족의 생활사를 중심으로 하는 박물관활동을 개시하였다 .
성장하는 국립박물관(1954~1972)
1953년 8월 서울환도 이후 국립박물관은 잠시 남산분관에서 머무르다 1954년 10월 덕수궁 석조전으로 이전하여 새로운 살림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로부터 국민들의 어려운 현실을 극복하는 원동력을 불어넣고 민족문화의 국제적인 선양을 위하여 국립박물관은 1957년 12월부터 1년 6개월 동안 미국의 8개 도시를 순회하는 <국보급문화재 해외전시>를 단행하여 현지에서 우리문화에 대한 찬사와 갈채를 받았으며, 이 전시는 1961년 유럽 5개국을 방문하는 전시회로 이어져 유럽에서도 우리의 문화를 재인식하는 커다란 계기를 제공하게 되었다. 1960년 이후는 국립박물관이 조사와 연구활동에 박차를 가하여 한층 내실을 기하는 시기였다. 학술지 『미술자료』를 발간하고 강진의 청자가마, 한국의 지석묘, 김해지역의 선사유적 등 정기적인 연구조사가 진행되고 1966년에는 한일 문화협약에 따라 일본으로부터 우리 문화재의 일부가 반환되었으며, 1969년에는 덕수궁미술관의 소장품이 박물관 소장유물로 귀속되었다. 1970년대에 들어서는 『박물관신문』이 창간되고 암사동 유적 등의 유적발굴을 통하여 획기적 조사연구를 펼치면서 박물관이 약진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박물관의 성숙기 (1972~1986)
1972년에는 우리의 설계로는 처음으로 경복궁에 박물관을 신축, 확장 이전하여 새로운 기틀을 다지게 되었다. 이로부터 바야흐로 <한국미술 2000년전>과 같은 본격적인 기획특별전을 마련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1976년에는 <한국의 미술 5000년전>을 기획, 일본순회전시를 열었고 이 전시는 1979년의 미국순회 전시와 1983년의 유럽 순회전시로 이어졌다. 한편 어린이 문화재미술대회, 박물관 특설강좌, 박물관회의 발족, 보존과학실의 운영, 국제문화교류 등의 새로운 사업들을 추진하게 되어 박물관의 활동영역이 매우 다양해졌으며, 1976년 이후에는 매년 신안해저유물의 발굴인양작업이 이루어지면서 박물관은 다량의 중국자기를 보유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부여, 공주, 경주박물관 등이 이미 70년대에 신축 이전되고 광주박물관이 개관되는 등 지방박물관도 성장일로를 딛고 있었다. 이러한 지방박물관 시설 확충 사업은 80년대에 들어서도 계속 추진되어 국립 진주박물관이 1984년에 개관을 하고 국립청주박물관도 건립공사가 활발히 진행되어 지역문화 창달의 주도적 역할을 담당할 산하박물관들의 활약이 예고되기도 하였다.
민족문화유산의 보고(1986~ )
1986년에는 국립중앙박물관을 옛 중앙청 건물로 확장 이전하면서 시설의 확충과 기구의 개편으로 다방면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특히 24개의 전시실과 13개의 유물수장고를 확보하고 활성화된 전시와 유물관리의 과학화와 전산화를 점진적으로 추진하였으며 유물관리와 전시기능 못지 않게 문화교육도 활성화되어 청소년박물관교실, 토요공개강좌, 노인문화강좌, 초•중등교사의 역사•문화연수, 관광통역안내원 문화연수, 엄마와 함께 박물관을, 주부문화강좌, 움직이는 박물관 등의 사회교육활동이 새로이 추진되었다. 조사연구와 기획특별전시의 업적으로는 부여 송국리, 창원 다호리, 계룡산 분청사기 가마터, 흥국사, 선암사 등 전국적인 유적조사와 <한국의 미>, <고려 청자명품>, <신비의 고대왕국 가야>, <한국의 청동기문화>, <삼국시대 불상전>등 매년 여러 차례의 특별기획전시 및 국제교류전시를 열어 시민들에게 폭넓은 문화향수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아울러 그동안 뜻있는 분들의 아낌없는 유물기증과 매장문화재의 국가귀속, 중요문화재의 구입 등으로 국립박물관 소장유물은 끊임없이 증가하여 1945년 개관당시 5만여점의 유물은 지방박물관까지 포함하여 24만여점을 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국립청주박물관, 국립전주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 국립춘천박물관이 신축 개관되었고 국립부여박물관은 더욱 규모를 확장하여 신축 이전하였다. 또한 국립공주박물관은 2003년 이전신축을 위해 공사가 진행중이다. 이에 따라 지방박물관은 전국 11개 박물관으로 확충되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