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악셀 크라우제: BLAU PAUSE

  • 전시분류

    외국작가

  • 전시기간

    2024-06-28 ~ 2024-08-01

  • 참여작가

    Axel Krause

  • 전시 장소

    갤러리LVS

  • 유/무료

    무료

  • 문의처

    02.3443.7475

  • 홈페이지

    http://www.gallerylvs.org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 BLAU PAUSE >
Axel Krause Solo Exhibition by Gallery LVS





창가의 여자 
Die Frau am Fenster ,2024, 캔버스에 오일, 50 x 50 cm




갤러리LVS가 독일 화가 악셀 크라우제의 개인전을 개최한다. 악셀 크라우제는 독일 통일 전후 긴장이 고조된 사회에 영향을 받아 탄생한 신 라이프히치 화파 (New Leipzig School)를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으로, 네오 라우흐, 크리스토프 루크헤베를레, 마티아스 와이셔 등과 동시대 작가로 여겨지며, 기존 화파에서 더 나아가 정제된 색채와 사실적이고 초현실적인 장면을 내러티브로 전개한다. 본 전시는 7년만에 돌아오는 네번째 한국 전시로 20여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악셀 크라우제는 1958년 동독 할레에서 태어나 기술공, 군인, 백화점 데코레이터, 라이프치히 오페라 회화실의 연극 화가 등 다양한 직업을 수행하며 청년기를 보냈다. 1981년에 본격적으로 라이프치히 대학에서 회화를 전공했고, 폴커 슈텔츠만, 아르노 링크와 같은 라이프치히 화파 2세대를 사사했다. 악셀은 동독에서 유년기를 보내며 동서 분단으로 인한 경제 쇠퇴와 시민들의 파산, 노동자 파업, 베를린 장벽까지 정치적 억압과 불황이 만연한 감시체제 사회 속에서 성장하고 생활했다. 1980년대 라이프치히 화파의 본고장인 라이프치히 대학에서 공부하며 여러 부분으로 구성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고, 혼돈의 분위기 속에서 자유와 쾌락을 갈망하던 당시 청년들의 야망과도 같은 대형 포맷의 회화를 제작했다. 억압받고 제약적인 사회의 폐쇄적인 면모를 회화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아이러니하게도 악셀은 전에 느낄 수 없었던 기쁨과 해방감을 느꼈다. 처음으로 느껴보는 내면의 예술적인 힘에 동화되었고, 고통스러운 현 상황을 초월하는 거대하고 긍정적인 활력을 예술에서 발견했다.

악셀 크라우제는 동문 네오 라우흐와 동시 작업으로 불안하고 혼란한 동독 분위기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회화를 제작하기도했다. 이 작품은 1985년도 당시 창문 표면의 소음을 주제로, 훈련캠프에 집합된 무력한 위치의 동독 청년들의 활력을 거대한 고치에 비유하여 블랙 코미디식으로 표현했다. 현재까지도 창은 절반 이상의 작품에 묘사되어 감상자가 주시할 중요한 회화 장치로 보인다. 안팎 즉 서로 다른 세계를 연결하는 문이자, 양방향의 관찰자가 존재하며, 상자처럼 막힌 동독 감시사회를 뚫는 해방구, 이상향으로 이끄는 통로 등 경험에 입각하여 무엇이든 될 수 있는 장치다. 실제로 베를린 장벽 건설 발표 이후 많은 동베를린 시민들이 경계선 지역 건물 창문에서 뛰어내려 서베를린으로 탈출한 역사적 사례도 있기 때문에 자유와 해방의 상징이기도 한 창문은 회화적 세계관과 현실을 관통하는 중요한 매개로 살펴볼 수 있다.



침묵 Das Schweigen, 2023, 캔버스에 오일, 120 x 160 cm

이 후 1990년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며 반전되는 분위기에 동조하여 악셀은 갑갑한 사회를 표방했던 매개인 고치 대신, 모네의 ‘생타드레스의 테라스’ 를 재구성하여 젊은 연인과 테라스, 바다를 그린 작품을 발표했다. 끝을 알 수 없던 분단 사회가 예상치 못한 순간 막을 내림으로써 찾아오는 심리적 변화를 표현했고, 마치 길을 잃고 갈래길의 낯선 이정표를 바라보는 막막하고 경직된 마음과 옛 기억에 대한 그리움, 미래에 대한 설렘이 교차하는 두 감정을 담아냈다. 이 작품으로 미국에서 장학금을 받아 한동안 오하이오주 콜럼버스에서 작업을 하기도 했다. 테라스는 악셀의 회화에 자주 등장하는 장소로 등장인물이 그리움 혹은 희망을 품어 먼 곳을 바라보는 장소이기도 하다. 지평선 너머에 무엇이 있는 지 알 수 없으나 보다 나은 미래와 행복이 있으리라 바라보며 자신을 돌아보기도, 타인을 관찰할 수도 있는 성찰의 공간으로 해석한다.

악셀 크라우제의 화폭 속 다양한 장소에 감상자가 개입하는 것도 미묘한 재미를 더한다. 주로 테라스, 수영장, 잠수함, 비행선, 격납고를 연상시키는 작업장, 병원, 주방 등이 배경이 된다. 욕실 또한 자주 사용하는 소재다. 1950년대 가정에 많이 보급된 가구들로 이루어진 간결하고 실용적이며 원색적인 인테리어는 악셀이 유년기를 보냈던 집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바우하우스 스타일을 떠올리게 한다. 거주지인 할레, 라이프치히와 가까운 바이마르에서 시작되어 독일 현대 디자인을 이끈 바우하우스 인테리어가 다양한 공간에 스며 있고 과거와 현재가 혼합되어 타임라인이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공간처럼 표현되었다. 등장인물들은 평소에 깊은 인상을 가지고 있던 흰 가운을 입은 사람들로 이루어지며 의사와 간호사, 신부, 미용사, 제빵사 등 다양한 직업군으로 묘사된다. 신 라이프치히 화파의 성향이 드러나는 비연계적인 사물 간의 배치, 다소 암담하고 우울해보이는 시대 정신, 원색과 톤의 대비가 주는 첫인상은 기묘하고 낯선 감정에서 시작한다. 눈에 보이는 모든 요소들은 어떤 이성적 연관성도 없다고 말한다. 모든 것은 꿈처럼 일어나는 내면의 예측불가한 생각, 무작위로 펼쳐지는 관념들을 조각보처럼 엮어 하나의 시각적인 장면으로 가시화된다. 어떤 작품은 극사실적 묘사를 통해 더욱 현실과 가까운 세밀한 인물의 표정을 통해 비현실적인 배경 속에서도 기시감을 준다. 불완전하고 통제적인 사회에서 다양한 경험과 감정으로 성장한 악셀 크라우제의 정체성을 떠올려보면 막연하게 합쳐진 것처럼 보이는 이미지들이 결국 한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 조각난 파편들이 물을 만나면 하나의 덩어리가 되어 움직이듯이, 부분적인 이미지들의 흐름은 하나의 화면과 각 개인의 경계를 허물어 감각의 소통에 도달하게 한다. 이 것에 대해 악셀은 ‘그림에는 이름을 붙일 수 있지만, 주제에는 이름을 붙일 수 없습니다. 고로 당신은 주제의 전달자입니다.’ 라고 말한다.



청사진 Blaupause, 2023, 캔버스에 오일, 80 x 120 cm


전시명 ‘BLAU PAUSE’는 독일어로 청사진을 뜻하며, 작품명으로 먼저 쓰였다. ‘BLAU PAUSE’ 는 직관적인 대비로 이루어진 화면이다. 원시적이고 적나라한 나신의 남녀와 단정하고 공적이며 현대적인 차림새의 여성, 서로 비례하지 않는 인물의 크기, 실존주의와 합리주의, 화면을 가득 채우는 분홍빛 공간과 거울에만 있는 푸른 벽의 단절감, 상반된 두 세계가 공존하고 감상자는 여성과 같은 방향으로 거울을 보며 이 사실을 깨닫는다. 존재하는 것의 부피만큼 바닥에 그림자가 드리워지지만, 그곳에는 푸른 벽만 없다. 청사진은 단어 뜻 그대로 푸른 화면, 즉 거울에 비친 모습이 될 수도 있지만 감상자가 개입한 분홍색 화면일 수도 있으며 두 세계 모두 해당할 수도 있다. 다만 우리는 모든 인물이 그러하듯 시선이 오른쪽 한 방향으로 흐름을 인지한다. 발을 딛고 서있는 곳이 청사진인지, 절대적으로 단절된 거울 속이 청사진인지는 정해져 있지 않다. 자신이 주제의 전달자가 되어 무엇으로도 해석할 수 있는 이야기가 던져지고, 우리는 과거와 현재 혹은 이상과 현실 만큼이나 분명하게 대비되는 화면을 통해 우리가 어디에 있으며, 어디로 가고 싶은 지에 대해 끝없는 고찰을 이어간다.

갤러리 LVS ∙ 이유진



악셀 크라우제: BLAU PAUSE

전시 기간: 2024. 6.28(금) – 8.1(목)
전시 행사: 7.4(목) 오프닝 리셉션 5PM , 6.28(금)-7.3(수) 프리뷰
전 시 명: 악셀 크라우제 개인전 <BLAU PAUSE> Axel Krause Solo Exhibition
장 소: Gallery LVS (갤러리 엘비스) 서울시 강남구 도산대로27길 33 (신사동, 쟈스미빌딩 B1) 
Opening Hour 9:00 – 18:00 (Mon-Fri) 10:00-17:00 (Sat)
전시문의 : T. 02-3443-7475 E. info@gallerylvs.org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