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정희정 영상설치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전시소개


“방과 섬 사이의 제3구역”

정희정의 《개인극장》은 잠재된 무의식과 실제의 경험이충돌하는 제3의 구역을 가시화한다. 개인이 ‘자기’를 반영한다면, 극장은 ‘공공성’을 뜻한다. 그렇게 개인의 무의식과 공중의 경험일수도 있는 기억의 파편들은 <붉은 방>과 <벌거벗은 섬>에 산발적이고 무작위적인 사물의 모습을 한채 금지된 욕망을 드러내는 언표로 등장한다. <붉은 방>이무의식적 소망이 드러난 작품이라면, <벌거벗은 섬>은정희정이 본 현실의 풍경을 대변한다. 정희정은 그림의 원료들을 경험한 사건들, 꿈사고, 육체의 욕망에서 가져와 새로운 상상적 이미지로 만들어낸다. 그녀는 이런 상상적 이미지들을 시각적 이야기로 나타내는데 있어 전통 회화기법,사진몽타주, 디지털사진, 사진채색, 무빙, 웹 등 다양한 기법을 혼합한다. 즉, 정희정의 작품을 통해 우리는 전통에서 새로운 기계미술의 기술을다양하게 익히고 표출하려는, ‘그림을 그리는’ 오늘날의 충실한 화가로서의 자세를 엿볼 수 있다. 예부터 화가들은 기계에 예민하게 반응해왔다. 인물과 풍경을 더 섬세하게그리기 위해 카메라 옵스큐라를 그림 도구로 활용하고, 사진 기술의 발명으로 순간을 포착하는 화풍을 유행시켰으며, 시네마토그래피에 영향을 받아 ‘움직임’을 표현하는 키네틱아트도 발현시켰다.<붉은 방>과 <벌거벗은 섬>은 이러한 의미에서 더 흥미로운 작품이다. 자기 자신을 기록하고담아내는 데 있어 ‘무엇이 가상이고 실제인지’ 밝히지 않는, 오늘날의 ‘개인성’을 탐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녀는 자신에게 내재해있는 잠재되고 읽히지 않는 기억의 파편들을 꺼내놓는다.그것은 가상일수도 실제로 일어난 일 일수도 있다. 어느 미디어에서 본 것 일수도, 인터넷 서핑을 하다 본 것 일수도, 꿈속의 이미지일수도 있다. <붉은 방>이 이러한 개인의 무의식을 재현의 이미지로풀어놓은 것이라면, <벌거벗은 섬>은 자신이 섞여있는공중의 무의식을 꺼내놓는다. 그렇게 《개인극장》은 방과 섬 사이에 비물질로 존재하는 제3구역을 소개한다. 

김장연호(미디어극장아이공 디렉터)

 

 

정희정작가는 상반된 공간_가장 사적이고 은밀하다고 여겨지는 방과 멀리서 보는 듯 시야가 넓게 확보된 전경_을 다루는 것으로 이번 <개인극장>을 준비했다. 전시장 벽에서 마주보게 될 두 작품은 폐쇄된 실내에서계속 수상한 튀어 나올 것 같은 장면(붉은 방, 2016)과섬과 바다를 비롯하여 이런저런 사연이 숨어 있을 것 같은 요소로 가득 찬 풍경(벌거벗은 섬, 2015)을 다룬다. 이 둘의 시선과 정서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게될 것 같지만 이번 전시를 통해 수렴되려고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작가의 주변과 생활에서 오랜 시간사진으로 채집된 작업 속 이미지는 기묘하고 낯설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상징적 의미와 해석을 거부하고흩어지려고 한다. 이것은 마치 꿈이나 환영에서 나타난 이미지가 의식 속에서 다시 해석되기도 하지만, 결국 틈과 경계에서 맴도는 과정을 떠올리게 한다.

글임종은(독립 큐레이터)


작품이미지

벌거벗은섬


붉은 방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