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크리스틴 아이 추 : Perfect Imperfection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크리스틴 아이 추 : Perfect Imperfection 

2015. 4. 28 – 6. 20


전시  제목 : 크리스틴 아이 추 : Perfect Imperfection

전시  기간 : 2015년 4월 28일(화) – 6월 20일(토)

기자간담회 : 2015년 4월 28일(화) 오전 11:00, 송은 아트스페이스 (추후 확정일정 공지)

오  프  닝 : 2015년 4월 28일(화) 오후 6 – 8시, 송은 아트스페이스

작가강연회 : 2015년 4월 29일(수) 오후 2 – 4시, (S.Atrium, 송은 아트스페이스 B2)

방한  일정 : 협력 큐레이터 - 재스민 프라세티오 (Jasmine Prasetio), 인도네시아 소더비 지사장

작가 - 크리스틴 아이 추 (Christine Ay Tjoe), 간담회, 오프닝, 강연회 참석


출  품  작 : 회화, 설치 등 신작을 포함한 총 50여 점

관람  안내 : 월요일-토요일, 11:00-19:00 (일요일 휴관) / 무료 관람

전시  장소 : 송은 아트스페이스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로 75길 6)

주      최 : 재단법인 송은문화재단

후      원 : 주식회사 삼탄 

                                                                                 


송은 아트스페이스는 2015년 개관 5주년을 맞이하여 해외작가 개인전으로 인도네시아 작가 크리스틴 아이 추(Christine Ay Tjoe)의 개인전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선보입니다. 


송은 아트스페이스는 국제무대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 않은 역량 있는 해외의 작가들을 정기적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강렬한 색채와 추상적 형태의 페인팅 작업으로 국제적인 주목을 받고 있는 크리스틴 아이 추는 인도네시아에서는 드물게 여성작가로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는 지난 20여년 간에 걸쳐 펼쳐 온 크리스틴 아이 추의 작업세계를 50여 점의 작품들을 통해 두루 짚어 보는 첫 전시이자, 송은 아트스페이스에서의 첫 개인전을 위해 제작한 신작을 선보이는 자리입니다. 재단법인 송은문화재단의 모기업인 주식회사 삼탄의 전액 후원으로 이루어지는 이번 전시를 통해 그간 국내에서 접하기 힘들었던 인도네시아 현대미술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매년 진행되는 해외작가 개인전은 국제무대에서 주목 받는 외국 작가들의 대표작 및 신작을 소개함으로써 국내 전시문화에 활력을 불어넣는 한편, 관람객에게 쉽게 접할 수 없던 이들의 작품세계를 가까이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 




크리스틴 아이 추 : Perfect Imperfection        


동남아시아를 대표하는 주요 작가로 자리매김 하고 있는 크리스틴 아이 추는 판화, 에칭, 유화, 아크릴, 캔버스, 설치 등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여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을 통한 인간성의 다면적 특성을 실험해왔다. 


크리스틴 아이 추의 작품 전반에 걸쳐 보여지는 작업 세계는 변화무쌍하고 긍정적인 정신적 여행으로 볼 수 있다. 추상적 구상주의의 형식과 표현을 보여주는 작가의 회화작품들은 에칭이나 드라이 포인트와 같은 테크닉들을 오랜 시간을 들여 완벽하게 연마한 이후 만나게 되는 회화성의 정점을 보여준다. 이는 작품 속에서 정밀함과 감정의 놀라운 조합, 그리고 통제와 자유의 완벽한 대비로 드러난다.


본 전시제목 “Perfect Imperfection”은 작가의 작품세계에 강하게 흐르고 있는 주된 주제인, 피할 수 없는 인간성에 대한 작가의 강박에서 비롯되었다. 아이 추의 작품은 인간을 완전한 것과는 거리가 먼 – 영원히 완전해질 수 없는 – 존재이지만 더 나은 자신이 되려고 항상 노력하는 창조물로 그려낸다. 이러한 작가의 생각은 종이를 재료로 했던 과거 작품들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여 더 확장된 형식과 다양한 재료들에 대한 시험적 탐구로 이어지고, 마침내 <Layer> 시리즈에서 좀 더 명료하고 심도 있게 표현된다. 


이번 전시는 작가의 생각과 작품 속의 풍경에서 드러나는 은유적 의미에서의 구조와 문자 그대로의 구조의 개념을 동시에 살펴본다. 아이 추의 작품에는 믿음, 신성함, 선함, 죄악, 갱신, 비탄, 기쁨, 사랑, 희망과 같은 인간본성에 있어 최고와 최악의 속성들이 마치 불규칙한 파편들처럼 층층이 드러나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이 뒤엉킨 전체를 보았을 때, 이는 하나의 어떤 시적이고 아름다운, 그리고 그 순간만큼은 ‘완전한’ 것이 된다. 우리는 끊임없이 더 나아지기 원하는 존재이면서도 종종 ‘완전함’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잘 알지 못한 채 이를 추구하는데 이는 ‘완전함’에 대한 이해가 우리가 가진 관점과 지식과 경험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아이 추는 스스로를 하나의 예로 삼아, 완전함을 향한 탐색 속에 용감하게 자신의 연약함을 드러내고, 이를 통해 연약함 속에서 강함을, 비통 안에서 기쁨을, 빈곤 안에서 부요함을, 평범함 속에서 아름다움을, 그리고 불완전함에서 완전함을 찾아낸다.












협력 큐레이터, 재스민 프라세티오 (Jasmine Prasetio)


재스민 프라세티오는 동남아시아 미술 전문가로서의 경험과 지식을 인정받아 2013년 1월 소더비의 인도네시아 지사장으로 임명된 후, 자카르타를 기반으로 인도네시아 내의 소더비 활동을 관리 감독하고 있다. 프라세티오는 2004년 소더비 싱가폴에 합류했다가 2009년 홍콩 지사로 자리를 옮겼다. 동남아시아 회화 분야의 전문가로서 해당 분야 개발에 참여해왔고 연 2회 진행하는 옥션의 기획, 연출, 도록 제작 뿐만 아니라 회화 분야의 고객층 형성 및 플랫폼 마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또한 재스민 프라세티오는 2012년 12월 소더비 아시아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된 첫 번째 아시아-서양 현대미술 옥션 <Boundless: Contemporary Art>의 기획과 실무를 맡았었고 이후 인도네시아 미술의 성장에 있어 중요한 버팀목이자 이정표 역할을 해왔으며 틈틈히 포브스 인도네시아에 기고활동을 하고 있다. 








주식회사 삼탄                                                                             


삼탄은 지난 1962년 삼척탄좌개발이 모태가 되어, 반세기 동안 자원개발 한 길만을 개척해온 초우량 글로벌 자원 에너지 선도기업입니다. 지난 1982년 대한민국 최초로 순수 국내자본과 기술만으로 인도네시아 현지법인 PT. KIDECO JAYA AGUNG을 설립하고, 인도네시아 동부 칼리만탄에 노천 유연탄광인 파시르 탄광을 개발하여 대한민국 해외 자원개발의 새 장을 열었습니다. 

 

현재 삼탄의 현지법인 PT. KIDECO는 연간 4,000만 톤의 유연탄을 생산하는 단일 탄광으로 세계 5위권 규모의 초대형 광업소로 성장하였습니다. 특히, 파시르 탄광에서 생산하는 유연탄은 유황 및 회분이 극히 적어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각광받으며 세계 유연탄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삼탄은 최근 민자화력발전소 및 LPG가스생산사업 등으로 사업영역을 다각화하며 초우량글로벌 자원 에너지 선도기업으로서의 면모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삼탄에서 운영하고 있는 재단법인 송은문화재단은 故 송은(松隱) 유성연 명예 회장께서 젊고 유능한 미술작가를 발굴하고 지원하고자 사재를 출연하여 1989년 설립하였습니다. 현(現) 삼탄의 회장이자 재단법인 송은문화재단의 이사장인 유상덕 회장은 이러한 아버지의 뜻을 따라 송은문화재단의 설립 취지를 확장하고자 2010년 11월 청담동에 송은 아트스페이스를 개관하게 되었습니다.





작가 약력                                                                                         


 

Photo Credit : Christine Ay Tjoe


1973    Born in Bandung, Indonesia

1992    Faculty of Art and Design (FSRDITB), Graphic Art, Bandung, Indonesia


주요 개인전

2015 Perfect Imperfection, SongEun ArtSpace, Seoul, Korea

2013 Myriad of 'paste, Ota Fine Arts, Tokyo, Japan

2012 The Path Less Found, Michael Ku Gallery, Taipei, Taiwan

2011 The Famous One from Lucas, the 3rd Floor-Hermès Gallery, Singapore

2010 Symmetrical Sanctuary, Sigi Art Gallery, Jakarta, Indonesia

Lama Sabakhtani club, Lawangwangi, Bandung, Indonesia

2009 Eating Excess, Singapore Tyler Print Institute, Singapore

2008 Panorama without Distance, Hong Kong Art Fair, Hong Kong Convention & Exhibition Center, 

Hong Kong

Wall Prison (part two), Scope Miami Art Fair, Miami, USA

2007 Interiority of Hope, Emmitan Gallery, Surabaya, Indonesia

2006 Silent Supper, Ark Galerie, Jakarta, Indonesia

2003 Eksekusi Ego, Edwin's Gallery, Jakarta, Indonesia

Aku/ Kau/ Uak, Edwin's Gallery, Jakarta, Indonesia

2002 Reach Me, Cemeti Art House, Yogyakarta, Indonesia

At the Day of German Unity, Germany Embassy, Jakarta, Indonesia

2001 Buka Untuk Melihat, RedPoint Gallery, Bandung, Indonesia


주요 그룹전

2013 Sip! Indonesian Art Today, Exhibition View at ARNDT Berlin, Berlin, Germany

2012 Migration, ARNDT Sidney, Sidney, Australia

2012 The Asia Pacific Breweries Foundation Signature Art Prize 2011 Finalists Exhibition, Singapore 

Art Museum, Singapore

Future Pass, National Taiwan Museum of Fine Arts, Taichung City, Taiwan

2011 Indonesian Eye: Fantasies and Realities, Saatchi Gallery, London, UK

Future Pass, Fondazione Claudio Buziol, Venice, Italy, Wereldmuseum Rotterdam, Netherlands 

Art JOG 11, Taman Budaya Jogja, Yogyakarta, Indonesia

Closing the Gap: Indonesian Art Today, Melbourne International Fine Art, Melbourne, Australia

2010 Art Paris, Grand Palais-Champs Elysees, Paris, France

Shanghai Contemporary 2010, Shanghai, China

2009 Art Paris, Grand Palais-Champs Elysees, Paris, France

Indonesia Contemporary Drawing, National Gallery, Jakarta, Indonesia

Awareness, Canvas International Art, Netherlands

Enam Pekan Perempuan, Salihara Gallery, Jakarta, Indonesia

Bandung Art Now, National Gallery, Jakarta, Indonesia

2008 Shanghai Contemporary 2008, Shanghai, China

A Decade of Dedication: Ten Years Revisited, Selasar Sunaryo Art Space, Bandung, Indonesia 

Hello Print!, Edwin's Gallery, Jakarta, Indonesia

180 x 180, One Gallery, Jakarta, Indonesia

E-Motion, National Gallery, Jakarta, Indonesia

Manifesto, National Gallery, Jakarta, Indonesia

Expose#1- A Presentation of Indonesian Contemporary Art by Deutsche Bank & Nadi Gallery, Four Seasons Hotel, Jakarta, Indonesia

CIGE 2008, China World Trade Centre, Beijing, China

International Print Talk: From the Dark Background of Etchings, Ark Gallery, Jakarta, Indonesia

2007 Kuota 2007, National Gallery, Jakarta, Indonesia

Petisi Bandung, Langgeng Gallery, Magelang, Indonesia

The 22nd Asian International Art Exhibition, Selasar Sunaryo Art Space, Bandung, Indonesia

Art Singapore 2007, The Contemporary Asian Art Fair,  Suntec City, Singapore

Shanghai Contemporary 2007, Main Fountain Square, Shanghai Exhibition Center, Shanghai, China

Conscience Celebrate,  Gandaria Heights, Jakarta, Indonesia

Intimate Distance, Indonesian Women Artists, National Gallery, Jakarta, Indonesia

Anti Aging, Gaya Art Space Gallery, Bali, Indonesia

China International Gallery Exposition 2007, China World Trade Center Beijing, China

Indonesian Contemporary Art Now, Nadi Gallery, Jakarta, Indonesia

2006 Langgeng Contemporary Art Festival 2006, Langgeng Gallery, Magelang, Indonesia

China International Gallery Exposition, China World Trade Center, Beijing, China

Jejak dalam Jejak, Goethe House, Goethe Institute, Jakarta, Indonesia

2005 Fragments-KII 13, Edwin’s Gallery, Jakarta, Indonesia

Petisi Bandung, Langgeng Gallery, Magelang, Indonesia

Vision & Resonance, Asian Civilization Museum, Singapore 

21th and Beyond, Edwin’s Gallery, Jakarta, Indonesia

Jejak-Jejak Drawing, Edwin’s Gallery, Jakarta, Indonesia

Tanda Kasih, Edwin’s Gallery, Jakarta, Indonesia

The Beppu Asia Biennale of Contemporary Art, Beppu Art Museum, Oita, Japan

Taboo and Transgression in Contemporary Indonesian Art, Johnson Museum, Cornell University, New York, USA

2004 Equatorial Heat, Shanghai Museum, Shanghai, China

Bingkai Narasi Kecil-KII 12, Edwin’s Gallery, Jakarta , Indonesia

Schoeppingen zu Gast in Brauweiler, Koeln, Germany

K-ein Weg, Kunstverein Vreden, Vreden, Germany

Sayap dalam Kata, Studio Budaya Langgeng, Magelang, Indonesia

Persepsi dalam Vibrasi, Edwin’s Gallery, Jakarta, Indonesia

2003 Passion: Etno-Identity, The Indonesian Art Foundation (YSRI), Beijing and Shanghai, China

Kecil Itu Indah 11, Edwin’s Gallery, Jakarta, Indonesia

The 18th Asian International Art Exhibition, Hong Kong Museum of Art, Hong Kong

Beijing International Art Biennale 2003, China National Museum of Fine Art, Beijing, China

The 6th Triennale Mondiale d’Estampes Petit Format, Galerie d’Art Contemporain de

Camalianes, France

CP Open Biennale, National Gallery, Jakarta, Indonesia

Girl Talk, Edwin's Gallery, Jakarta, Indonesia

2002 Kilasbalik, Edwin's Gallery, Jakarta, Indonesia

The 17th Asian International Art Exhibition, Daejeon Municipal Museum of Art, Daejeon, Korea

READ, British Council, Jakarta, Indonesia

Temu Lintas Kosmologi Imaginasi Liar, Studio Budaya Langgeng, Magelang, Indonesia

Dari Abstrak ke Metaphor, Adira Gallery, Bandung, Indonesia

Bersatu dalam Rasa, Edwin’s Gallery, Jakarta, Indonesia

2001 Philip Morris 2001, National Gallery, Jakarta, Indonesia

Art Singapore, Singapore International Convention and Exhibition Centre, Singapore

Bandung Art Events, Selasar Sunaryo, Bandung, Indonesia

Kecil Itu Indah, Edwin’s Gallery, Jakarta, Indonesia

Diluar Batas, with Myriam Cathy, Griya Seni Popo Iskandar, Bandung, Indonesia

Bias Batas, Edwin’s Gallery, Jakarta, Indonesia

Printmaking in the Future, Cemeti Art House, Yogyakarta, Indonesia

Perempuan, Diseminasi dan Makna Ruang, National Gallery, Jakarta, Indonesia

Sapopoe, Bentara Budaya, Yogyakarta, Indonesia

Refleksi, Edwin’s Gallery, Jakarta, Indonesia

2000 Perupa Muda Bandung, Griya Seni Popo Iskandar, Bandung, Indonesia

Setengah Abad Seni Grafis Indonesia, Bentara Budaya Jakarta, Yogyakarta, Indonesia

Working with Prints, workshop and Graphic exhibition with Masha Ryskin, RedPoint Studio and Gallery, Bandung, Indonesia

Workshop and exhibition with Eva Pietzcker, RedPoint Studio and Gallery, Bandung, Indonesia

Relativities 4th, British International Miniature Prints Exhibition, Bankside Gallery, London, UK

1999 Biasahaja'99, Pameran Seni Cetak Grafis 3 Kota; Bandung, Jakarta, Yogyakarta, Indonesia

Seni Grafis Indonesia 1999, Taman Ismail Marzuki, Jakarta, Indonesia



수상

2015 Prudential Art Awards for Painting, Singapore

2009 SCMP Art Futures Prize winner, Hong Kong Art Fair, Hong Kong

2001 Top 5 of Philip Morris Indonesian Art Award, Indonesia





송은 아트스페이스 소개                                                                           

송은 아트스페이스는 재단법인 송은문화재단이 2010년에 개관한 복합문화공간으로, 1989년 재단 설립 이래 미술인들을 지원하고 송은미술대상을 통해 작가 발굴과 육성에 주력해 온 취지를 보다 발전시키고자 건립되었다. 


재)송은문화재단은 송은 아트스페이스 개관 이래 2011년도 주요 전시로, “카를로스 아모랄레스”, “안두진 개인전”, “프랑소아 피노 컬렉션”, 그리고 2012년도에는 “스위스 젊은 작가전”, “레안드로 에를리치”, “천성명 개인전”, “송은문화재단 소장품전”, “제12회 송은미술대상전”을, 2013년도에는 “프랑스 젊은 작가전”, “이세경: Recollection”, “채프만 형제 : The Sleep of Reason”, “제13회 송은미술대상전”을, 2014년도에는 “한경우 개인전”, “이탈리아 젊은 작가전”, “리카 재단상 수상작가전”, “제14회 송은미술대상전”, “최선: 메아리” 등을 개최하였다. ㈜삼탄 사옥 내 전시공간 송은 아트큐브(대치동 소재)를 통해 신진작가들 대상으로 전시공간과 도록 제작을 비롯한 개인전 개최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찾아오시는 길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로 75길 6 송은 아트스페이스

T 02-3448-0100  

F 02-3448-0105

www.songeunartspace.org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