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이영섭 조각전: 영원한 모더니티 Ⅱ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자연의 거푸집이 만든 시간의 조각
조각가 이영섭 개인전 《영원한 모더니티 Ⅱ》 





- 전시명 : 이영섭 개인전 《영원한 모더니티 Ⅱ》
- 전시일정 : 2024년 6월 7일(금) - 7월 20일(토)
- 전시장소 : 갤러리마리 (서울시 종로구 경희궁1길 35 마리빌딩)
- 관람정보 : 화-토 11시-19시 (매주 일-월요일 휴관), 무료관람
- 웹사이트 : gallerymarie.org
- 인스타그램 : instagram.com/gallerymarie_
- 문의 : 02-737-7600, 이메일 infogallerymarie@gmail.com


갤러리마리는 2024년 6월 7일(금)부터 7월 20일(토)까지 조각가 이영섭 개인전 《영원한 모더니티 Ⅱ》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갤러리마리에서의 다섯 번째 개인전이며, 지난 2021년 이후 3년 만에 열린다. 

이영섭 작가는 자신의 조각을 '발굴 조각'이라 말한다. 평론가들 또한 그의 조각을 '출토 조각'이라 지칭한다. 주로 고고학이나 역사학에서 다뤄지는 '출토'와 '발굴'이라는 행위를 현대 조각과 결합하는 일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 것일까? 30여 년 전, 작가는 실제 옛 유물이 출토되는 현장을 지켜보면서, 조각의 일반적인 제작 방식-깎고, 다듬고, 쪼아내고, 붙이는 등-을 벗어나 어디서도 본 적 없고 누구도 시도하지 않은 새로운 기법을 조각에 도입했다. 

먼저 밑그림을 그린 후 구상한 작품의 크기와 형태에 맞춰 마사토질의 땅을 거꾸로 파고들어 간다. 여기에 다양한 오브제와 정확한 비율로 배합한 재료를 붓고 덩어리가 굳어지기를 기다린다. 길게는 한 달 이상, 수개월을 묻어두기도 한다. 그런 다음 땅속에서 굳어진 조각을 꺼낸다. 그렇게 발굴한 조각은 흙이 묻어있고 땅의 내음이 배어있으며 오랜 풍화를 겪은 듯한 흔적을 품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작가는 조각의 흙을 털고 물로 씻어내는 최소한의 손길만을 더한다. 

유물을 출토하는 것과 유사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형상들은 현재진행형의 조각이 아닌, 먼 과거로부터 온 존재처럼 믿기지 않는 질감을 지닌다. 그만큼 사람의 손이 덜 닿았고 인공적이고 인위적인 요소는 최대한 배제하였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완성해서 땅에 묻는 것이 아니라, 재료를 묻어두고 어쩌면 그것들이 땅속에서 스스로 완성되기를 기다리는 발굴 기법의 작업은 보편적인 상식과 과정을 역행하는 낯선 방식이다. 작가의 의도와 의지를 반영할 수 있는 것은 비어있는 공간에 형상을 만들어줄 재료를 붓고 흘려보내는 것까지이며, 그 이후 땅속 공간에서 형상이 만들어지는 것은 자연과 시간의 몫이다.

완성된 조각을 가까이 들여다보면, 투박하고 단순하며 절제되어 있다. 대략의 얼개만 있을 뿐, 원래 의도한 것인지 우연인지 구분할 수 없을 정도다. 이영섭의 조각에서 느껴지는 순수와 선함의 감정, 묵직한 깊이감 등은 이렇듯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미완의 형상으로 획득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시간성과 자연성을 배가시키는 발굴 기법은 기교가 없는 질박한 아름다움, 여백과 비움의 한국적인 미와 잘 맞아떨어지면서 지금의 조형성을 가져올 수 있었다. 이러한 한국 전통 조각의 미감을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우선 중요한 것은 친숙한 대상을 통해 교감의 폭을 넓히는 것이다. 발굴 기법을 적용한 ‘어린왕자’는 이렇듯 가장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찾아가는 작가의 지난한 여정 속에 탄생했다.

이영섭 작가에게 잘 만드는 것보다 중요하고 절대적인 것은 작품에 불어넣은 '시간성'이다. 기술이나 기능에 도달하려는 것이 아니라 수행하듯 내면에 닿아가는 시간, 그 자체가 목적이며 그래야만 세상과 소통하고 감정이 전달되리라 생각한다는 이영섭 작가- 그의 조각은 작가로서의 굳은 신념과 삶의 철학이 그대로 투영되었기에 더 큰 감동과 위안으로 다가온다. 무작위와 우연으로 만들어진 듯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시행과 착오를 거듭하면서도 기존의 통념에 얽매이거나 머무르지 않고 삼십여 년의 세월을 매진하며 지금의 발굴 조각을 완성시킨 작가의 ‘시간’이 새겨져 있다.




이영섭, <구름이(배꽃)>, 2024, 혼합재료, 61×22×19cm
이미지 제공 : 갤러리마리




이영섭, <어린왕자(여행)>, 2024, 혼합재료, 55×33×27cm
이미지 제공 : 갤러리마리

 


이영섭, <제주 소녀>, 2023, 혼합재료, 110×33×26cm
이미지 제공 : 갤러리마리

 


이영섭, <이브닝 파티>, 2023, 혼합재료, 71×22×18cm
이미지 제공 : 갤러리마리

 


이영섭, <서시>, 2022, 혼합재료, 85×34×19cm
이미지 제공 : 갤러리마리

 


이영섭, <천사(기도)>, 2024, 혼합재료, 76×35×24cm
이미지 제공 : 갤러리마리





이영섭 

주요 개인전
2024 《봄-바람이 불다》, 갤러리숨, 대전
2023 《바다로 간 어린 왕자》, 2448아트스페이스, 서울
2023 울산국제아트페어 특별전, 울산
2023 인천아시아아트쇼, 송도컨벤시아, 인천
2022 《어린왕자의 꿈》, 갤러리작, 서울
2022 《어린왕자와 함께하는 전등사의 가을》, 전등사, 인천
2022 갤러리르블리스, 대구
2021 갤러리블루스톤, 서울
2021 1883 모던인천 특별전, 인천
2021 《아틀란티스에서 온 어린 왕자》, 갤러리마리, 서울
2021 국제호텔아트페어 특별전, 인터불고호텔, 대구
2020 신전뮤지엄 오픈기념 초대전, 대구
2019 《영원한 모더니티》, 갤러리마리, 서울
2019 《희망의 빛으로》, 갤러리희, 양산
2019 《Fount of Thought》, 갤러리예동, 부산
2018 《부처님과 어린 왕자》, 통도사, 양산 
2017 《흙에서 나온 세월, 亞》, 갤러리마리, 서울   
2017 갤러리전, 대구
2017 갤러리위, 서울
2016 《시간을 머금은 순수》, 갤러리마리, 서울
2016 《봄 기다림》, 스페이스나무 양재, 서울
2015 스페이스나무, 양산
2015 갤러리예동, 부산
2013 갤러리예동 개관기념 초대전, 부산
2013 백혈병 소아암 어린이돕기 자선전, 한국백혈병소아암협회 & 갤러리예동, 부산
2012 갤러리전, 대구
2011 정소영갤러리, 서울
2007 박수근미술관, 양구
2007 대안공간 눈, 수원
2005 박여숙화랑, 서울
2002 박여숙화랑, 서울
2000 박여숙화랑, 서울
1998 토아트스페이스, 서울
1997 토아트스페이스, 서울
1996 경인미술관, 서울
그 외 다수

주요 아트페어
한국국제아트페어 KIAF, 화랑미술제, 반야프 아트페어, 대구아트페어 DIAF,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 BAMA, 서울아트쇼, 서울오픈아트페어, 아트부산, 아트제주, 아시아호텔아트페어 AHAF, 울산아트페어, 인천아시아아트쇼, 조형아트서울, 뉴욕 아트페어, 두바이 아트페어, 마이애미 아트페어, 멜버른 아트페어, 상하이 아트페어, 샌프란시스코 아트페어, 시카고 아트페어, 아트바젤 마이애미비치, 아트 카를스루에, 창저우 아트페어, 쾰른 아트페어, 팜비치 아트페어, 홍콩 어포더블 아트페어 외 국내외 아트페어 다수 참여

주요 단체전
2023 강원갤러리, 강원
2023 갤러리가이아, 서울
2023 울산롯데백화점, 울산
2021 불교박람회, 새재아트, 서울
2021 《아름다운 발견, 위대한 탄생》, 세미원, 양평
2021 《Let's DMZ 아트프로젝트》, 파주 임진각
2020 《QtFox 우주》, 상상공학원
2020 《Sees A Soul, OMV》, 평창 
2020 《불교의 향기》, 동덕아트갤러리, 서울
2020 《리얼리즘 오늘》, 춘천문화예술회관, 춘천
2018 경기 천년 도큐페스타, 경기도미술관, 수원
2018 불교박람회, 새재아트, 서울
2018 《개:화만발》, 갤러리마리, 서울
2017 불교박람회, 새재아트, 서울
2016 갤러리예동 자선전시, 부산
2015 불교박람회, 스페이스나무, 서울
2014 《GF4D Giving Back Art & Design》, 부산
2014 《The Art of Giving 나눔의 예술》, 갤러리 예동, 부산
2014 불교박람회, 갤러리나무, 서울
2013 문화나눔 아트프로젝트, 갤러리서종, 서울
2013 강정 대구현대미술제, 대구
2010 《경기도의 힘》, 경기도미술관
2009 이천도예비엔날레, 이천
2004 《기전미술 Art & Critic 24pair》, 경기문화재단
그 외 다수

조형물
낙산공공미술 프로젝트(서울), 명성황후 추모비(여주 명성황후 생가), 연등국제선원 원명스님 부도탑‧비, 해인사 일타스님 부도탑‧비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미술은행,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박물관, 모란미술관, 아주미술관, 신전박물관, 코렌스, 센텀병원, 전등사, 산이정원 외 개인 소장 다수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