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김성욱 / 유년으로부터의 신화적, 원형적 서사

고충환



유년으로부터의 신화적, 원형적 서사

고충환(Kho, Chung-Hwan 미술평론)
미켈란젤로는 가공되지 않은 돌 속에 이미 완전한 형상이 들어 있다고 본다. 조각가는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해 그 형상이 잘 드러나 보이도록 돕는 조력자에 지나지 않으며, 따라서 그의 창작행위를 순수한 의미에서의 창조로 보기는 어렵다고 한다. 이러한 사실은 특히 작가의 말년 조각들이 미완인 채로 남겨진 이유를 설명해준다. 즉 미완성된 조각 자체는 신의 의지(형상의 의지)에 대해 인간의 의지(조형의 의지)가 철저하게 무력할 수밖에 없음을 드러내고 증언한 것이다. 한편 형상의지에 대한 이런 식의 패배의식은 그 자체로서보다는 일종의 은유적인 표현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즉 인공적인 조형의지로써 대상을 지배하고 장악하는 대신 대상의 본성이나 그 고유의 속성에 주목하고 이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그렇다면 형상은 무엇이고 또한 본성은 무엇인가. 이는 따지고 보면 작가가 그 대상에 투사한 자신의 심성이나 심상, 이념이나 관념일 수밖에 없다. 남들과는 다른 자신만의 고유한 세계를 보는 관점, 세계관, 우주관, 자연관이다. 이처럼 예술에는 창작주체 저마다의 아이덴티티와 비전이 녹아들어 있으며, 이로써 예술은 작가의 얼터에고(분신)이며 페르소나(주체)인 것이다.

그렇다면 김성욱의 얼터에고는 무엇이며 페르소나는 무엇인가. 그는 자신의 돌 조각에 어떤 심성과 이념을 투사하며 또한 이로부터 어떤 형상을 끄집어내는가. 한눈에도 그의 조각은 현실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반영물과도 그리고 동시대적인 문제의식이나 감수성과도 일정한 거리가 있어 보인다. 그의 조각은 마치 시간을 거꾸로 되돌린 듯 과거를 향하고 유년을 향한다. 현실적인 삶의 시간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현재의 치열한 삶을 살아내기 위해 간과한 것들, 상실한 것들을 향한다. 이로부터는 돌이킬 수 없는 것들에 대한 향수와 치유할 수 없는 상처에 대한 인식이나 자의식이 묻어난다. 여기서 향수는 현실에 대한 부정의식에 의해 뒷받침되며, 또한 상처는 그 자체 일종의 요나 콤플렉스에 의해 지지되는 어머니의 자궁으로 되돌아가고 싶다는 강한 회귀본능으로 나타난다. 아버지의 준칙(정글의 법칙)이 지배하는 현실적인 삶으로부터의 상처를 어머니의 모태 원리(생명의 원리)에 의해 치유 받고 위로받고 보상받고 싶어 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귀본능은 작가를 유년시절로 되돌리고, 자족적인 삶을 살았던 모태(자궁)에로 되돌리고, 자신이 유래한 자연으로 되돌리고, 자신이 태어나기도 훨씬 전의 신화적이고 주술적인 세계에로 되돌려 놓는다. 칼 융의 무의식 이론을 빌려 말하자면 일종의 원형의식에 의해 견인되는 것이며, 이로써 작가 개인의 문제의식의 범위를 넘어 보편성을 획득한다. 작가의 조각이 인간 실존의 보편적인 존재조건에 잇대어져 있다는 말이다. 작가의 얼터에고는 이처럼 유년에, 신화에, 원형에 맞춰져 있다. 그리고 이는 시골의 장날 어머니를 따라 장에 갔다가 오리를 사가지고 귀가한 일이나, 어머니와 포옹하거나 더불어 노는 등 유년시절의 추억을 되살려내는 형태로서 현상한다. 물론 작가는 이런 유년시절의 추억과 함께 현재의 자신의 가족을 형상화하기도 하는데, 여기서 작가의 조각이 유년시절을 소재로 한 것인지 아니면 현재의 시점을 소재로 한 것인지를 따지는 것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문제는 작가의 유년시절의 추억이 현재의 가족에게서 그대로 반복 재생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작가에게 있어서의 어머니란 존재는 일종의 자아 이상의 형태로 정형화된 것이며, 이때의 자아 이상이나 그 이미지가 현재의 연인에게 투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어머니와 자신과의 관계 역시 현재의 자신과 아이들 혹은 가족과의 관계로 반복 중첩돼 나타난 것이다. 이로써 작가는 세대간의 차이를 넘어서 이를 연이어주는 유대관계를 주지시키고, 가족을 매개로 해서 본 타자와의 관계를 주지시킨다.
작가의 분신은 이처럼 유년시절을 향하고, 또한 일종의 신화적 서사나 원형적 이야기를 지향한다. 그리고 이는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로서보다는 사람과 동물이 어우러진 형태로서 현상한다. 이를테면 아마도 작가 자신일 듯싶은 꼬마가 널찍하고 편안한 바위나 되는 것처럼 커다란 도롱뇽 알 위에 누워 꿈꾸듯 잠이 들거나, 말인 양 물고기에 올라타고 세상을 유영한다. 현실세계에서는 있을 법하지 않은 이런 식의 비전은 말할 것도 없이 의식 세계 저편의 무의식의 지층으로부터 길어 올려진 것으로서, 그 자체가 작가의 현실인식과 함께 내적 욕망을 반영하고 있다. 할 수만 있다면 이질적인 타자들이 서로 어우러진 세계, 사람과 동물간의 경계가 허물어진 세계, 자아와 타자와의 구분이 지워진 세계, 실제가 언어와 개념의 틀 속에 갇히지 않는 세계, 신화적이고 주술적이고 마법적인 세계, 그 자족적이고 충만한 세계로 자신의 존재성을 되돌리고 싶은 것이다. 그 세계는 기실 어머니의 모태에 다름 아니며, 도롱뇽 알이나 물고기는 어머니의 자아 이상이 다변화된 상징이다. 그리고 이때의 어머니에 대해선 반드시 실재하는 존재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우주를 낳고, 세계를 낳고, 나를 낳은 생명력의 원천으로서의 어머니로 상징되는 어떤 원형적 존재쯤으로 보면 된다. 이로써 작가는 적어도 자신의 무의식을 통해서나마 스스로의 존재성을 미처 현실원칙이 미치지 않는 세계, 현실원칙 이전의 순수하고 소박하고 유아론적인 세계로 되돌려 놓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작가의 조각이 현실인식을 결여한 것으로 볼 일은 아니다. 사이클이나 모터사이클을 타고 거리를 질주하는 소년이나, 공원에서 인라인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아마도 가족일 듯싶은)처럼 일상의 현장으로부터 채집된 생활감정이나 그 경험의 편린들이 현실성을 획득하게 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작가의 조각은 자신과 어머니와의 관계, 자신과 현재의 가족과의 관계를 대상화한 인체 조각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와 함께 일종의 풍경조각으로 범주화할 만한 예가 발견된다. 얼마 전에 입주한 자신의 작업실 정경을 모티브로 한 조각이나, 나무가 있는 풍경조각, 그리고 도롱뇽 알을 소재로 한 작업이 그렇다. 여기서의 나무는 도롱뇽 알이 그런 것처럼 반드시 실재하는 것으로 볼 일은 아니다. 작가의 무의식이나 상상력이 실재하는 모티브에 개입돼 이를 일정정도 내재화하고 변형시킨 것이다. 이로써 나무는 작가가 유년에 꾸었을 꿈을 상기시키고(유년의 나무), 집보다 큰 아름드리나무 곁에 자리하고 있는 작업실은 꿈의 집을 떠올리게 한다(작업실은 작가가 꿈을 꾸고 이를 실현하는 산실이다). 이와 함께 특이한 사실로는 작가가 도롱뇽 알을 조각할 때 돌 속을 일일이 파내고 그 겉 돌의 편린들을 재조립해 전체 형상을 맞춰낸 점이다. 단단한 돌을 마치 나무나 되는 것처럼 다루는 것에서 재료의 물성에 대한 유기적인 접근과 해석이 엿보이며, 표면의 봉합된 흔적이 시각적 묘미를 더한다.

게오르크 짐멜은 현대인이 사실상의 고향을 상실한 것으로 진단하고, 이를 고향의 상실감으로 부른다. 이때의 고향은 실재하는 장소적인 개념으로서보다는 현대인이 간과한 것들, 상실한 것들, 원형으로 부를 만한 것들을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정작 삶을 의미 있게 해주는 것은 이런 돌이킬 수 없는 것들이지 않을까 싶다. 자신의 존재성을 유년시절로 되돌리고, 그 무의식의 지층으로부터 신화적이고 원형적인 서사를 일궈내는 김성욱의 조각은 이런 상실된 고향을 주지시킨다.





Intactly mythical epic from the childhood

Kho, Chung-Hwan - art Critic
Michelangelo once said 'I get inspiration from looking at an unprocessed rock; I can see the masterpiece within'. An artist can be seen merely as an assistant, removing only the unnecessary parts and thus making the piece more remarkable. Therefore in a pure sense it is not a creation, but rather a kind of nurturing. This may explain why many artists, when in the final stages of life, leave many pieces of art incomplete. This, therefore, bears testimony to that fact that human will is totally incapable of moulding the divine will.
On the one hand this kind of different consciousness against divine will itself has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metaphorical expression. Namely artists need to attribute their own nature in order to enhance the object; they need to keep an eye on their own original nature instead of creating destruction through artificial will. If this is so, what is this shape and one's true character? It has to be the image, ideology and conception of the object in the artist's mind.

The artist has a unique view of the world, a vision of nature, not to mention a different outlook on the universe. In this manner, every piece of the artist's work has his vision and identity melted within. The art reflects the artist's alter-ego and sonar.
But what is alter-ego and sonar? What forms of nature and principles is the artist trying to reflect? What kinds of formation are being induced as a result? At a glance, his carvings appear to have some distance from ideology reflected reality, contemporary awareness and sensibility. His pieces are exposed to past days of juvenility and it brings focus to the things overlooked in order to survive the civil reality, instead of just focussing on the true realities of life. Hence, these things create some self-awareness and understanding about unretrievable aspects of sentiment and incurable hurt. From here, the hurt is supported by the instinct to regress to one's childhood, as in the biblical story of Jonah. We are all inclined to be solaced by our mother's womb as opposed to our father's jungle law. This kind of regressive instinct forces the artist to go back to his childhood, the self-sufficient life we breathed in our mother's womb, derived from his mother's home, not to mention the mystical world of sorcery present before he was born. Karl Jung speak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ory consciousness, and of the way mystical sorcery remains intact. It obtains, therefore universality out of the range of the critical mind. The artist's work appears to be connected or linked to the general condition of human existence, thus retaining natural state.

Alter-ego is adjusted to childhood methodology and original form. It's like market day in a rural setting, returning home from shopping for ducks or reminiscing those precious embraces or snuggles with mother. The artist gives shape to the presentation of family with his juvenile memories. Here, it feels unimportant to define whether the subject matter is childhood or present day. These of life gone by, however are immortalized wholeheartedly with the memories of both families still intact. To the artist, the mother exists as a symbol of ego-idealism and it seems apparent when observing his work that this image is in his present wife. Bu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 and his mother is reiterated through both his children and himself, and his close family. Therefore the artist reminds us of the connection we have between generations, from past to present, as well as showing us his own relationship with his family through the medium of his work.

The artist's alter-ego moves towards his childhood. This mythical epic or organic story is a picture showing the harmony between animal and man as opposed to a relationship merely between people. It seems the artist wants to be a little boy who would like to lie down on a comfortable wide rock or a large salamander lying over an egg in a dream-like state, or even a fish swimming wildly over the world like a stallion. In reality this would not happen needless to say this ideology exists in a prolonged state from the deepest layers of sub-consciousness and in itself reflects the artists reality recognition and intrinsic desire. He wants to live in a world of abundance with the unification of different individuals and cultures, demolishing the barrier between man and animal, omitting any segregation between one's self and others, a reality created from the pattern of language and conception mythology, sorcery and magic. The words originate from his mother's womb; salamander, fish and egg are the emblem of his mother's ego-idealism. But here we can see that the word mother itself has no restrictions as it is a metaphor. She is but Mother Nature, giving birth to the world. Therefore the artist attempts to portray the world as a pure world, one in which earthly impurities cannot penetrate, a world innocent and plain like an infant world, beyond reality principles.

On the other hand the artist does not appear to have lost all sense of reality. Like a boy who rides a motorcycle through the street, or a family member inline skating in the park. All these scenes gather life information and experience and enable the artist to feel reality senses. His work mainly concerns body proportion, symbolising a relationship between himself, his family and his children. As well as this, we can find portions of landscape pieces motivated from a newly established workroom, a landscape with some trees, and even a piece showing salamander spawn. In the landscape with trees, the trees are in fact a portrayal of fantasy, as opposed to the salamanders which are an encapsulation of nature. His existing motivation derives from his unconsciousness. He then internalises this thought process and then transforms it into his work.
Trees are something the artist dreamt of when he was young; the trees are much bigger than his house, and yet his workroom is but an armfulltree. The workplace is where the artist is able to actualise his dreams into reality. Moreover, as the artist carves the salamander spawn he hollows out the stone, piecing it back together to create a perfect and immaculate shape of the stone. We see an organic approach to solid matter when he works with stone material, almost as if it were a tree. On the exterior of the stones, we can see the assembled pieces tracing the surface, much like the way of a delicate jigsaw and this adds a certain visual beauty.

George Simmel diagnosed that modern people lose their real hometown. Here, hometown means a broad sense of embracing something that modern people tend to forget or think of as less important. They think of something lost and something remaining untouched instead of a specific place. Practically, the most important thing in life is to retrieve something in-recoupable, going back to the childhood and portraying work as an epic, something mythological and intact from the deepest layers of unconsciousness. This reminds us of our hometown.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