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판화, 시대를 담다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SeMA 판화 컬렉션 - 판화, 시대를 담다 
SeMA Print Collection - Reflecting the Times 

○ 지난 <케테 콜비츠> 전시에 이어, 한국 작가들의 시대정신이 반영된 미술 움직임
    을 살펴보는 전시로, 1980~90년 제작 발표된 미술관 판화 소장품을 선별하여 당시 
    작가들의 관심과 시대의식을 살펴보는 자리 
   * 구성 : 오윤 <춤 III>, 민정기 <한씨연대기> 연작, 홍성담 <오월민중항쟁연작판화_새벽> 연작 등 출품 

참여 작가 : 김준권, 민정기, 박불똥,오윤, 홍선웅, 홍성담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은 지난 <케테 콜비츠> 판화 전시에 이어 2015년 5월 19일부터 8월 23일까지 한국 작가들의 시대참여적인 미술을 선보이는 SeMA 판화 컬렉션 – 판화, 시대를 담다 전시를 개최한다. 

서울시립미술관의 소장작품 중 1980~90년대에 제작된 한국작가들의 판화 작품들로 구성하였다. 전시는 당시 한국 판화 예술이 그 시대의 새로운 미술운동으로써 오늘날 한국 현대미술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역사적으로 주요한 역할을 수행했음을 주목한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의 급격한 사회변화에 반응한 새로운 소통방식을 모색한 이 미술운동을 조명하는 전시를 마련하였다. 

전시작품은 1980~90년대의 삶과 시대를 담은 작품들로, 주로 해당 시기에 작가들이 직접 겪은 정치, 사회 현실을 내용으로 하는 판화 작품들이다. 먼저 사진갤러리1에서는 민중미술의 대표작가 오윤(1946~1986), 6·25 전쟁과 분단이라는 역사적인 주제와 80년대 제3세계 정치 상황을 동판과 석판으로 시대의 풍경을 담아낸 민정기(1949~), 그리고 5·18 민주화운동을 오롯이 담아낸 홍성담(1955~)의 80년대 목판화로 전시를 구성하여 군사독재정권의 현실을 작품에 반영한 예술가들의 지식인으로서 시선을 살펴볼 수 있다. 다음 사진갤러리2에서는 1980년대 중반에서 90년대 초반사이 제작된 작품들로, 농민운동 지도자인 전봉준을 소재로 대동세상을 꿈꾸는 김준권(1956~)의 리놀륨판화(linoleum cut), 당대 정치, 사회 현실과 대중문화, 소비사회, 도시화 등 경제성장의 이면을 초현실적인 기법으로 풍자한 박불똥(1956~)의 리프로덕티브 오리지널(reproductive original)작품을 비롯하여 80년대 중후반 통일과 민주화에 대한 열망을 그린 홍선웅(1952~)의 목판 작업들을 만나볼 수 있다. 

오윤, 민정기, 홍선웅, 홍성담, 김준권, 박불똥, 여섯 명의 참여작가들은 해방이후 신식민지주의와 군사독재체제를 거친 한국사회 이면의 이미지들을 콜라주(collage)하거나 역사적인 사건을 이야기 구조의 판화 연작으로 제작하여 현실의 부조리함을 고발한다. 당시 작가들은 시대의 급박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판화를 매체로 선택했거나 회화의 새로운 방법을 찾아서 판화기법을 익혀 현실 사회에 적용한 것이었다. 이는 80년대 당시 정치상황 뿐 아니라 미술계 내부의 이미지/형상의 회복이라는 자생적 흐름과도 맞물려 있다. 

이번 SeMA 판화 소장품 전시는 당시 작가들의 관심과 시대의식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이다. 이들이 펼친 새로운 미술운동은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에서 사회비판적인 목소리를 내고, 현실을 작품의 주제로 확장시킴으로서 오늘날 한국 동시대미술의 형성과정에 크게 기여한데 큰 의의가 있다. 전시에 출품된 작품에 담겨진 당대 현실은 그 시대를 살아낸 예술가들 특유의 주체적인 시선으로 포착된 현실이자, 현장의 생생한 기록이다. 아무리 시대가 바뀌었다 해도 당시 젊은 지식인층으로 사회를 인식하고 작품으로 발언한 그들의 태도는 오늘날 동시대 작가들에까지도 유효하다. 사회적 현실은 항상 진화하며 새로운 인식을 요구하지 않는가?


○ 전시연계 프로그램 – 홈페이지를 통한 사전예약이 필수이며 예약 방법 및 자세한내용은 서울시립미술관 홈페이지-교육 메뉴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전시와 만나다> 
   - 6월 중 1회 14:00-16:00
     대상: 초등학생 / 30명
     장소: 사진갤러리, 스튜디오1
     7월-8월 중 수요일 14:00-16:00
     대상: 미취학 아동(6세-7세) / 30명 
     장소: 사진갤러리, 스튜디오 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