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SF2021: 판타지 오디세이전

  • 전시분류

    단체

  • 전시기간

    2021-03-23 ~ 2021-05-30

  • 참여작가

    구현성, 김보영, 김희천, 듀나, 람한, 롬버스, 루시 매크래, 배명훈, 앤 리슬리가드, 양아치, 장서영, 장종완, 정소연, 최윤

  • 전시 장소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 문의처

    02-2124-5248

  • 홈페이지

    http://sema.seoul.go.kr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SF2021: 판타지 오디세이》
2021.3.23 ~ 5.30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전시실 1,2



-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의 2021년 첫 기획전으로 SF와 동시대 미술의 접점에서 현실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모색하는 전시
- 팬데믹 시대의 혼란스러운 세계와 가상 같은 현실을 탐구하며 SF의 상상력 위에서 ‘지금, 여기’를 이야기
- 텍스트와 시청각 이미지의 결합을 통해 SF 장르의 확장 가능성을 실험하고 SF 소설가와 미술작가의 협업 작품 선보여



□ 서울시립미술관(관장 백지숙)은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의 2021년 첫 기획전으로《SF2021: 판타지 오디세이》를 2021년 3월 23일(화)부터 5월 30일(일)까지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전시실 1, 2에서 개최한다.  

□《SF2021: 판타지 오디세이》는 SF와 동시대 미술의 접점에서 현실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모색하며 팬데믹 시대의 혼란스러운 세계와 가상 같은 현실을 탐구하기 위해 SF적 상상력으로 새롭게 설정된 세계관 위에서 ‘지금, 여기’에 관해 이야기한다. 
  ○ 최근 몇 년 전부터 국내에서는 이른바 ‘SF 붐’을 타고 소설은 물론 만화, 드라마, 영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SF 창작물이 주목받고 있다. 갑자기 SF의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 배경으로 기후변화, 인공지능, 자율주행 자동차, 팬데믹 등 우리가 실제로 SF 같은 세상을 살고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 또한 이번 전시를 통하여 SF 장르가 한국이라는 지역적 맥락을 읽어내고 우리의 정서를 반영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SF가 부흥하게 된 이유와 그 의의를 찾고자 한다. 
  ○ 변화에 대한 갈망이 현실을 반영하는 우리 고유의 목소리와 문법 속에서 수많은 개별 서사로 환원될 수 있다는 점은 SF의 커다란 매력이다. SF가 반드시 장대한 우주적 이야기일 필요는 없다. SF는 내 주변의 이야기이자 미래의 모습으로 이미 와 있는 현재의 언어이기도 하다. 

□《SF2021: 판타지 오디세이》는 열 명의 국내외 작가와 네 명의 SF 소설가를 초대하여 회화, 디지털페인팅, 사진, 영상, 사운드, 설치, 텍스트 등 다양한 매체의 작품 30여 점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SF에 담긴 미래적 사유가 현대 문화예술 전반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글과 이미지의 결합’과 ‘SF적 정서의 탐구’의 두 가지 방향에서 접근을 시도한다. 

<글과 이미지의 결합>
□ 전시와 프로그램을 통한 매체 실험을 시도하며 텍스트와 시청각 이미지의 결합, 교차, 순환을 통해 SF 장르의 확장 가능성을 실험한다. 전시는 SF(과학소설, science fiction)의 장르적 기원인 소설에서 출발하여 시청각 이미지와 텍스트의 결합으로 나아간다.
 
□ SF 소설가인 김보영, 듀나, 배명훈, 정소연은 SF의 기원과 본질, 현재성을 탐구하는 글을 제안하고 이 글은 전시를 구성하는 시청각 이미지와 어우러지며 전시 내부에서 SF를 조망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서울시립미술관의 2021년 전시 의제인 ‘트랜스미디어’적 차원의 탐색을 실천한다.  
  ○ 김보영의 ‘SF 연대기’ X 구현성의 실험 만화 연작
     - SF 소설가 김보영은 SF의 기념비적 문장들로 구성된 ‘SF 연대기’를 선보인다. 장밋빛 전망, 경고, 사회비판, 소외된 자들, 모험, 새로운 세상 등 총 여섯 개의 주제를 구체화하는 스물다섯 개의 텍스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에서 여섯 개의 텍스트가 시각예술가 구현성의 실험 만화 연작을 통해 재해석된다. 

  ○ 정소연의 ‘동시대 SF의 화두’ X 람한의 <베껴 그린 이야기>
     - SF 소설가 정소연은 최근 한국 SF 소설을 통해 우리 사회의 문제를 조명하는 ‘동시대 SF의 화두’를 주제화한다. 페미니즘, 생태, 아동, 정상성, 인간성, 사회적 기억, 생활공동체, 전염병대유행(팬데믹), 새로운 기준 등의 총 아홉 개의 주제 아래 현 사회에 반응하는 예리한 감각이 드러나는 문장을 소개한다. 시각예술가 람한은 이 아홉 개의 텍스트를 디지털 페인팅을 통해 재해석하여 선보인다. 
  ○ 배명훈의 소설 <징후> X 롬버스의 <나선형 진자>
     - SF 소설가 배명훈은 ‘SF를 주제로 하는 SF 소설’인 <징후>를 창작했다. 사운드 아티스트 롬버스는 배명훈의 텍스트를 청각 이미지로 전환한 사운드 작품 <나선형 진자>를 제시한다. 전시는 관객에게 텍스트와 이미지를 오가며 진동하는 경험을 제안한다. 
  ○ 듀나의 소설 <나의 도시에서>를 따라가며 전시 감상하기
     - SF 소설가 듀나는 ‘SF의 본질을 탐구하는 SF 소설’ <나의 도시에서>를 창작했다. 시작하는 순간부터 달려가듯 긴박하게 전개되는 이야기는 전시실 1, 2에 걸쳐 여덟 개의 공간에 펼쳐진다. 반짝이는 별빛 기호를 순차적으로 따라가면 듀나의 소설을 이어나가며 전시를 감상할 수 있다.

<SF적 정서의 탐구>
□《SF2021: 판타지 오디세이》는 SF와 동시대 미술의 접점에서 SF적 정서에 주목한다. SF의 기본적인 지향점은 경이감을 선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SF적 상상력은 미래를 경유하여 언제나 다시 현재로 돌아온다는 점에서 단순한 경이감 이상의 복합적인 정서를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정서는 현실을 다시 써나갈 수 있는 주체의 삶을 스스로 재구성하는 의지를 품고 있다. SF의 세계는 현실에서 발원한 세계이고 SF가 제시하는 새로움과 변화의 가능성은 현실에 뿌리를 두는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이 전시는 현실의 초월이 아닌 지금 이 세계와 존재에 대한 이야기로서 SF에 집중한다. 

  ○ 이 전시는 ‘왜 지금 SF인가’라는 질문을 품고 출발하며 그 해답 또한 우리 안에서 찾으려는 노력의 과정이다. 다른 시공간을 상상하고 경험하는 것은 유일한 세계를 공유하며 살아가는 우리에게 지속적으로 미래와 타자를 현실에 대입함으로써 현실 자체를 돌아보도록 만든다. 

  ○ 그러므로 SF적 정서의 탐구는 연대의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과정이다. 인종, 젠더, 장애, 빈곤 등의 인류의 문제가 호전과 악화를 거듭하는 역사의 시간 속에서 SF의 세계가 스스로를 구축함으로써 현실의 시계를 앞당기고 있다면 바로 그런 점에서 SF의 세계는 우리 사회의 소외되고 배제된 존재들과 고집스럽게 연대하려는 윤리적 세계이다. 그 세계가 비록 암울한 폐허일지라도 그 바탕에는 이 삶을 긍정하고 받아들임으로써 궁극적으로 진화하려는 의지가 깔려있기 때문이다.  

□ 이번 전시는 세계를 바라보는 틀이자 생각하는 도구로써 SF를 소개한다. SF가 창조하는 세계는 언제나 우리의 현실을 바탕으로 한다. 우리는 SF를 통해 다른 삶의 가능성을 ‘지금, 이곳’에서 꿈꿀 수 있으며 그것은 다시 현실을 변화시키는 동력이 된다. 이러한 현실과의 관계 속에서 SF를 살펴보고 SF를 창작하고 감상하는 것이 우리에게 가져다줄 수 있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 전시 개막과 함께 관객 참여형 온라인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전시 웹사이트(fantasy-odyssey.com)에서 소설가 정지돈과 관객의 참여를 통해 글과 이미지의 연대를 실천하는 공동의 창작물을 생산한다. 프로그램은 다수의 창작을 매개하는 실험적 형태로 이루어지며 ‘매체 실험’과 ‘정서의 탐구’를 통해 SF에 담긴 미래적 사유의 확장 가능성을 살펴보는 전시의 의도를 최종적으로 탐색하는 장이 된다.

□ 서울시립미술관은 전시 기간 중 참여 작가의 인터뷰와 전시 전경 등을 담은 온라인 전시투어 영상을 서울시립미술관 공식 SNS 채널에서 제공할 예정이다. 

  ○ 인스타그램 : instagram.com/seoulmuseumofart
     유  튜  브 : youtube.com/seoulmuseumofart
     페 이 스 북 : facebook.com/seoulmuseumofart
     네이버 TV : tv.naver.com/sema

□ 백지숙 서울시립미술관장은 “서울시립미술관은 코로나 팬데믹에 반응하는 미디어 패러다임의 전환에 주목하고 미술관 전시의 트랜스미디어적인 차원을 전방위로 탐색 중이다”라며, “최근 들어 국내에서 큰 호응을 얻기 시작한 SF 장르가 현대미술 작품과 전시를 통해서도 새로운 차원으로 이동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하였다. 

□ 서울시립미술관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하여 서울시 공공서비스 예약 사이트(yeyak.seoul.go.kr)를 통한 사전 예약제를 운영하고 있다. 전시 관람 일정을 포함한 자세한 정보는 서울시립미술관 홈페이지(sema.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서울시립미술관 전시도슨팅 앱을 통해 음성으로 작품 해설을 들을 수 있다.

  ○ 전시도슨팅 앱은 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에서 ‘서울시립미술관’을 검색하여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네이버 오디오클립을 통해서도 작품 해설을 들을 수 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