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현대카드 컬처프로젝트 15: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현대카드 컬처프로젝트 15: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전
7.8 - 10.5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첫 건축전
《현대카드 컬처프로젝트 15_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 국내 젊은 건축가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 국립현대미술관 · 뉴욕현대미술관 · 현대카드 공동 주최
 - 7월 8일부터 10월 5일까지 서울관 미술관 마당, 제7전시실에서 개최


국립현대미술관(관장 정형민), 뉴욕현대미술관, 현대카드(사장 정태영)가 공동 주최하는《현대카드 컬처프로젝트 15_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을 7월 8일부터 10월 5일까지 서울관에서 개최한다.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YAP, Young Architects Program)》은 뉴욕현대미술관이 젊은 건축가를 발굴하고 그들에게 재능을 펼칠 기회를 주고자 매년 개최하는 공모 프로그램으로, 1998년 시작되어 2010년부터 칠레, 이탈리아, 터키로 확장하였다. 뉴욕현대미술관과 오랜 기간 파트너십을 구축해 온 현대카드는 프로그램의 기획 의도와 국내 신진 건축가들에게 갖는 의미에 주목,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을 ‘현대카드 컬처프로젝트’로 선정하였으며, 우리 나라의 신예 건축가를 발굴·육성하고자 하는 취지에 깊이 공감한 국립현대미술관과 함께 아시아 최초로 이 프로그램을 공동 주최하게 되었다. 

서울관 미술관 마당에는 올해 프로그램의 건축가로 최종 선정된 프로젝트 팀 ‘문지방’의 작품 <신선놀음>이 설치되어 10월 5일까지 일반에 공개된다. 문지방은 구름을 형상화한 공기 풍선과 신비로운 느낌을 주는 물안개, 마치 지상과 천상을 연결하는 듯한 나무 계단 등을 통해 신선이 노니는 장소를 구현했다. 또, 공기 풍선이 만들어내는 그늘 아래 잔디가 깔린 바닥은 관람객들에게 편안히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구름 사이에 설치된 트램폴린은 색다른 재미를 주어 미술관의 정방형 공간에서는 느낄 수 없는 또 다른 즐거움을 관람객에게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7전시실에서는 최종으로 선정된 프로젝트 팀 ‘문지방(최장원, 박천강, 권경민)’을 비롯하여 최종 후보군에 오른 ‘김세진, 네임리스 건축(나은중, 유소래), 이용주, AnLstudio(신민재, 안기현, 이민수)’의 작품이 소개된다. 또한 국립현대미술관은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의 국제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첫 해를 기념하여 1998년 뉴욕현대미술관에서 시작된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의 역사와 함께 국내에서 1차로 추천받은 건축가들 역시 이번 전시에 소개한다. 

《현대카드 컬처프로젝트 15_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은 국내 젊은 건축가에게는 역량을 키울 기회, 관람객에게는 쉽게 접하기 어려운 젊은 세대의 실험성이 강한 건축 전시를 접하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 일반인 전화문의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대표번호)  02-3701-9500 

■ 전시개요
  o 전시명: 현대카드 컬처프로젝트 15_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Hyundai Card Culture Project 15_Young Architects Program
  o 일  시: 2014. 7. 8. ~ 2014. 10. 5. 
  o 장  소: 서울관 미술관 마당, 제7전시실 
  o 출품작: 설치 프로젝트 1점, 도면 · 드로잉 · 모형 등 100여점 
  o 주  최: 국립현대미술관, 뉴욕현대미술관, ㈜현대카드

■ 행사 및 전시 연계 프로그램
  ㅇ 큐레이터와의 대화
   - 일  자: 7~8월 중 2회
   - 장  소: 서울관 교육동 강의실, 제7전시실
   - 대  상: 일반인
   - 내  용: 전시 기획 의도, 작품 설명
  ㅇ 청소년 미술 창작 교실 
   - 일  자: 7~8월 중 2회
   - 장  소: 서울관 교육동 강의실, 제7전시실
   - 대  상: 청소년
   - 내  용: 전시 연계 실기 창작 교육

 ※ 세부 일정은 추후 국립현대미술관 홈페이지(www.mmca.go.kr)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전시 구성

<미술관 마당>

서울관 미술관 마당에는 최종 건축가인 프로젝트 팀 ‘문지방’의 ‘신선놀음’ 작품이 설치된다. 도가사상에 기반을 둔 작품의 기본적인 구성과 내용은 에어벌룬을 이용한 구름과 안개 역할을 하는 미스트를 통하여 신선놀음이라는 주제를 구현하는 것이다. 여기에 목조사다리로 상하부를 연결하여 천상과 지상을 오르내리도록 구성하였고, 트램폴린이라는 기구를 통해 그 재미와 은유적 표현을 더하고 있다. 지면에서는 에어벌룬이 만들어내는 그늘이 아래의 잔디와 더불어 관람객에게 쉴 수 있는 편안한 공간을 만들어 준다. 에어벌룬의 그늘과 잔디, 시원한 미스트는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의 공통주제인 그늘, 쉼터, 물과 효과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여름철 미술관을 찾는 관람객에게 보다 쾌적하고 즐거운 경험을 제공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신선놀음>의 설치 과정의 타임랩스 영상은 제7전시실 내부에서 상영된다.

<제7전시실> 

제7전시실의 전시는 크게 (1)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의 역사, (2)1차 후보군, (3)최종 후보군 및 최종 건축가, 3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입부에서는 1998년 뉴욕현대미술관에서 시작된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의 역사를 보여주는데, 이 프로그램이 2010년 산티아고 컨스트럭토, 2011년 로마 막시, 2013년 이스탄불 근대미술관, 2014년 국립현대미술관을 포함하며 점차 확장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각 연도별 최종 건축가의 이미지가 전시되며, 2012년부터는 참여 기관의 전시 소개 영상이 설치된다. 올해의 경우 각 기관의 최종 후보군이 모두 소개될 예정이다.

1차 후보군 부분에서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처음 시행되는 본 프로그램을 위해 추천받은 건축가들의 작품을 소개한다. 비록 미술관 마당 프로젝트에 안을 제출하지는 않았지만 이들의 파빌리옹 프로젝트 혹은 공공건축 작품을 간략히 소개하여 2014년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과정으로서 이들을 보여준다. 주로 드로잉, 다이어그램, 도면, 사진 등이 전시된다.

마지막으로 최종 후보군 및 최종 건축가 부분에서는 미술관 마당 프로젝트를 위해 안을 제출한 5개팀의 계획을 보여준다. 이들이 프리젠테이션을 위해 제작한 도면과 드로잉, 스케치, 모형, 영상 등이 전시된다. 


프로젝트 팀 ‘문지방’

최장원(1981-) / Choi Jang Won 
박천강(1978-) / Park Cheon Kang 
권경민(1979-) / Kwon Kyung Min


‘문지방’은 30대 초반의 젊은 건축가 최장원, 박천강, 권경민 세 명으로 구성된 프로젝트 팀이다. 이들은 모두 매스스터디스와 SO-IL(뉴욕)을 통해 국내외에서 풍부한 실무 경험을 쌓아왔으며 공공과 예술, 건축의 관계를 보여주는 프로젝트를 다수 진행하였다. 그 중 최장원은 건축뿐 아니라 다양한 창작 활동을 통해 사람들과 소통하는 방법을 찾는 예술가이기도 하며 전시를 통해 여러 차례 대중과 만나왔다. 


■ 최장원

□ 학력
2012 컬럼비아 건축대학원 졸업
2008 중앙대학교 건축과 졸업

□ 주요 경력
2007-2009 매스스터디스 
2013 건축농장(Farming Architecture) 설립 
2013 아르코 퍼블릭아트 오픈콜 참여
2013 테이크아웃드로잉 레지던시 
2013 Korea Refugee Week 난민주간 공간디렉터 
2013 Nansen Workshop 공동기획  

□ 주요 수상 
2014   기획재정부 주관 국유지 공모전 우수상(캠코사장상)
2012 컬럼비아 건축대학원 디자인어워드/Honor Graduate 
2012 대한민국 공공디자인대상, 계획부문, 최우수상(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장상)

■ 박천강

□ 학력
2009 예일대학교 건축대학원 석사 졸업  
2005 한동대학교 공간시스템공학부(건축전공) 학사 졸업 

□ 주요 경력
2014-현재       광주 아시아문화전당 창조관 건축 코디네이터 
2013           박천강 건축사무소 설립
2013             아르코 퍼블릭아트 오픈콜 참여  
2009-2012 SO-IL

■ 권경민

□ 학력
2008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실내건축설계학과 졸업
2005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실내건축학과 졸업 

□ 주요 경력
2013 이재하 건축사사무소
2008-2013 매스스터디스

□ 주요 수상 
2008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졸업논문상 
2007 제 7회 공간 국제학생실내건축상 입선 
2007 제 20회 한국 인테리어대전 특선
2004     제4회 공간 국제학생 실내건축상 입선


1. 김 세 진(1978-) / Kim Sejin 

김세진은 지난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어번폴리 현상설계 공모에서 정세훈과의 공동설계로 최우수상을 수상한 젊은 건축가이다. 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공간종합건축사사무소, 오우재건축사사무소를 거쳐 다양한 실무 경험을 쌓아왔으며 그 경험을 토대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시대를 수용하기 위해 새로운 가능성과 가치를 지닌 건축을 실행한다.

□ 학력
2004 서울대학교 건축학 석사
2002 서울대학교 건축학 학사

□ 주요 경력
2004-2006 (주)무영종합건축사사무소
2006-2007 (주)공간종합건축사사무소
2007-현재 (주)오우재건축사사무소 부소장

□ 주요 수상 
2001 제20회 대한민국 건축대전 일반공모전 입선
2011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어번폴리 현상설계 공모 최우수상 (정세훈 공동작업)


2. 네임리스 건축 NAMELESS Architecture
   나 은 중(1978-) / Na Unchung
   유 소 래(1982-) / Yoo Sorae 

나은중과 유소래는 각각 홍익대학교와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U.C. 버클리를 같은 해 졸업하였다. 2009년 공동으로 뉴욕에서 네임리스 건축사무소를 개소한 후 서울로 사무실을 확장하였으며, 불예측성의 시대에 단순함의 구축을 통해 이 시대의 건축과 예술 그리고 문화적 사회현상을 탐구하고 있다. ‘2011 디자인 어워드’의 미건축부문을 수상하였으며 같은 해 뉴욕건축연맹의 ‘제30회 젊은건축가상’도 석권하였다. 건축과 함께 설치, 사진, 비디오 등 타 매체에 대한 공동 관심사로 서울, 뉴욕, 시카고, 버클리 등의 도시에서 다수의 작업을 전시, 기획하였다.

□ 학력_나은중
2009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대학원 건축학 석사
2003 홍익대학교 건축공학 학사

□ 학력_유소래
2009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대학원 건축학 석사
2006 고려대학교 건축학 학사

□ 주요 경력
2014 삼각 학교, 도농; 2014 완공예정
DH 야외극장, 도농; 2015 완공예정
2013 RW 콘크리트 교회, 별내; 완공
SA 문화센터, 장흥, 프로젝트
보우보우, 서울
버블액트; 서울
2012 액션, 리액션, 인터렉션 1,2, 서울, 완공
빵 창고, 남양주, 진행중
신사동 돌오피스, 서울, 프로젝트
아르코 버블, 서울, 프로젝트
2011 화이트아웃, 위니펙, 캐나다; 국제공모
인사이드 아웃사이드 하우스, 도쿄, 일본; 국제공모
미메시스 하우스, 예산; 프로젝트

□ 주요 수상 
2012 오늘의 젊은예술가상
2011 미국건축가협회 뉴욕협회상
2011 뉴욕건축연맹 젊은건축가상
2010 보스턴건축가협회상


3. 이 용 주(1978-) / Lee Yong Ju

이용주는 뉴욕을 근거지로 활동하는 디자인 그룹 E/B Office의 공동대표이다. 디지털 건축가로서 정보와 디지털 툴을 이용하여 기존의 디자인을 넘어 다양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에 집중하고 있다. 그는 가구와 인테리어, 건축, 공공예술, 마스터 플랜까지 모든 삶의 환경을 다루는 넓은 디자인 스펙트럼을 지니고 있으며 2013년엔 Architizer A+ Awards 파이널리스트로 선정되었다.

□ 학력
2009 컬럼비아 건축 전문 대학원 건축학 석사
2006 연세대학교 건축공학 학사

□ 주요 경력
2008 - 현재 공동대표, E/B Office
          Filament Mind: 와이오밍주 테톤카운티 주립 도서관 영구 공공 설치물, 2013
          Seat: 아틀란타 프리덤 공원 여름 파빌리온, 2012
          Dynamic Performance of Nature: 솔트레이크시의 레오나르도 박물관 영구 공공설치물, 2011
 2012 ‐ 현재 Associate, Handel Architects, 뉴욕
          400 Park Avenue South: 뉴욕 50 층 주거 타워(현재시공중)
          Millennium Tower: 보스턴 60 층 주거 타워(실시설계중) 

□ 주요 수상 
2013 Architizer A+ Awards 파이널리스트 (SEAT, Filament Mind)
2012 와이오밍주 테톤 카운티 주립 도서관 영구 공공 설치물 현상 설계 당선
2012 아틀란타 프리덤 공원 여름 파빌리온 현상 설계 당선
2010 솔트레이크시의 레오나르도 박물관 영구 공공 설치물 국제 현상 설계 공모전 당선


4. AnL Studio
   안 기 현(1976-) / Ahn Keehyun
   신 민 재(1976-) / Shin Minjae
   이 민 수(1980-) / Lee Minsoo

AnL Studio는 건축(Architecture)과 열망(Lust)에 대한 창의적인 사고를 디자인에 반영하고자 붙여진 이름이며, 동시에 설립자인 두 건축가(안기현, 이민수)의 영문 이름 이니셜 ‘A’와 ’L’의 협업을 의미한다. 2008년 뉴욕에서 공동 설립한 이후 2009년 지은 인천대교 전망대 '오션 스코프(Ocean Scope)'로 '레드닷 어워드'에서 '베스트 오브 더 베스트(Best of the Best)' 상을 받은 바 있으며 2012년에 신민재를 영입하여 보다 더 혁신적인 방법으로 건축물에 대한 자신들의 철학을 보여주고 있다.

□ 학력_안기현
2007 U.C.버클리 건축대학원 석사
2003 한양대학교 건축과 학사

□ 학력_신민재

2005 한양대학교 건축대학원 석사
2003 한양대학교 건축과 학사
□ 학력_이민수

2009 뉴욕대학교 티쉬 예술대학원 석사
2006 국민대학교 실내건축학과 학사

□ 주요 경력
2013 《the Suit》, 컨벤션홀/로비 인테리어 리노베이션, Guangzhou, China
2013 《Solidic》, 2013년 8월 아모레 퍼시픽 뮤지엄<Reverscape>전시 , 초대전
2013 《Openalley》, 리노베이션, 경기도 광주
2013 《The Port》,동부산 테마파크도시개발 컨셉기획연구, CJ공간복합화/테마파크팀
2013 《Dissolve》, 프로젝트 스페이스 구슬모아 당구장, 대림미술관, 서울
2013 《Galaus》, 인테리어 개축, 서울
2012 《동시도시》, 공간융복합 연구 도시개발 프로젝트, CJ 공간복합화팀
2012 《Wing House》, 아파트 가구 개축, 종로, 서울
2012 《Mongdang》, 극소주택, 종로, 서울
2011   어린이 문화예술교육컨텐츠 OSMUJ 기획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 미디어학부 박승호 교수팀 / 컨텐츠 및 공간연구
2011 《C-Tent Pavilion》, 이벤트용 구조물 설치, 서울
2010 《Lightwave(Neoflesh)》,키네틱 설치,Southbank Parkland, Brisbane, 호주, 
2010 《Oceanscope》, 공공전망대, 송도신도시, 인천
2010 《10 Young Creators》, 프로젝트 스페이스 구슬모아 당구장, 대림미술관
2012 《건축한계선》, 문화역서울284, 서울
2012 《제1회 젊은건축가 포럼코리아 컨퍼런스파티》, 성미산 마을극장, 서울
2011 《Sustenance: 12 Voices for the Lasting Value》, 원도시건축 갤러리, 서울
2011 《Global Young Architects》,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서울

□ 주요 수상 
2011 미국 Archdaily “올해의 건축(Building-of-the-year)상” 최종 후보
2010 Best of the Best, Red Dot Award 2010, 독일
2010 파빌리온 설계 1등 당선, Brisbane, 호주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