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고려인 중앙아시아 정주 70주년 기념전_까레이스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1. 전시개요


전 시 명 고려인 중앙아시아 정주 70주년 기념전 「까레이스키」

일    시 2007년 7월 3일(화) ~ 7월 19일(목), 17일간(월요일 휴관)

장    소 서울시립미술관 경희궁분관

전시형태

   작품전시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거주 작가 7인 초청 전시회 평면회화작품 120점

                 참여작가: 故신순남, 안일, 신이스크라, 김블라디미르(1), 

                                김블라디미르(2), 박니콜라이,  신스베틀라나

   자료전시

                다큐멘터리 상영 _「멀고 험난했던 인생길」(박리타, 우즈벡 방송국 PD)

                고려인의 역사기록사진 50여점

  부대행사

           오프닝, 리셉션

                        일시: 7.3(화) 오후3시 / 사회: 김지은 문화방송아나운서

   세미나

           주제:「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어제와 오늘」

           장소: 서울역사박물관 강당 / 일시: 7.5(목) 오후 2-5시




2. 전시배경


이 전시는 2006년 9월 한명숙 전 총리가 우즈베키스탄 타쉬켄트를 방문한 계기로 이뤄졌다. 당시 한 전 총리는 의병장 허위 선생의 장손녀인 허로자 할머니와 故신순남 화백의 작업실을 방문하는 등 고려인 동포들에 대한 진한 애정을 나타냈다. 고려인 동포들이 중앙아시아에 정주한 지 70년이 되는 2007년도를 맞아 카자흐스탄 및 우즈베키스탄 동포들을 위한 기념사업을 정부차원에서 적극 지원하기로 결정했으며, 그 일환으로 우즈베키스탄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고려인 작가 7인의 전시가 마련되었다.



3. 전시성격


▪ 고려인 중앙아시아 정주 70주년 기념전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에 거주하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대표적인 고려인 작가 7인의 전시를 개최하는 동시에 참여 작가를 국내로 초청하여 그들의 미술세계를 고국의 팬들에게 알리고, 고려인들의 역사와 삶을 담은 사진과 다큐멘터리를 통해 그들의 과거와 현재를 되짚어본다. 참여 작가 6명이 내한하고, 故신순남 화백의 유족인 두 아들이 모국을 방문한다. 

고려인 화가들은 우즈베키스탄 내에서 막중한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활발한 작품 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그 동안 한국 미술계에는 거의 소개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번 전시가 동시대를 살아가는 예술가로서의 고려인의 삶을 재조명하고 국제문화교류를 통해 재외동포와의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며 민족적 동질성 회복을 꾀하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이다. 


4. 전시내용

 

▪ 제1전시장 : 김블라디미르I, 신이스크라, 박니콜라이, 김블라디미르II, 신스베틀라나         

2, 3세대 고려인 작가들은 1세대 선배 화가들에 비해 밝고 화사한, 자연의 아름다움을 찬양하는 작품을 주로 그린다. 그들의 작품에는 대립보다 화해를, 긴장보다 평화를 사랑하는 한민족 특유의 낙천적 세계관이 깃들여 있다.  2세대 고려인들에게 그들이 현재 살고 있는 중앙아시아의 산하는 고향에 다름 아니다. 그들은 비록 아버지 세대가 겪었던 고통과 슬픈 역사를 상속 받았다 할지라도 자신들이 태어나고 성장한 땅에 대한 사랑은 각별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그들의 작품에서는 1세대 고려인 화가들, 즉 신순남이나 안일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비극적 정조를 찾기 힘들다.

▪  제2전시장 : 故신순남, 안일

강제이주 1세대인 신순남(1928~2006)과 안일(1929~) 화백의 강제이주의 고통과 아픔을 담아낸 작품이 전시된다. 22m 크기의 대형작품인 <승리>(2004)와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인 <진혼제, 소리없는 절규, 페스트> (1990)를 포함한 신순남 화백의 작품 12점과 안일화백의 작품 10점이 선보인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