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액스 미스유타: 정점의 직전 Best Before》, 페레스프로젝트 서울

김달진



액스 미스유타: 정점의 직전 Best Before 

2024.5.16 - 6.30

페레스프로젝트 서울





페레스프로젝트는 액스 미스유타(b. 1984, 러시아 브랸스크)의 아시아 최초 개인전 ≪정점의 직전 Best Before≫을 2024년 5월 16일(목)부터 6월 30일(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갤러리가 미스유타와 함께하는 첫 번째 전시로, 서울지점에서 공개된다. 튀르키예 이스탄불을 기반으로 작업 중인 작가는 뚜렷한 명암으로 마치 조각 같은 인물을 캔버스에 표현하는 독창적인 화풍과 사회적 관습에 의문을 제기하는 메시지로 큰 주목을 받아왔다. 화면 속 시곗바늘이 없는 손목시계를 찬 인물들을 통해 ‘나이’ 혹은 ‘적기’와 같이 시간과 관련된 사회적 압박에 저항하는 정신을 암시한다. 이번 전시는 전시를 위한 신작 회화 12점과 조각 10점을 선보인다.





갤러리 공간은 키아로스쿠로(chiaroscuro; 명암법)로 그려진 거대하면서도 희미한 형상으로 가득하다. 다 같이 춤을 추거나 슬픔에 잠긴 것처럼 보이는 인물들도 있지만, 대부분 실존적 변화를 숙고하는 고독한 거인으로 묘사된다. 액스 미스유타는 곡예사처럼 줄을 타듯 민첩함과 우아함으로 넓은 조형적 스펙트럼을 탐색하고, 때로는 추상의 가장자리까지 나아간다.


캔버스에 깎아 새긴 듯이 강한 명암과 그림자로 표현된 그녀의 상징적인 거대한 인물들은 화면을 이루는 추상화된 풍경에 금방이라도 잠식될 것처럼 보인다. 이처럼 화면 속 인물과 배경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것은 작가가 개인의 경험(인물)을 형성하는 힘을 사회적 또는 가족적(풍경) 요인 통해 탐구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이는 그녀의 작품 중 드물게 인물이 등장하지 않는 <폐기물(Trash)>(2024)에서 절정을 이룬다. 이 작품에서는 인물이 등장하지 않는 대신, 웨딩드레스의 모습을 닮은 증기가 뿜어져 나오고 상징적인 물건들로 넘쳐나 거칠고 주름진 풍경을 자아낸다. 이는 사회적 기대(풍경)에 사로잡힌 누군가의 자아(인물)가 투영된 것이다.


Aks MISYUTA Best Before Installation View May 16 – June 30, 2024 Peres Projects, Seoul

Courtesy Peres Projects Photographed by: Yangian



미스유타는 자기 경험과 타인에 대한 관찰을 바탕으로 사전 계획 없이 캔버스에 바로 작업한다. 어두운 색의 물감으로 첫 번째 레이어를 올린 후, 무의식에 흐름을 맡기는 오토마티즘(Automatisme)에 가까운 과정을 통해 인물의 형상이 드러나기 시작한다. 직관과 즉흥성을 포용하는 그녀는 무언의 생각과 감정의 흐름을 풀어내며 친밀하면서도 보편적인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캔버스를 가로지르는 그녀의 카타르시스적인 연출의 손놀림은 존재의 복잡성을 함축하는 연상적 장면을 만들어낸다.


땅거미가 내려앉은 느낌이 풍기는 어스름한 색조와 산뜻한 색감의 터치가 돋보이는 ≪정점의 직전≫의 작품들은 운명에 대한 다각적인 탐구를 펼쳐낸다. 사회적 존재인 우리의 인생길은 개인의 욕망, 사회적 압박, 가족의 기대가 촘촘한 그물망으로 얽혀 있는 태피스트리와도 같다. 미스유타의 작품은 분명한 내러티브가 아닌 은유들로 구성되어 이러한 상충하는 힘들을 탐구한다. 예를 들어, <미지의 선물들(Unknown Gifts)>(2024)은 태어날 때 각 개인에게 주어진 고유한 환경, 기술, 도전이 운명의 손바닥 안에 자리 잡고 있음을 상징한다. 존재의 목적은 이러한 초기 조건을 개인의 선택을 통해 개인의 운명으로 변화시키는 데 있다.


Aks MISYUTA Best Before Installation View May 16 – June 30, 2024 Peres Projects, Seoul

Courtesy Peres Projects Photographed by: Yangian



종종 나체이거나 뒤틀린 포즈로 등장하는 미스유타의 인물은 취약함과 의구심을 풍기며, 덩치가 큰 실루엣은 단지 연약한 허울 역할만을 할 뿐이다. 풍만하고 단일한 윤곽은 개별화를 피하는 대신 다양한 원형을 구현한다. 외부의 기대와 상충하는 잠재된 욕망, 보다 합리적인 결정을 위하여 충족되지 못한 개인적 열망과 씨름하는 그녀의 인물은 무겁게 짓눌린 것처럼 보인다.



‘나이’라는 개념을 토대로 개인의 성취를 측정하는 척도로 사용되는 ‘시간’은 인물의 손목을 장식하는 시곗바늘이 없는 시계로 상징화되어 작품 내에서 중심을 차지한다. 복잡하면서도 때로는 한정적인 시간과의 관계를 상징하는 이 모티프는 자기 성취를 가로막는 구속 또한 떠올리게 한다. 이는 이번 전시의 조각들인 <추구자(Seekers)>(2024)에서도 그 맥을 같이 한다. 팔이 없는 이 조각들은 수동적이고 무력한 느낌을 준다. 그러나 정적인 형태 속에는 자아를 추구하고자 하는 의지가 담겨있다. 확실한 형태가 없는 어깨의 윤곽은 날갯짓하는 모습을 연상시키며 잠재적인 변화와 해방을 암시한다.


<결혼식들과 장례식들(Weddings and Funerals)>(2024)에서 미스유타는 환희와 슬픔이 하나의 생명력 있는 자극으로 수렴되는 열광적인 춤의 장면을 포착한다. 무게감과 유머를 능숙하게 조화시킨 그녀의 작품은 다채로운 감정을 구성한다. 귓가의 속삭임이든 열정적인 외침이든, 인생에서 자신만의 길을 개척하려는 인간의 탐구를 보여준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