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미술관 도슨트가 알려주는 전시 스크립트 쓰기―진심이 닿는 전시 해설의 노하우

  • 청구기호606/김68ㅁ
  • 저자명김인아 지음
  • 출판사초록비책공방
  • 출판년도2024년 4월
  • ISBN9791193296257
  • 가격24,000원

상세정보

글이었던 전시 스크립트가 전시장에서 말로 전달되는 과정을 정리한 안내서다. 저자는 ‘슨트씨’라 불리기도 할 만큼 알려지지 않았던 시절부터, 작품과 관객 사이에 선 전시 해설사 ‘도슨트’로 활동해 왔다. 전시 공개 전 자료 조사와 예습부터 전시 기획자 교육, 현장 투어, 시연 등을 통해 관객을 만나기까지를 경험과 팁을 섞어 전한다.

책소개

잠시 후, 전시 해설을 시작하겠습니다

미술관을 찾는 관람객의 경험을 설계하는 도슨트 전시 해설

미술 전시회에서 양치기가 양을 몰고 다니듯 관람객을 이끌며 작품을 설명하는 사람을 본 적 있을 것이다. 낯설고 난해하다고 느끼는 예술을 이해하기 쉽게 해설하는 사람, 바로 ‘도슨트’이다.

요즘 미술관에는 이러한 도슨트 전시 해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시와 작품을 이해하려는 관람객이 늘고 있다. 이에 도슨트 활동에 관심을 갖고 도전하려는 이들도 많아졌다. 국립현대미술관의 도슨트 양성 과정 선발에 도슨트를 희망하는 지원자는 해마다 늘고 있으며, 팬데믹으로 잠시 중단되었다가 재개된 2022년에는 600여 명의 지원자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15:1의 경쟁률을 기록하였다.

과연 도슨트의 전시 해설은 관람객에게 어떻게 감상과 감동을 유도할까. 또 도슨트의 말은 어떤 과정을 거쳐 완성되는 걸까. 이 책은 글쓰기로 완성된 스크립트가 전시 현장에서 말하기로 전달되는 모든 과정을 차근차근 설명한다. 전시가 오픈되기 전 자료 조사 및 스터디부터 ‘전시 기획자 교육’, ‘현장 투어’, ‘현장 시연’ 등의 교육을 마치고 관람객을 대면하는 실제 해설에 이르기까지 단계별로 필요한 도슨트의 연구와 연습에 관한 실질적인 팁을 알차게 담았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과 백남준아트센터 도슨트로 활동 중인 저자가 현장에서 겪은 다양한 에피소드와 실제 해설에서 사용한 스크립트를 읽으면서 관람객을 미술관으로 이끌기 위해 고민한 흔적과 예술에 대한 사랑도 함께 느껴보자. 지난 시절 어디쯤 미술관에서 위안을 얻었다는 저자처럼 우리 도 예술 속에서 위로와 공감을 받을 것이다.


전시를 빛나게 만들 스크립트 만들기와

관람객에게 손을 건네는 도슨트 해설 노하우

예술 작품과 전시, 미술관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뜨겁다. 이제 관람객은 단순한 미술 작품 관람에만 머무르지 않고 예술을 통해 자신의 삶을 반추하고 감동과 위안을 받으며 성장하고 싶어 한다. 이에 호응하듯 미술관도 다양한 계층에게 ‘열려있는 미술관’을 목표로 문턱을 낮추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관람객에게 작품 이해와 감상을 전달하며 예술의 출발점을 제시하는 도슨트의 역할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미술관 전시장에서 작품과 작품 사이를 오가며 해설하는 도슨트는 낯설고 난해하다고 여겨지는 예술을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관람객에게 연결한다. 많은 사람이 예술을 즐기고 향유하길 바라는 마음에서다. 이에 도슨트 활동을 희망하는 지원자는 해마다 늘고 있으며, 도슨트 해설 시간에 맞춰 미술관을 방문하는 관람객의 수 또한 늘고 있다.

이 책은 미술관 전시에서 최전선에 있는 도슨트의 ‘전시 해설에 관한 스크립트 작성 노하우’를 담았다. 또한 글쓰기에서 말하기로 완성되는 도슨트의 생생한 현장을 기록했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과 백남준아트센터에서 도슨트로 활동 중인 저자가 겪은 다양한 사례와 실제로 활용된 전시 스크립트를 통해 도슨트가 일하는 법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미술 초보에서 청소년, 장애인, 예술 애호가까지

다양한 계층의 관람객을 위한 맞춤 스크립트 작성법

전시 스크립트 작성 단계를 간단히 살펴보면, 도슨트는 전시의 공식 오픈 전부터 작가와 작품에 대한 개별 자료 조사 및 스터디, 미술관에서 제공받은 교육과 자료, 학예사와 함께하는 현장 투어를 바탕으로 스크립트의 초안을 잡는다. 이후 에듀케이터와 함께하는 현장 시연을 통해 동선을 잡고 스크립트를 다듬는다. 도슨트는 실제 해설에 들어가기 전까지 자연스럽게 말하기로 연결되는 스크립트를 위해 거듭 수정하며 연습한다. 다음은 두근두근 실제 해설이다.


2017년부터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도슨트 활동을 시작한 저자는 30여 개의 전시에서 500시간 이상의 전시 해설 경험을 통해 작성한 스크립트를 예시로 하여 실제 해설의 노하우를 일러준다.

‘전시 스크립트’에 대한 스크립트를 작성하듯 찬찬히 써 내려간 이 책의 특징은 미술관을 찾는 다양한 계층의 관람객 상황에 맞춰 전시 해설 방법을 공유한다는 점이다. 청소년, 시니어, 중장년 등 연령대에 맞춘 해설과 시각·청각장애인을 위한 맞춤 해설 방법이 담겨있다.

따라서 이 책을 읽으면 일반 관람객을 위한 스크립트가 청소년, 시니어, 중장년, 시청각 장애인 등의 대상에 따라 어떻게 수정되고 말하기로 이어지는지 알 수 있다. 미술이 낯선 이들을 비롯해 미술관 문턱이 너무나 높다고 느꼈을 사람들에게 작가와 작품, 전시에 관한 감상과 공감을 소통할 수 있게 만드는 도슨트의 역할을 실감할 수 있다. 이런 저자의 진지한 고민이 미술관과 관람객을 연결하는 매개자로서의 도슨트를 더욱 빛나게 한다.


예술을 더 많은 사람이 즐기고 향유하길 바라며

관람객에게 다가가는 ‘진심으로 도슨트입니다’

예술은 시대와 사람을 외면할 수 없고 어떤 방식으로든 동시대 사람들에게 전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전시와 작품을 통해 너와 나의 공통점을 발견하게 되고 종국에는 같은 시대를 애쓰면서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저자는 작품을 통해 작가의 진심이 전해져 미술관을 찾는 사람들이 아픈 마음은 내려두고 회복하는 느낌으로 미술관을 나선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다고 말한다. 그의 말처럼 도슨트를 희망하는 사람, 도슨트 해설에 참여하는 관람객 모두가 이 책을 통해 함께 성장하길 바란다.


지은이 | 김인아


2017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15기 도슨트로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문화역서울284에서 전시 해설사와 공간 투어 가이드로, 2019년부터는 백남준아트센터 20기 도슨트로 활동했고, 2020년 경기도미술관에서 도슨트 교육을 이수했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과 백남준아트센터를 중심으로 도슨트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일반 관람객, 단체, 청소년, 시각·청각장애인 등 다양한 관람객을 대상으로 현재까지 총 30여 개의 전시에서 500시간 이상의 도슨트 경험이 있다. 미술을 모르는 문외한에서 도슨트가 되었기에 미술이 낯선 관람객에게 예술 작품 감상의 길을 터 주는 데 보람을 느끼며 좀 더 쉽고 친숙한 해설로 다가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해설한 주요 전시로는 국립현대미술관의 《마르셀 뒤샹》 《MMCA 이건희컬렉션 특별전: 모네와 피카소, 파리의 아름다운 순간들》 《한국의 기하학적 추상미술》, 문화역서울284의 《커피 사회》 《개성공단》, 백남준아트센터의 《아방가르드는 당당하다》 《트렌스미션: 너에게 닿기를》 《빅브라더 블록체인》 등이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안녕하세요, 저는 슨트씨입니다.


1부 전시장에서 만나는 도슨트

미술관의 도슨트란?


도슨트는 왜 스크립트를 써야 하는가?

도슨트의 자질

도슨트에게 스크립트란?

멋진 도슨트로 서기 위한 출발선


2부 도슨트가 만드는 스크립트

스크립트 자료 모으기

전시 기획자 교육과 현장 투어

전시 안내 자료

도슨트 개별 조사, 연구와 스터디

전시 제목


모은 자료로 스크립트 만들기(글쓰기로서의 스크립트)

도입부

해설부

맺음부


완성된 스크립트로 해설하기(말하기로서의 스크립트)

현장 시연에서 말해보기

실제 해설 전 연습하기

두근두근 실제 해설


스크립트 수정하기

분량 조절

오류 바로잡기

구어적 표현으로 바꾸고 다듬기

리서치와 정보의 취사선택

거듭되는 수정

더 이상 뺄 것이 없는 스크립트를 향하여


실제 해설을 다듬기 위한 그 밖의 방법

모니터링하기

전시 연계 프로그램 활용하기

보조 자료 사용하기

돌발 상황에 대한 대처

도슨트 해설을 듣지 않는 관람객에 대한 배려

해설하지 않는 작품에 대해서

그밖에 알아두면 좋은 것

미운 오리 새끼가 백조가 되려면


3부 맞춤 해설을 위한 고민

관람객에 따라 달라지는 해설

관람객의 연령대에 따라 달라지는 해설

시각장애인과 청각장애인을 위한 해설


작품의 형식에 따라 달라지는 해설

회화 작품

조각·설치·인터렉티브 작품

영상 작품

사진 작품

아카이브

퍼포먼스


4부 도슨트 해설 사례와 스크립트 비교

닫힌 미술관, 도슨트는 곁에 없지만

오디오 해설 스크립트 작성(글쓰기)

오디오 해설 녹음하기(말하기)


오디오 가이드, 전시 해설 로봇 큐아이, 챗 GPT 그리고 도슨트

오디오 가이드

전시 해설 로봇 큐아이

챗GPT 그리고 도슨트


다양한 사례의 스크립트 비교

작품 〈다다익선〉의 다양한 용도별 스크립트


5부 도슨트의 해설은 정답일까

글로 맺고 말로 풀어가는 스크립트

말의 힘과 말의 덫

해설의 마지막 열쇠는 관람객에게


나오는 말. 모든 전시는 첫 전시이다

본문에 나온 전시 목록

참고 자료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