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색(色)다른 색기(氣)전

  • 전시분류

    단체

  • 전시기간

    2015-04-16 ~ 2015-05-31

  • 참여작가

    김근중, 김선두, 장현주, 정종미, 최인선, 하태임

  • 전시 장소

    온유갤러리

  • 문의처

    031-422-3309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色다른 색氣전
․ 참여작가: 김근중, 김선두, 장현주, 정종미, 최인선, 하태임
․ 기간:     2015. 4. 16(목) - 5. 30(토) 
           AM 11:00 - PM 05:00
           화, 수요일 휴관
․ 장소:     gallery onyou
․ 연락처:   (031) 422 3309
․ E-mail:   onyougallery@naver.com

• 전시글
색기(色氣)를 발산하는 색다른 예술가들의 색채 향연(饗宴)
 
 인간의 색채인식 능력은 파랑색을 111가지로, 빨강색은 105가지로, 노랑을 115가지로 인지한다고 하는데 우리의 언어는 이러한 색의 현상을 다 잡아내지 못한다. 색에 대한 명칭만 가지고는 그 색의 실체에 접근하기 어렵다는 이야기다. 그만큼 색의 스펙트럼은 대단히 넓고 광범위하다. 이처럼 인간의 언어로 다 표현해 내지 못하는 것을 화가들은 자신들의 경험과 인식능력을 바탕으로 작품을 통해서 색의 광대한 영역을 보여준다. 이번 전시의 기획 의도는 이처럼 색에 대한 해석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6명의 작가들을 통해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형상으로서의 색채와 추상으로서의 색채, 그리고 발광하는 색채와 절제된 색채는 각각 어떤 미적 체험을 유발시키며, 또 작가 개개인의 색기(色氣)는 작품 속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 색 체험을 해보고자 기획되었다. 이와 함께 예술로서의 색뿐만이 아니라 인문학으로서의 색을 해석해보는 것도 이번 전시의 의미가 될 것이다. 

 색이란 무엇일까? 이 질문에 답하기란 쉽지 않다. 

시대와 문화권, 그리고 민족에 따라 색과 관련한 단어와 의미는 각기 다르게 쓰이기 때문이다. 서양문화권의 경우 문장이나 언어표현 속에서 파랑, 분홍, 녹색 등이 포함된 단어가 주를 이루는 반면 동양문화권에서는 빨강, 파랑, 노랑 등이 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있다. 그리스 철학자 데모크리투스는 색이란 빛을 이루는 원자와 우리 감각 기관의 상호작용 결과이기 때문에 빛이 없어지면 색도 없어진다고 주장했다. 이에 반해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물의 색은 고유한 성질이므로 빛이 없으면 색이 보이지 않더라도 색이 없어진 것은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뉴턴은 ‘색채는 빛 자체이다’라고 하면서 본격적으로 색의 개념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기 시작했다. 색채학자 노무라 준이치는 ‘색은 기호로 메시지를 전달하고 인간 심리에 고유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작용을 한다. 색은 인간의 감각 기관에 영향을 미치는 빛의 진동이며 이는 매우 감각적이라고 할 수 있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처럼 색에 대한 개념 또한 시대에 따라, 관점에 따라 다르게 정의 되어 왔으며, 그 의미와 상징, 그리고 선호도 역시 다양하게 해석되어 왔다. 가령 빨간색의 경우 로마시대에 가장 선호했던 색으로, 빛과 신성을 나타내는 성스러운 색으로 인식되어 성직자와 귀족이상만이 허용된 색이였다. 그러나 시대에 따라 욕망과 관련한 부도덕한 색으로, 또는 귀족과 부자의 신분의 상징으로, 그리고 통제와 금지의 색 등으로 표현되기도 했다. 파란색은 인도의 비쉬누신이나 이집트 아문신의 피부를 표현하는데 사용하였으며, 유태인들은 파란색을 야훼의 상징으로 여겨 신의 색이라 생각했다. 중세이후 서양에서도 파란색은 초월적 존재인 하늘의 색으로 여겨지면서 신의 색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또한 파란색은 염색기술의 발달과 성모마리아의 상징 색으로 인식되면서 빨간색을 밀어내고 유럽에서 선호하는 색으로 자리를 잡아가기 시작하면서 오늘날에는 세계인이 가장 좋아하는 색이 되었다. 노란색은 고대 중국에서는 황제의 색으로, 절대권력을 나타내기도 하였으며, 불교문화권에서는 부처의 깨달음을 의미하는 색으로, 빛을 상징하기도 한다. 반면에 서구 중세시대에는 배신과 기만 등의 부정적인 이미지로 해석되기도 했다. 이처럼 색의 선호와 상징은 각문화권과 시대에 따라 각기 다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예술가들에게 색은 인간의 한계능력을 넘어선 무한상상의 세계를 열어주고 인간의 심연에 잠재된  본연의 감성을 가감 없이 드러내는 도구이며 세상과 소통하는 기호이기도 하다. 색은 인간의 본성에 뿌리내리고 있는 욕망과 본능의 표현이며 탐닉과 절제, 그리고 공포를 표현하기도 한다. 색은 얼핏 보기에는 미술의 범주나 미적취향의 문제에만 국한되어 보이지만 색에 대해서 생각하고 의미를 살피는 것은 한편에서는 색을 예술의 영역 밖까지 확장하여 인문학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이며 이는 곧 세계에 대한 이해이자 인간에 대한 이해이기도 하다. 이처럼 색은 궁극적으로는 철학적 함의까지도 담아내는 것이다. 이번 기획전은 전시에 참여한 작가들 각각의 색채해석과 색채의 연금술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될 것이며 이를 계기로 색에 대한 철학적 담론의 단초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작가들에게 색이란.....

나의 그림에  있어 색은 나란 존재의 색채이며 그 자체가 메세지이다. 
색에는 나의 숨결과 삶, 즉 나만의 정체를 드러내는 뜻과 철학이 온전히 묻어있다.(김근중)

오래 묵은 시간의 빛, 우리 산하의 햇빛, 바람, 눈, 비가 겹겹으로 집적된 묵은지 혹은 싱건지 같은 것이다.(김선두)

암실이라는 은신처에서 조금씩 살아나는 비밀처럼 색은 시간이라는 필터로 걸러진 기억이다.
이미 나는 갈색들판과 겨울에 내린 눈과 그 정적 속에서 더 많은 것들을 기억했다.(장현주)

내 작품 속의 색은 한국 고유의 색이다. 한국인의 의식 근저에 자리하고 있는 색 개념으로 깊은 공간감과 중량감을 지니고 있다.(정종미)

다양한 음표들이 만나 조화로운 곡을 만들어가듯이 색들의 반복과 차이를 통해 펼쳐지는 하나의 노래이며 미지의 세계로 향해 열려있는 ‘문’이자 ‘통로’이다(하태임)

빛은 곧 색이고 색은 곧 인식의 공간이며 감각의 확장을 열어내는 열쇠이다
색을 통해 다양한 지각의 창을 조화로운 인상적 색채 공간으로 만든다.(최인선)

색은 언어를 뛰어넘는 일종의 기호와 같은 것이다. 다 말할 수없는 언어표현의 한계 때문에, 그리고 무궁무진한 색채의 현상을 작가들은 자신의 작품 속에서 모두 이야기하고 있다.

김 상 채(호서대학교 교수/미술평론)




김  근 중  Kim Geun-Joong 
現 가천대학교 예술대학 회화·조소과 교수
1986 대만문화대학교 예술대학원 졸업
1977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졸업 
개인전
2015 통인옥션갤러리, 서울
2014 고려대학교 박물관, 서울
2013 갤러리WE, 서울
2012 갤러리희, 양산
2011 공아트스페이스, 서울
2010 KIPS 갤러리, 첼시,뉴욕
외 다수
그룹전
2014 기운Dream드림, 광주시립미술관상록관. 광주
2012 봉산아트페어, 소헌갤러리, 대구
2011 九境展, 갤러리DA, 북경
2010 경기도의 힘, 경기도미술관, 안산시
2009 제3회 인사미술제, 가나인사아트갤러리, 서울
외 다수 
수상
1993 토탈미술상, 제3회 토탈미술대상전, 장흥 토탈미술관
1990 동아미술상, '90동아미술제, 과천 현대미술관
작품소장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선재현대미술관. 호암미술관. 토탈미술관. 금호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
양평군립미술관. 인천 길병원. SK을지로본사사옥. SK텔레콤 분당지원. 
삼성매봉빌딩.여의도 쌍룡증권 본사사옥. 한국방송공사. 
목동남부지방법원 검찰청. 송도 센트로드.



김  선  두  Kim Sun-Doo
現 중앙대학교 한국화과 교수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한국화과 및 동대학원 졸업
개인전
2012 느린선의 노래, Galerie Uhn, Königstein, 독일
2011 화가의 눈, 복합예술공간 에무, 서울
2010 취화선-흐르는 꿈과 그림, 주미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워싱턴DC, 미국
외 다수
단체전
2012 드로잉 다이어리, 신세계 갤러리, 서울 
2011 미인도, 주미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워싱턴DC, 미국
2010 21&그들의 시간들, 금호미술관
2009 삼경별곡, 살롱 드 에이치, 서울
외 다수 
수상
2009 제2회 김흥수 우리미술상, 한국미술협회
2003  제3회 부일미술대상, 부산일보사
1984  제7회 중앙미술대전 한국화부 대상, 중앙일보 주최
1993  제12회 석남미술상, 석남미술재단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헌법재판소, 성곡미술관, 강남삼성병원, 대구 국민 연금 관리공단, 제일 C.C, 코오롱, 호암미술관, 남부검찰청, 아산병원 외 다수


장  현  주  Jang Hyun Joo
이화여자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
개인전 
2015  5회 개인전  <숲, 깊어지다>
2011  4회 개인전  <어.중.간> 목인갤러리, 서울
2009  3회 개인전  <산,산,,산,,,> 장은선갤러리, 서울
2008  2회 개인전  <뜻 밖에서 놀다> 가이아갤러리, 서울
2007  1회 개인전  <지우개로 그린 풍경> 목인갤러리, 서울
단체전
2014 <산수진화론> 화봉갤러리, 서울
      <안견회화정신>전 세종문화회관.서울
2013  대숲에 부는 바람 <풍죽>전 국립광주박물관, 광주
2012  Flowers and sound, 워싱턴한국문화원, 미국
      하하호호<가족그림부채전>, 롯데갤러리영등포점, 서울
        <겹의 미학>展 공아트스페이스, 통인옥션갤러리
       <flower mat> 희갤러리, 부산  
        <신진경산수>전(展)겸재정선기념관, 서울
2011 <생명의사유>展 의재미술관, 광주
      <겹의미학>展 공아트스페이스, 서울
2010 <겹의미학> 인 더 박스갤러리,서울
      강진 Celadon Art Project 2010,강진청자박물관
      상하이 EXPO-한중일 현대미술展,중국상하이
      <문인의취展> 관산월미술관,중국심천           
2009 그림으로피어난매화 <탐매探梅> 국립광주박물관 외 





정   종  미  Jeong Jong Mee
現  고려대학교 디자인조형학부 교수
    고려대학교 색채연구소장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및 동대학원 동양화과 졸업
School of Parsons  in New York 
Dieu Donne Paper Mill & Printmaking Workshop N.Y.에서 수학

개인전 19 회   1991-2015
2011 제 17회 개인전-보자기 부인(인화랑, 서울)
2009 제 16회 개인전-역사속의 종이부인(신세계갤러리 센텀시티, 부산)
2009 제 15회 개인전 -역사속의 종이부인(금호미술관, 서울)
2007 제 14회 개인전 -어부사시사(코리아 아트-서울 코엑스, 부산)
2007 제 13회 개인전 -어부사시사(카이스트)
2007 제 12회 개인전 -종이 부인(Dr. Park 갤러리, 경기도 양평)
2007 제 11회 개인전 -어부사시사(M갤러리, 대구) 외 다수 

단체전 120 여회
2014  최치원 풍류탄생 (예술의 전당 서예관)
2013  어머니의 눈으로(시카고 한인문화센터)
       AMMA UMMA! 암마 엄마! ( India International Centre, 인도 델리) 
      현대미술, 원본성에 도전하다 (이화여대 박물관)
2012   겨울 겨울 겨울, 봄 - DMZ 평화그림책 프로젝트 (경기도미술관)
    고암과 오늘의 시대정신전 (고암 이응로 기념관)
    채용신과 한국의 초상미술-초상화, 이상과 허상에 꽃피다 (전북도립미술관)
2011   이미지의 수사학 (서울시립미술관)
    Scope N.Y. International Contemporary Art Show (뉴욕)  
    가인(佳人)-동양미술속의 아름다운 사람들 (이화여대박물관) 외 다수

수상     
제 13회 이인성 미술상 수상  2012
제 13회 이중섭 미술상 수상  2012






최  인  선   Choi In Sun
現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교수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및 동대학원 졸업
뉴욕 주립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졸업
개인전
2015    트리니티 갤러리, 서울
        갤러리 We, 서울
2014    아라아트센터, 서울
        갤러리 3, 서울
2013    예화랑, 서울
2012    데미화랑, 광주
2011    세브란스 아트 스페이스, 서울
         두인갤러리, 서울
2010    서화갤러리, 서울
         두인갤러리, 서울
2009    예화랑, 서울
2008    학고재, 서울
2007    The firehouse Gallery, 뉴욕
2006    Art Bank Gallery, 뉴저지, 미국
         진 아트 갤러리, 경기도
2005    웅 갤러리, 서울
         세오 갤러리, 서울
2004    노화랑, 서울
2003    Heidi cho Gallery, 뉴욕
         Dorothy Young Center for the Arts, 뉴저지, 미국
         Albert shahinian Gallery, 뉴욕
2001    금호미술관, 서울
         웅 갤러리, 서울
         서신갤러리, 전주
2000    갤러리서화, 서울 외 다수
수상
2005 제 1회  세오 중진작가상                                     
2003 제 2회  하종현 미술상                                    
2002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문화관광부 장관상             
1996 제 2회 한국일보 청년작가초대전, 대상           
1994 제13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우수상                   
1992 제15회 중앙미술대전, 대상 外                     





하  태  임   Ha Tae Im
現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미술컨텐츠학과 교수
   홍익대, 목원대, 경인여대 출강
1998 파리 국립 미술학교 졸업, 파리보자르(D.N.S.A.P), 프랑스 
1994 디종 국립 미술학교 졸업, 프랑스 
개인전 
2014 하태임 개인전, 한경갤러리, 서울
2014 갤러리아트 앤 썸머 초대전, 부산
2013 하태임 개인전, 가나 컨템퍼러리, 서울
2012 장흥아트파크기획 개인전, 인사아트센터, 서울
2009 갤러리 아트사이드 초대전, 북경, 중국
2008 갤러리 프렌치메이드 초대전, 뮌헨, 독일
2007 파리 씨떼 데 쟈르, 파리, 프랑스 외 총 17회 외 다수   
그룹전 
2015 ‘Spring Waltz _ 운율적 색채와 의미의 중첩’ 3인전, 슈페리어갤러리,서울
2014 개교68주년 기념전 ‘현대미술_인식의 확장’, 석당미술관, 부산    
2013 Contempoary Art Exhibition of INDIA& KOREA ‘Amma Umma’, 
     India international centre New Delhi, India
2012  제15회 방글라데시 비엔날레, 실파카라 아카데미, 방글라데시
2011  아트 포르테(삼익피아노 콜라보레이션), 가나아트센터, 서울
2010  G20서울정상회의 개최기념전, 국회도서관, 쉼박물관(연장전시), 서울
그 외 다수 그룹전 및 기획전
수상 
1999 모나코 국제 현대 회화전 모나코 왕국상 수상, 모나코왕세자재단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