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서수영전 : 황실의 품위 2015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 영은미술관 입주작가展_ 서수영 SEO, SOO-YOUNG

      『 황실의 품위 2015_ The Dignity of the Imperial Household 2015 』

 - 전시명 / 입주작가 개인전_ 서수영 SEO, SOO-YOUNG
             『 황실의 품위 2015_ The Dignity of the Imperial Household 2015 』 
 - 전시기간 / 2015. 12. 26(토) - 2016. 1. 24(일)                   
 - 초대일시 / 2015. 12. 26(토)  4:00pm  오프닝
 - 전시장소 / 영은미술관 제 4전시실
 - 관람시간 / 10:00~18:00  (매주 월요일, 1월1일 휴관)
 - 작가 / 서수영 SEO, SOO-YOUNG
 - 출품장르 / 평면 채색화 
 - 작품수 / 40여점  
 - 주최∙주관 / 경기도 광주 영은미술관

○ 예약 및 문의 
 - 영은미술관 학예팀  
   031.761.0137  


2015 영은미술관 입주작가(단기) 서수영 개인展
『 황실의 품위 2015_ The Dignity of the Imperial Household 2015 』 전시 개최

▪‘황실의 품위 2015’ 타이틀로 2015년 12월 26일 부터 2016년 1월 24일까지
 영은미술관 제 4전시실에서 전시. 
 

 영은미술관은 2015년 12월 26일 부터 2016년 1월 24일까지 영은창작스튜디오 9기 입주작가 서수영 개인전 ‘황실의 품위 2015’ 展을 개최한다. 작가는 '금박'을 주 질료로 황실의 문화와 품위를 채색화기법으로 표현하고, 한국적인 것을 현대적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절제된 동양적 미감을 선 보인다.

국내 화단에서 활동하는 동양화 작가 중, 금박을 주 질료로 사용하는 작가는 극히 드문 편이다. 그렇기에 작가 서수영의 작품들은 재료나 물성 부분에서 더욱 독자적이고 특별하다. 작업 주제 또한 ‘황실’인지라 처음 작품을 마주하는 이들에겐 다소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주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그 속에 깊숙이 내재된 의미는 지극히 한국적인 소재들과 ‘먹’, ‘석채(石彩)’, ‘아교’와  ‘금박’이라는 물성 자체의 영속성이며, 그 중에서도 황실을 둘러싼 왕좌, 서책, 모란, 궁궐 등의 상징물이 시공간을 초월하며 표현되고 있다.   

 과거 학부 시절 한국의 춤, 율동을 담은 여인 등 다양한 한국화의 소재와 기법, 장르를 접해 보았던 작가는 2000년부터 본격적으로 ‘금박’을 주 질료로 선택하기에 이른다. 이후 황실과 관련된 인물. 특히 왕비의 형상을 많이 선 보였는데 이는 실존했던 인물이거나 고증에 의한 그것이 아닌, 우리의 상상 속에 존재하는 그의 이미지를 재 표현해 낸 것이다. 

 이번 전시에서 더욱 괄목할 만한 부분은 과거작에서 자주 등장하였던 인물이 빠지고 황실 속 다양한 사물들을 주 소재로 보여주는 것이며, 그 중 가장 큰 변화는 태극기의 문양이 황실의 상징물과 어우러져 새로이 표현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인물에 대한 정형화된 이미지에서 벗어나 또 다른 영역으로 확장된 작업에 새로이 도전하는 작가의 강한 의지와도 일맥상통한다.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전통적으로 평화를 상징하는 민족성을 나타내고 있다. 태극문양은 음과 양의 조화를 상징하며, 우주만물이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발전하는 자연의 진리를 형상화한 것이다. 4괘는 음과 양이 서로 변화, 발전하는 모습을 효(爻)의 조합을 통해 구체화한 것이다. 그 중 건․곤․감․리(乾․坤․坎․離) 는 우주만물 중에서 하늘, 땅, 물, 불을 각각 상징한다.”
_작가노트 중.


■ 작가 프로필

서수영 (1972-) seo_sooyoung@naver.com

동덕여자대학교 조형예술학 박사
한국미술관, Longsun Art Space (China), Galerie Visconti (France) 등에서 개인전과 다수의 초대전, 단체전을 개최하며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연구논문 및 학술발표를 꾸준히 진행하고, 현재 영은 창작스튜디오 9기작가로 활동중이다.   

소장처 고운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민속촌미술관, 한벽원미술관, 한국미술관, (주)강산건설, (주)대산시빌테크날러지, (주)서울나비, (주)Rainfall soft, (주)씨믹스, (주)Icksan USA, (주)JM, (주)효천공영, 센츄리21, 안견기념관 등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