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김해민 : "쾅"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아라리오뮤지엄 인 스페이스, 첫 번째 프로젝트 언더그라운드 전시

백남준, 박현기 이후 한국 미디어아트의 계보를 이어온 김해민
문화예술의 산실, (구)공간 화랑에서 김해민 35년의 정수 선보여


 
김해민, TV해머 ⓒ Kim Haemin 2016 

l 전시소개
아라리오뮤지엄 인 스페이스는 프로젝트 언더그라운드의 일환으로, 오는 3월 2일부터 4월 24일까지 김해민의 개인전 <쾅!>을 개최한다.

 1957년 대전에서 태어나 비디오아트의 선구자인 백남준의 계보를 잇는 독특한 영상설치 작업들로 화단의 주목을 받은 김해민 작가는 1980년대 초기 미디어아트가 급부상하던 시기부터 현재까지 35년에 걸쳐 가상의 이미지를 현실공간에 발현시키는 작품들을 지속적으로 선보여왔다. 

 이번 전시명의 모티브가 된 초기 대표작 <TV해머>는 망치가 화면을 내려칠 때마다 '쾅!' 소리와 함께 흔들리는 TV모니터를 통해 실재와 가상의 경계를 넘나드는 독특한 경험을 선사한다. 
 
 이처럼 미디어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바탕으로 가상과 실재, 과거와 현재, 현존과 부재의 절묘한 경계를 연출해온 김해민 작가는 작품 속에서 인간의 시지각적 경험이 가지는 허와 실을 유쾌하게 풀어낸다. 이번 개인전에는 80, 90년대에 발표되어 국내화단에 신선한 충격을 안겨준 초기 미디어 작품들이 재현되어 디지털화된 현재에 깊은 시대적 성찰을 유도한다.
 
 또한, 본 전시는7,80년대 당대 미술의 흐름을 선도한 (구)공간화랑 자리에서 진행되어 그 의미를 더한다. 아라리오뮤지엄 지하1층에 위치한 이 곳은 화단의 주요 작가들뿐 아니라 대중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작가들에게 전시 기회를 주고, 예술성과 실험정신을 우선으로 한 다양한 장르의 전시들을 기획하여 주목 받은 유서 깊은 공간이다. 

 이번 전시를 기획한 류정화 부디렉터는 '동시대 한국 현대미술에서 주요한 작업 방식으로 자리잡은 미디어 아트의 현 주소와 앞으로의 향방을 확인할 수 있는 뜻 깊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히고, '미술사적으로 의미를 가진 과거 작품의 재조명과 신진작가 발굴을 위해 기획된 프로젝트 언더그라운드를 통해 앞으로도 시대적 가치를 반영한 다양한 전시로 미술문화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l 작가약력

김해민 Kim Hae-Min

Korean, 1957 
대전 출생

개인전

2016     
!” (아라리오뮤지엄 인 스페이스서울)
2014     
지록위마[(指鹿爲馬) (누크 갤러리서울)
2008     
미디어 인스톨레이션 (아트 팩토리경기도 헤이리)
2003     
미디어 인스톨레이션 (일민 미술관서울
1998     
미디어 인스톨레이션 (금호 미술관서울
1996     
미디어 인스톨레이션 (VA nisiogi, 동경)  
1995     
미디어 인스톨레이션 (수 화랑서울)                        
1994     
미디어 인스톨레이션 (미건 화랑서울

주요 그룹전

2014    “NeMaf' 
서울 국제 뉴미디어 페스티벌 (미디어극장 아이공서울)
        “ International Video Art House Madrid” (
마드리드스페인)
2013    “The Flag Station' 
미디어 전 (쿤스트독서울)
        “
정전 60주년 기념 특별전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OCI 미술관서울)   
        “
디지털 퍼니처” 미디어 아트전 (아트센터 나비서울)
        “
주안 국제 미디어 페스티벌” (주안 축구 경기장인천)
2012    “
” 미디어 아트 전 (오산 시립미술관오산
        “
영상 예술의 도시-대구” 미디어 아트전 (국립 대구 박물관대구
        “
여기 사람이 있다” - 한국 근 현대 미술특별전 (대전시립미술관대전)
2011    “ 
육감 맛사지”   ( 아트센터나비서울)
        “ 
포스트 네이처”  (우민아트센터청주)  
        “ EMAP” ‘
풍경술’ 국제 미디어 아트 전 (이화여대,서울)
        “ 
미디어 극장”  (갤러리 정미소서울)
2010    “ 
인다프 INDAF' 인천 국제디지털아트 페스티벌 (송도 투모로우시티인천 ) 
        “ DMC” 
미디어아트 페스티벌 (디지털 미디어시티서울)
        “ Tomorrow Festival' 
미디어 아트전 (SBS 방송국 목동서울)
        “ Applogy' 
퍼포먼스와 전시 (쿤스트 독서울)  
        “ 
김해민-전지윤” 관계미학 전 (가회동 60 갤러리서울)
 2009   “2009 
미디어아카이브 프로젝트” (아르코 미술관서울)
        “ Grenzland' 
 (Evangelische Stadtakademie, 프랑크 프르트독일)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  (대전 시립 미술관대전)
 2008   ' 
현실과 허구의 경계 읽기  (서울 시립 미술관서울)
        ' Los Puntos del Compas' 
한국 현대 미술전(Fundacion Ludwig de, 하바나,쿠바)  
        “ Counterpoint' 
 (galeria U JEZUITOW ul, 폴란드)
        “ EXiS2008 
국제 실험 영화제” 국제경쟁부문  (서울 아트 시네마서울)
         ' 
작품의 재구성 ( 경기도 미술관경기도)
        ' Wonderful Life '
 (두산 갤러리서울)
 2007   ' Animamix ' 
비엔날레  (MOCA,상해 현대 미술관중국)
        “ Video Dumbo' 11th Video Art Festival (Dumbo, 
뉴욕, USA) 
        “
역의 정점” 국제전 (코리아나 미술관서울/상해 Bund18 Creative Center,중국)  
 2006   ‘2006‘ 
부산 비엔날레 바다 미술제 ( 해운대 sk 파빌리온부산)
        “
차도살인지계”  (카이스 갤러리서울
 2004   'Reality Check' (
대전 시립미술관대전)
        “
충돌과 흐름”  ( 서대문 형무소서울)
 2003    “
다큐멘터리”  (일민 미술관서울)
         “ Hommage A' PAIK' ( Space C, 
서울)
         “ 
리바이벌‘  ( 신 필름 센터안양 )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