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속간행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그라비티이펙트 : Gravity Effect

2024년 제8호
그라비티이펙트 (Gravity Effect) 2022년 Issue 8 - Metaverse 메타버스

동시대 미술의 현장을 반영한 키워드에 따라 엮어온 비평지 그래비티 이펙트의 이번 8호의 키워드는 ‘메타버스(METAVERSE)’이다. 요즘 일상생활을 하며 흔히 듣게 되는 용어들인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챗지피티(ChatGPT) 등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개념이 바로 ‘메타버스’이다. ‘메타버스’는 동시성, 영속성, 무제한성을 바탕으로 이전에는 실현할 수 없었던 일을 가능케 하는 제2의 현실을 일컫는 용어이며, 이번 주제를 연구하기 위해 책의 구성은 스크린(Screen), 미디엄(Medium), 네트워크(Network)라는 세 파트로 구성이 된다. 
스크린(Screen) 파트는 TV 이전부터 현재까지의 뉴미디어에 관한 다양한 예술 비평을 담고 있으며, 더 나아가 전시 속 미디어 작품의 활용과 설치 방식에 관한 논점들을 아우르고 있다. 
미디엄(Medium) 파트는 디지털 예술에 대한 관심이 급부상함에 따라 현대 예술의 다양한 재료들이 주목받고 있음을 관련된 주제로 풀어보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예술 재료와 형식에 대한 관심도 포함한다. 
네트워크(Network) 파트는 여러 층위의 세계, 다양한 현실, 다채로운 시간들의 연관성(Connectivity)에 주목하는 주제 글들을 담아냈다. 

INTRO
발행인의 글
다차원 인간과 메타버스 - 구나윤

SCREEN
여기, 스크린 - 최소리
투명성에 대한 미주: 이 카이저파노라마를 임대함 - 김맑음
어떻게 보면, 어떻게 볼 수 없는: 본다는 것의 뒷면에서 - 콘노 유키
영상 작품이여, 간결해지기를 바란다. 우리가 범람하는 스크린과 무빙이미지 속에서 질식하지 않도록 - 조현아

MEDIUM
재료의 확장–무엇이든 예술이 된다는 것 - 강민아
반투명한 세계에서 물장구치듯 - 전민지
물성의 예술: 타라 도너번의 작품에서 일상 오브제가 쏟아내는 변혁의 힘 - 정유진
나는 새긴다, 고로 존재한다 - 홍예지
깊은 시선과 인상주의: 전반 작업과 후반 작업의 사이클 속에서 - 콘노 유키
같으면서 다르기도 한 모든 것들 - 김주옥
디무트 슈트레베(Diemut Strebe)의 대화편 - 정수진
자율-감각-쾌락-반응-예술? 예술 영역으로서의 ASMR - 전민지

NETWORK
Used-verse: 새롭다고 하기에는 너무나 익숙한 - 정봉주
믹스버스, 불가능 속에서 가능을 탐색하기 - 김지연
아담과 이브: 버추얼 휴먼, 도구화 된 에로스 - 이민주
기꺼이 당신에게 보여드리겠습니다 - 남웅
가상과 현실 사이, 물렁한 신체의 이상함 - 오정은
질병이라는 여러 겹의 메타버스 - 조현아

YOUNG ARTIST
강이경 《SPACE LAG》전시 비평: 내가 만든 세상 - 김주옥

EXHIBITION
경계 없는 세계로의 여정 – 전혜인
예술은 지도일 수 있는가? - 최소리
《Glitch》 - 사만다 블루멘펠트 인터뷰 - 강민아
‘모바일 성찰성’을 시각화하기 - 최나욱
투명한 확장, 시선의 이주 - 최소리
두드리는 이에게는 열릴 것이니라: 박혜정, 추승준 인터뷰 - 정봉주

SPECIAL FEATURE
메타버스 아트, 미래 예술 시장의 가능성 - 김민지

GRAVITY EFFECT ART CRITIC AWARD
1위 포스트-관계 미술로의 이행, 마우리치오 카텔란 : 《We》전 - 김준
2위 고요함과 울림 사이, 몸을 드나드는 숨 - 정윤선
3위 모든 것을 집어삼키려는 동시대 미술관의 폭식적(binge) 열망에 대하여 - 김윤진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