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김민정 : 결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전시명       김민정: 결
전시기간     2015. 11. 05 (목) ~ 2015. 12. 27 (일) 
기자간담회   2015. 11. 04 (수) 오전 11시, OCI미술관 5층 
개막식       2015. 11. 05 (목) 오후  5시, OCI미술관 1층
전시장소     OCI미술관 1, 2, 3층
참여작가     김민정 
전시부문     평면 회화 (한지 콜라주) 30여 점



Minjung Kim, Dobae, 2015, mixed media on hanji (Korean mulberry paper), 120 x 170 cm


■ 전시 개요

OCI미술관(관장 김경자)은 2015년을 마무리하는 전시로 《김민정: 결》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1991년 이탈리아 밀라노로 유학을 떠난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왕성하게 활동하는 김민정이 24년 만에 서울에서 선보이는 첫 귀국전이기도 하다. 김민정은 해외에서 활동하면서도 수십 년 간 한지와 먹을 주요 매체로 사용하여 왔다. 이번 전시에서는 그의 여러 작업 중에서도 한지 콜라주 회화 30여 점을 엄선하였다. 

작가가 2002년부터 시도하고 있는 이 작업은 향이나 초로 태워낸 얇은 한지를 집요하리만큼 켜켜이 붙여나간 것이다. 그의 작업에서 불에 그을린 종이의 가장자리는 먹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갈색 음영을 드리우며 강한 존재감을 발산한다. 이 흔적은 한지의 담담한 물성을 더욱 도드라지게 하며, 화폭에 깊이를 더하고 심상적 공간을 확장한다. 

김민정에게 한지는 단순한 재료가 아니라, 철학적 사고(思考)를 펼쳐내는 정신 공간이다. 미니멀하면서도 리드미컬하게 종이의 결을 가다듬으면서, 작가는 스스로의 숨결과 사유의 결을 고스란히 화폭 위에 옮겨 담는다. 

전시 출품작 중 작가의 세계관이 확연히 드러나는 작품은 <Pieno di vuoto(Full of emptiness)>와 <Vuoto nel pieno(Void in fullness)>, 그리고 <Pieno su pieno(Full of fullness)>이다. 작게 태워진 구멍을 보다 크게 태워진 구멍으로 덮어 가기를 거듭하는 이 작업은 채움과 비움의 관계가 양가적이면서도 동시에 순환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은유적으로 보여준다. 그 외 <Insight>, <Order>는 작가의 예술적 영감과 단상(斷想)의 이미지를 담아내고, <Tension>에서는 공간적 긴장감을, 그리고 <Alveare(Hive)>, <Story>, <The Street>는 점으로, 선으로, 물결과 같은 흐름으로 드러나는 강렬한 무언의 박동을 시적으로 표현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2015년 신작 <Dobae>를 처음 대중 앞에 선보이기도 한다. 반듯한 한지를 한 면 가득 쓱쓱 바른 이 작업은 황토방의 바닥 같기도 하고, 창호지처럼 보이기도 하여 한국인에게 익숙하고도 반가운 이미지이다. 현란한 색도, 기교도 없는 미색 한지로 표현되었지만, 종이의 표면 위에 향으로 태워낸 자국이 수도 없이 흩어져 있어서 마치 우주의 성좌(星座)를 옮겨놓은 듯 엄숙한 느낌을 자아낸다. 이번 새 연작에서는 이전보다 한 단계 더 함축적이고 미니멀해진 작품 경향과 인위적 의도를 최소화하여 무(無)에 가까워지고자 하는 작가의 최근 행보를 엿볼 수 있다. 
OCI미술관은 이번 전시를 통하여 김민정의 섬세하고 사색적인 작업 세계를 국내에 소개하는 한편, 작가의 명상과 직관의 세계가 관람객과도 정신적 교류의 물결을 자아낼 수 있기를 기대한다.




Minjung Kim, Order, 2013, mixed media on hanji (Korean mulberry paper), 145x 198 cm



■ 작가 소개 

김민정은 1962년 광주에서 출생하였다. 어렸을 때부터 우현 장은정으로부터 서예와 강영균 화백으로부터 수채화를 배웠으며, 홍익대학교와 동 대학원 회화과를 졸업하였다. 1991년 이탈리아 밀라노의 Brera Academy of Fine Art로 진학, Maurizio Bottarelli 교수의 지도 아래 수학하였다. 이후 이탈리아에 체류하며 창작 활동을 펼쳐왔으며, 최근에는 프랑스와 미국 뉴욕을 거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5년 베니스의 Ca’boto에서 저명한 독일의 미술사가이자 큐레이터 Jean-Christophe Ammann이 기획한 개인전 《Minjung Kim: The Light, The Shade, The Depth》 (2015.05.05~09.27)을 개최하여 전세계 미술계의 이목을 끌었다. 그 외 지난 20여 년 간 Fondazione Palazzo Bricherasio (Torino, Italy), Museo Comunale (Ascona, Switzerland), Museum Sbygningen (Copenhagen, Denmark), Henry Moore Institute (Leeds, UK), Guanshan Yue Art Museum (Shenzhen, China), Macro - Museo Arte Contemporanea (Rome, Italy) 등 해외 주요 미술관에서 전시하였다. 또한 Johnson Museum of Art at Cornell University (New York, USA), Brooklyn Museum of Art (New York, USA) 외 다수의 공공 기관에 작품이 소장되었다




Minjung Kim, The Street, 2015, mixed media on hanji (Korean mulberry paper), 140 x 200 cm



■ 작가 약력 

- 주요 개인전 - 
2015 “결”, OCI Museum of Art, Seoul, Korea  
“Minjung Kim: The Light, The Shade, The Depth”, Ca’boto, Venice, Italy 
(curated by Jean-Christophe Ammann)
2014 Oko, New York, USA
Studio d'Arte Raffaelli (Palazzo Wolkenstein), Trento, Italy
2013 Patrick Heide Contemporary Art, London, UK
2012 Macro – Museo d'Arte Contemporanea, Rome, Italy
2009 Galleria Valeria Bella Stampe, Milano, Italy 
2007 Guanshanyue Art Museum, Shenzen, China 
2006 Fondazione Palazzo Bricherasio, Torino, Italy
2003 Museo Comunale di Ascona, Ascona, Switzerland
- 주요 단체전 - 
2015 “Happy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Paintings”, Kang Collection. NY, USA
2014 “Abstraction: 1911-2014”, Leslie Sacks Fine Art, Los Angeles, USA
2012 “World”, Ermanno Tedeschi Gallery, Tel Aviv, Israel
2009 “Across the cross”, Trapani, Italy
2008 “Prospects and interiors-Sculptor’s drawings”, Henri Moore Institute, Leeds, UK




Minjung Kim, The Street, 2015, mixed media on hanji (Korean mulberry paper), 140 x 200 cm




Minjung Kim, Alveare, 2015, mixed media on hanji (Korean mulberry paper), 135 x 193 cm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