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낯선 골목길을 걷는 디자이너

  • 청구기호814.6/정73ㄴ
  • 저자명정재완 지음
  • 출판사안그라픽스
  • 출판년도2024년 4월
  • ISBN9791168230613
  • 가격16,000원

상세정보

걷는 행위로 장소를 이해하는 저자는 도시를 읽는/아끼는 방법으로, 사람과 세월의 감각이 반영된 골목길을 걷는다. 골목길 걷던 온몸의 감각으로 수집해 쓴 대구의 문화•예술 사연은, ‘사월에눈’으로 드러낸 환경 문제나 선거철 현수막, 도심 건물부터 시골 민박까지 사회•지역을 아우르며 어디를 들춰도 엿보이는 디자인을 얘기한다.

책소개

서울을 벗어나 대구로 간 디자이너가

대로를 벗어나 골목길에서 포착한 것들

『낯선 골목길을 걷는 디자이너』는 사진책 출판사 ‘사월의눈’의 북 디자이너 정재완이 월간 《대구문화》와 일간지 《영남일보》에 연재한 글을 엮은 에세이집이다. 넓고 곧은 길보다 좁고 구부러진 골목길을 걷길 선호하는 저자가 대구라는 지역에서 디자이너로 살아가며 포착한 풍경과 생각을 글로 옮기고 사진을 함께 담아 직접 디자인했다. 돼지가 돼지고기를 보며 입맛을 다시는 간판은 어쩌다 탄생했을까. 60층 넘는 초고층 빌딩이 이 도시에 왜 필요할까. 사투리는 왜 아직 문자화·시각화되지 않았을까. 세상을 보는 그의 관점은 디자인과 사회와 지역을 아우르며 현시대 가장 주요한 문제를 두루 환기함으로써, 우리가 일상에서 무심히 지나치는 것들에 눈길을 주고 같이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이야깃거리를 건넨다.


수많은 이야기가 쌓인 길과 ‘아주 작은 광장’에서의

비공식적이고 사적인, 또는 묵직하고도 소탈한 목소리

정재완이 대구로 터를 옮긴 건 2009년이다. 작은 도시의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의 대학교에 진학한 이래, 정병규출판디자인 편집 디자이너와 민음사출판그룹 북 디자이너로 일하는 동안 서울에 머물다가 영남대학교 교수로 임용되며 거주지를 아예 옮긴 것이다. 흔히 이런 이력을 ‘탄탄대로’라고 한다. 하지만 정재완은 언제나 자신이 선 위치와 세상이 말하는 가치에 의문을 가지고 고민하며 문제를 제기해 온 사람이다. 그리고 그의 발걸음은 자기가 가본 적 없는 길로, 대로가 아닌 골목길로 향했다.

그는 골목길을 걷는다. 오래되고 좁고 구불구불하고 수많은 사람이 지나온 방향에 따라 여러 갈래로 어지럽게 나누어진, 그래서 언제나 낯선 골목길을 걷는다. 그의 글도 골목길을 떠올리게 한다. 여기저기 기웃거리고, 샛길로 빠지기도 하고, 방향을 잃기도 하고, 그러다가 어딘지도 알 수 없는 곳에서 허름한 ‘무엇’을 발견하고 상념에 빠진다. 대구라고 하면 ‘보수의 심장’ ‘대프리카’ ‘고담 대구’ 같은 말을 떠올린다. 하지만 정재완에게 도시는 그런 추상적인 구호로 존재하는 게 아니었다. 그는 “바닥에 새겨진 돌멩이의 흔적을 보면서, 벽에 걸린 크고 작은 글자들을 보면서 온몸의 감각으로 도시를 직접 목격했다.”

정재완이 디자인 저술가 전가경과 함께 사진책 출판사 ‘사월의눈’을 시작한 건 2014년이다. 출판사 이름은 말 그대로 4월에 창문 너머의 눈송이를 보고 지었다고 한다. 언뜻 보기에는 그저 날씨가 신기하다며 넘길 일이었지만, 이들에게는 우려스러운 현상이었다. 4월의 대구에 눈이 내린다는 것. 그 이면에는 현재 전 지구적으로 끊임없이 화두가 되는 환경 문제, 기후 위기가 있었다. 정재완은 이 책에서 그런 ‘이면’을, 자기가 살펴본 ‘속’을 말한다. 선거철마다 걸리는 현수막의 일회성에 대하여, 끊임없이 먹고 마시기를 종용하는 치맥페스티벌을 위해 고기가 되는 수많은 생명에 대하여, 화려한 빌딩과 가림막에 에워싸여 그늘지고 고립된 쪽방촌에 대하여. 일상적인 풍경을 무심히 지나치기보다 잠시 걸음을 멈추고 들여다본다.

책 『훈민정음』의 북 디자인을 하나하나 살피며 그 형식의 아름다움과 디자인 자산으로서의 가치에 접근하는 부분에서는 북 디자이너의 전문성이 돋보인다. 동시에 정재완은 『훈민정음』의 대중적 번역본이 마땅치 않음을 토로하며 아쉬워한다. ‘북 디자인 공모전’에서 수상한 책임에도 불구하고 책의 디자이너보다는 저자에 주목하는 언론의 무지함을, 공공 디자인 현장에서 디자이너의 이름을 밝히지 않는 관행을 지적하기도 한다. 지역에서 ‘고군분투’하는 디자이너 및 청년 이야기, 정비 사업에 위협받는 ‘도시의 디자인 문화 자산’ 오래된 거리 글자 이야기 등에서는 디자인과 사회와 지역이 하나로 만나며 마치 “골목길과 골목길이 교차하는 아주 작은 광장”에 선 듯하다.

스스로의 글을 “비공식적이고 사적인 웅얼거림”이라고 했지만, 그의 목소리는 묵직하면서도 소탈하다. 문제를 제기하는 그의 어조는 진솔하지만 냉소적이지는 않고, 너무 가볍지도 무겁지도 않은 담백함과 신중함이 있다. 그의 이런 태도는 디자이너를 넘어 이 사회를 함께 살아가고 만들어 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생각해 봐야 할 주제를 다루는 데 귀감이 된다. “어떤 문제를 제기하면서 답을 내고 싶은 순간이 없지 않았지만, 답을 내는 것은 불가능했다. 독자께서는 대구에서 살아가는 디자이너가 보고 생각한 것들이 무엇인지를 헤아려주시길 바란다.” 그가 디자인한 이 책의 물성에는 여타 설명을 덧붙이기보다 실물로 만나보기를 권한다. 책을 직접 만져보고 책장을 넘기는 동안 디자이너의 의도가 전해지리라 믿는다. 


지은이 | 정재완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를 졸업한 후 정병규출판디자인과 민음사출판그룹에서 북 디자이너로 일했다. 거리 글자에 관심을 가지고 2008년부터 개인전 〈글자풍경〉을 네 차례 열었으며, 2018년에는 전시 〈정재완 북 디자인전〉, 2019년 지역 시각 문화를 기반으로 한 〈(북성로) 글자풍경〉 전시를 열었다.

함께 지은 책으로 『세계의 북 디자이너 10』 『전집 디자인』 『아파트 글자』 『디자인된 문제들』 등이 있으며 디자인한 책 『산업의 자연사』가 1회 한솔 인스퍼 어워드에서 대상을 수상했고, 『작업의 방식』이 2022년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에 선정되었다. 현재 영남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교수이자 AGI 회원, 한국디자인사학회 회원,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며 사진책 출판사 ‘사월의눈’ 북 디자인을 도맡고 있다. 


목차


여는 글. 구부러진 골목길에서


대구(들)

글자를 오래 간직하려는 마음

간판을 보며 우리 삶을 반성하다

아파트와 글자 도시에 대하여

팬데믹과 디지털

고치는 것보다 새것이 더 쉽고 편한 세상의 그림자

제로 웨이스트 숍, 제로 웨이스트 시티

‘무해한 페스티벌’을 궁리한다

“그러니 제발 나를 좀 그냥 놔두시오!”

대구 그래픽 디자이너와 문화의 운동장

글자의 계절, 시월

도시와 글자: 가장 젊은 도시 전용 서체를 위하여

폰트에 담긴 정신

신신이 디자인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

간단한 걸 복잡하게, 복잡한 걸 간단하게, 무엇보다 따뜻하게

기록을 구축하고 도시를 기억하는 독립 출판

독립 출판이라는 ‘작은 돌’

길, 어렵고 외롭고 두려운

북한산의 ‘검은입’과 ‘사자털’

호텔방과 쪽방

담장 허물기와 환대하는 마음

삶의 문화를 살피는 디자인

동대구역 승강장에선 왜 많은 이가 무단 횡단을 할까

디자인과 미술의 관계 맺기

문자화되지 않은 언어, 사투리

디자이너의 이름을 허하라!

헌책이 되고 싶다

아름다운 책 『훈민정음』

한국전쟁과 대구의 그래픽 디자인

편견과 혐오를 떨쳐버리는 디자인

디자이너 세계의 기울어진 운동장

청년들이 살고 싶은 도시는

도시는 책이다

대구에서 디자이너가 멋지게 살아가려면

시골 한옥 민박집에서 보낸 하룻밤

쉽게 포기할 수 없는 아름다움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