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관찰놀이터:Seek&Find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전시제목ㅣ 관찰놀이터 : Seek & Find
전시일정ㅣ 2016년 7월 2일(토) - 9월 18일(일) (월요일 휴관)
참여작가ㅣ 정희우, 조종성, 삐에로 & 승민C                           
작    품ㅣ 10여점
지    원ㅣ 경기도, 파주시(시∙군 공사립 박물관∙미술관 지원 사업, 경기도민 50% 입장 할인)
조형물 제작ㅣMAKE : studio 



보이는 것은 많지만 정작 잘 보는 것은 어려워지는 시대이다. 상대방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읽어내기 위해 보이는 것, 숨겨진 것을 바라보고 읽어내는 리터러시(Literacy)가 모든 관계의 첫걸음이다. 작품과 관객, 미술관과 사람간 의미 형성의 장으로서 미술관 경험(Museum Experience)를 연구해 온 블루메미술관은 발달된 기술로 인해 직접적인 소통과 접촉이 부재한 시대에 ‘관찰’이라는 화두를 던지며 새로운 관계 맺기의 방식을 모색한다. 

 <관찰놀이터 : Seek & Find> 의 ‘관찰’은 고정되고 확정적 시각에서 주체와 객체를 분리하는 원근법과 전시적 시점이라기 보다 정신적 공명(Interaction)을 중시하는 몰아이입적 소요자로서의 시선을 의미한다. 이러한 한국화적 관찰태도를 주제로 삼는 본 전시는 한국화를 매체나 주제로 한정하는 태도에서 벗어나 한국화적 태도를 주제로 삼는 메타해석적 기획을 추구한다. 이제 자연을 동경하며 이상 세계를 꿈꾸던 화가의 마음이 함축적으로 담긴 산수는 미술관이라는 작가의 놀이터에서 재해석된다.

물을 좋아하여 먹을 잡고, 가르쳐 온 정희우 작가는 한국화과는 우리 그림을 어떻게 이을까라는 확고한 목표가 있는 전공이라 한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에 대한 탐색을 보여주기 위해 건물의 위 옆에서 카메라로 찍고 그리는 강남대로 시리즈 작업을 하다가 공간을 읽어내는 장치로서 카메라적 왜곡에서 벗어나고자 손으로 실물을 물리적으로 두드리는 탁본 기법을 활용하여 이미지를 재현한다. 물을 뿌리고 손으로 실제를 힐링하 듯 꼼꼼히 다독이며 토닥여 주는 습탁 기법은 금석학에서 사용되던 방식을 호출한 것으로 객관적 기호는 갈 수 있을 것 같으면서도 갈 수 없는 이 세계 기표의 껍질을 벗겨 기의를 드러낸다. 간판과 도로와 마을의 표상들을 읽어내어 온 작가는 이제는 미디어에 비추어진 평양공단의 화살표를 직접 어루만져 보고 싶어 한다. 

조종성 작가는 작업실의 초록색 단아한 방석을 근두운처럼 타고 옛 그림 속을 누비고 유희한 관념 산수의 세계를 관객과 나누고자 한다. 이동시점에서 본 산수는 작가의 그림 속 산책자로서의 시점을 입체와 평면을 통해 보여주는 작업이다. 두루마리 산수는 엎드려 그리는 수평적 작업 방식의 작품이 수직적 전시 공간에서 보여질 때 드러나는 시각적 차이점을 보여준다. 그렇다고 조종성 작가가 작업실의 도원 안에서만 사유하는 작가는 아니다. 그는 작년 이동식 화분같이 캐리어 가방에 유채꽃 흙을 오롯이 담아 단원고에 전달하는 퍼포먼스도 펼쳤다. 

이 시대의 물질과 공간을 직접 만지며 물리적인 흔적을 기록하는 정희우 작가의 방에서는 수백 년 전 바로크 음악이 흘렀으며 수천 년 전 산수의 집과 나무 속을 노니는 조종성 작가의 작업실에서는 K-POP음악이 울리고 있었다. 이처럼 작가는 과거와 현재의 사이를 명민하게 줄타는 존재인 것이다. 미디어 작업으로 참여하는 삐에로& 승민C는 신작 <마음으로 들여다 보기>를 통해 관찰하는 시선을 상상으로 연결하여 확장한다. 관찰이 담고 있는 사실성, 현재성, 객관성을 다른 시공간으로 넘나듦, 상호적인 시선으로 해석한 것이다. 내시경, 마이크, 카메라와 같은 낯선 관찰 도구를 제안하는 작품은 관찰 할 수 없는 것을 관찰해 보는 엉뚱하고도 기묘한 방식으로 관찰자와 관찰 대상을 대면시킨다. 

관객은 아티스트의 관찰법을 작품 속에서 발견하고 직관과 통찰이라는 핵심적인 앎의 기술을 배울 수 있다. 관찰은 고정관념과 다른 의외의 사실을 발견하고 기존사고의 오류와 편협을 수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관객은 본 전시를 통해 유연하고도 열린 사고의 방식을 예술가의 관찰과 일상의 시선을 비교하며 관찰의 미학적이고 교육적인 측면을 찾고(Seek)과 발견(Find)한다. 신세계 백화점, KB 국민은행 등과 협력하여 어린이와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사전 수업 후 미술관 방문 등 입체적인 전시연계 아웃리치 프로그램를 진행하는 관찰놀이터로 올 여름 초대한다. 


작가약력

정 희 우(b.1973)
2011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미술학과 박사과정 수료
2000 MFA,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Art 
1997 BFA,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개인전
2015 이층벽돌집, 써드플레이스 
2014 종로의 나무간판, 갤러리 그리다  
2013 담지도, 가회동60 
2013 도시를 기억하는 방법, 아트스페이스53 
2012 Peeling the City, 부띠크모나코미술관  
2011 시간을 담은 지도-강남대로 4년간의 기록, 노암갤러리 
2009 강남대로 고현학, 문신미술관 빛 갤러리
2008 강남대로 387-424, GS타워갤러리
단체
2015 빌린가게, 스탠다드 서플라이, 서울
무현금, 진천 종박물관
랜드마크: 세계 도시의 건축, 63스카이아트 미술관 
도시수집가, 스페이스 K, 대구
2014 한국 현대미술의 궤적 II, 서울대학교 문화관 
강북의 달, 북서울시립미술관  
Ticket to Seoul, K11, 상하이 
시간을 담은 지도-강남대로 4년간의 기록, 서울역사박물관  
프로젝트 아파트, 서울역사박물관  
2013 CREATIVE©ITIES, Pier-2 Art Center, 타이완 
오늘의 진경2013, 겸재정선기념관 
미묘한 도시, 그 곳의 온도, 유중아트센터 
Shedding of Culture, The Substation, 싱가포르
일시적 점거자, 도하프로젝트, 서울   
2012 이원전, 스페이스599  
[ ], 문래예술공장
Sub-Mullae 2012 In-Progress Presentation, 싱가포르 
Cotton Born to Live Twice, 동덕여자대학교 미술관, 서울 
2011 중심전, 충무아트홀 갤러리, 서울
초록, 공아트스페이스, 서울
花水木, 장흥아트파크, 경기
유쾌한 한국화, 즐거운 조각, 부평아트센터
서동요, 부남미술관, 서울
2010 오감도, 서울대학교 미술관
이원전, 공아트스페이스, 서울
아트 인 다이얼로그, 스페이스599, 서울
한국화의 이름으로, 포항시립미술관
2009 정희우. 김봄 2인전, 꽃+인큐베이터
한국화의 현대적 변용, 예술의 전당
2008 원유 인스톨레이션, 시네마디지털서울
2007 폴드07, 테이트 브리튼, 런던, 영국 

작품소장
문신미술관


조 종 성 (b.1977)

개인전
2015 운외운 몽외몽 雲外雲 夢外夢, 세움 아트스페이스, 서울
2014 숨겨진 시점, 풍경을 거닐다 조현화랑, 부산
 상자 안의 고양이 갤러리 버튼, 서울
2008 개입에 대하여 <agaINst intervention> 금호미술관, 서울
2006 숨겨진 화가의 시점을 찾아서 호기심에 대한 책임감, 서울 

단체
2016 paper 조현화랑, 부산, 한국
2015 무빙아트프로젝트, 시안 공 스페이스/서안 미술관, 중국
2014 음풍농월 사군자, 풍류에 물들다 월전시립미술관, 이천, 한국
AMprojekt-Kunstwerkstätten AMprojekt, 베를린, 독일
Crossing Usadanro -우사단 어바니즘 프로젝트 스페이스 엘로퀀스, 서울, 한국
Moving Triennal –Made in Busan 연안여객터미널/기상관측소, 부산, 한국
옥상의 정치-옥상민국 대안공간 이포, 서울, 한국
 ‘매화를 기다리며’ 조종성/정직성 2인전 이유진 갤러리, 서울, 한국
2012 금호영아티스트 45인 금호미술관, 서울, 한국
2011 부산영화제 특별전-‘익숙한 도시, 낯선 장소’ 부산신세계갤러리, 부산, 한국
SHIFT 조현화랑, 서울, 한국
이웃한 방식 닥터박 갤러리, 양평, 한국
2010 2010 BYUL COLLECTION NOW 신사아트타워, 서울, 한국
2010 자치구역 1-130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구청사, 서울, 한국
IYAP 2010 인터알리아 아트 스페이스, 서울, 한국
한국화의 이름으로 포항시립미술관, 포항, 한국
플라스틱 파라다이스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한국
2009 Green Utopia 사비나 미술관, 서울, 한국
Someplace 갤러리 인, 서울, 한국
2008 ‘공격하는 용기’ 대안공간 충정각, 서울, 한국
Scape-도시에의 시선 박여숙 화랑, 제주, 한국
‘조종성/패트릭 2인전’ galerie ColletPark, 파리, 프랑스
상하이 컨템포러리 BOD 특별전 상해, 중국
부산비엔날레 ‘미술은 지금이다’ 부산문화회관, 부산, 한국
‘돌아와요 부산항에’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한국
ART+FACT+STORY 부산신평공단 아트팩토리 프로젝트대창메탈(주), 부산, 한국
2007 푸른 대양 청춘의 개화 갤러리 벨벳&갤러리175, 서울, 한국
들썩 동덕아트갤러리, 서울, 한국
2006 공공미술 Art in city 낙산 프로젝트 이화동, 서울, 한국
2005 또 다른 풍경 보림 출판사, 파주, 한국


삐 에 로(이혜로, b.1975) 

2000 이화여대 작곡과 학사
2005 연세대학교 영상대학원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영상디자인 전공 박사과정

단체
2016 토끼와 자라 베트남 하노이, sky72
 2015 Catter piano 금호아트홀
풍-덩: Interface, Action, Museum 블루메미술관, 헤이리
sicaf 대학 만화 애니 제전 애니메이션 센터 주관
인터렉티브 패션 갤러리 원, 청담동
마티스 디지털로 거듭나다 블루 스퀘어, 삼청동
이 작품을 주목한다 이화여자 대학교 조형관
토끼와 자라 놀이체험전 ABC학습타운, 시흥
2014 능력자라 지능토끼, 이화아트센터
미디어 인 스페이스 이화아트센터
2011 the park 과천한마당축제
2010 애니메이션 <용궁탕> 사운드 디자인 


승 민 C (정승민,  b.1978)

2001 이화여대 정보디자인과
2004 School of Visual Arts MFA Design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영상디자인 박사과정

단체
2016 토끼와 자라 베트남 하노이, sky72
2015 몽타쥬, PlayGround 광주비엔날레 광주
풍-덩: Interface, Action, Museum 블루메미술관, 헤이리
sicaf 대학만화애니제전 애니메이션 센터 주관-전시기획
마티스 디지털로 거듭나다 블루 스퀘어, 삼청동
Poke A Dots | 이 작품을 주목한다 이화여자 대학교 조형관
토끼와 자라 놀이체험전 ABC 학습타운, 시흥
허풍선이과학쇼 대구, 수성아트피아- 전시기획
2014 Montage, ADADA, Japan
      능력자라 지능토끼 이화아트센터
      Apps, 2014 HCI KIDS 강원도
2004 GRAPHIS New Talent Design Annual, New York
2003 Type Directors Club, TDC49 Parsons School of Design Gallery, New York
     Type Directors Club, Five Traveling 전시, TDC49 US & Europe
      Adobe Design Award Print category
      SVA 3D Show, Art Directors Club New York
2002 Hunter & Gatherer, SVA Gallery New York
2000 Clock / Piano Dance 서울 미디어시티, 디지털앨리스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 <관찰과 발견>

 “예술의 관찰과 일상의 관찰은 어떻게 다를까?”

<관찰놀이터>는 미술관 경험(Museum Experience)의 핵심인 관계성을 ‘관찰’이라는 테마를 통해 고찰하는 어린이 체험전시이다. 관객은 ‘관찰’에서 출발하는 예술적 관계 맺기의 방식을 작품 안에서 발견할 수 있다. 더불어 배움과 관계 맺어가는 어린이들이 학습의 요소를 미학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예술가의 눈으로 관찰하고 발견하는 앎의 핵심 기술을 배워본다.

성격 l 전시연계 교육프로그램 
대상 l 만 4세 이상 어린이부터 성인까지(최대 40명) 
운영 l 2015.7.2-9.18 예약제(매주 화-금 AM 11:00, 토 PM 2:00, 4:00)
진행 l BMOCA 에듀케이터 
재료비 l 활동키트 1인 5,000원,20인 기준 단체 프로그램 일인 5,000원
                (입장료, 까페 블루메 10%할인권 포함, 동반교사 무료)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