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애니미즘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사진, 조각, 설치, 영상, 다큐멘터리, 아카이브 등 다양한 장르의 국내외 작가 35인이 참여한 국제 순회전.


시각문화를 통한 인문, 문화적 담론을 만들어내는 것에 주력해 온 일민미술관(관장 김태령)은 12월 6일부터 2014년 3월 2일까지 20세기 초에서 동시대에 이르는 국내외 작가들의 다양한 작업과 연구 아카이브를 함께 전시하는 <애니미즘>전을 미술관 전관에서 선보인다.


전시를 통해 애니미즘 개념으로 오늘날의 현대성을 돌아볼 수 있도록 인문학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국내외 37개 팀의 작업 50여 점이 소개된다.
 애니미즘은 사물에 영혼이나 주체적 성격이 깃들어 있다는 믿음으로, 합리와 이성으로 대변되는 현대 사회에서는 배척되거나 무시되어 왔다. 20세기 초에서 동시대까지 다양한 시기의 작가들을 선보이는 <애니미즘>은 근대적 이성주의의 억압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오늘날에도 우리 삶에 깊숙이 들어와있다. 이번 전시는 애니미즘이라는 영역을 통해 이를 둘러싼 현상이나 근 현대 담론, 애니미즘적 세계를 통한 새로운 서사의 가능성 등을 이야기한다. 자연과 인공, 합리성의 구축, 지식의 체계, 무속과 믿음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작품과 자료를 제안하며 애니미즘을 둘러싼 세계의 이면을 재확인하고, 우리의 근대성을 반성하는 시간을 마련한다.


<애니미즘>전은 애니미즘을 단순히 현대적이지 않은 오브제나 비서구적인 어떤 것으로 보는 관점을 탈피하고자 한다. 오히려 생명이 없는 물체에 영혼을 부여한다는 제한적 애니미즘 개념을 넘어 이 개념을 둘러싼 이해와 표현, 상상, 담론을 아우르는 미술 작품, 다큐멘터리 영화 등과 지식 활동을 선보인다. 특히 본 전시를 기획한 큐레이터 안젤름 프랑케는 애니미즘을 서양식 경계 짓기의 도구이자 담론으로써 바라보고 있다. 이성을 가진 근대 주체의 형성 과정에서 애니미즘과 같은 영역은 전근대이자 원시적인 것으로 구별되었던 만큼, 이 개념을 서구식 근대성과 식민지 타자들을 가르는 명확한 경계를 세운 장치로 보고 이에 대한 반성적 접근을 시도한다. 한편 나아가 오늘날의 사회에서 토착문화의 파괴에 대한 저항성과 애니미즘적 세계관을 통한 새로운 정치성을 다루어보고 있기도 하다.


<애니미즘>은 2010년 벨기에 앤트워프 엑스트라시티에서 시작되어 베른, 베를린, 뉴욕, 중국 선전 등 여러 나라의 주요 미술 기관에서 개최되었는데, 특히 이번 한국 전시는 큐레이터 안젤름 프랑케와 협업과 지역 리서치를 통해 다수의 국내 작가를 비롯, 동아일보의 역사적 아카이브에서 찾은 20세기 초 신문자료, 일민시각문화총서를 통해 축적한 시각문화 기록자료 가운데 일부 또한 선보이며 지역 내 맥락과 함께 더욱 역동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본 전시를 기획한 안젤름 프랑케Anselm Franke는 현재 독일 세계 문화의 집 시각예술 분과 수석 큐레이터로 재직 중이며, <애니미즘>은 전시, 컨퍼런스, 도서 출간 등으로 확장하며 지속되는 프로젝트이다. 일민 미술관에서의 전시는 아시아권에서는 순회전 가운데 가장 큰 규모로 치러지며, 2014년에는 레바논 베이루트에 있는 동시대 예술 센터인 아쉬칼알완Ashkal Alwan으로 무대를 옮겨 치러질 예정이다.


■ 주요작품 소개

유형학적 사진 작업의 기틀을 만든 독일 사진작가 칸디다 회퍼Candida Höfer는 실험실과 박물관을 다룬 연작을 선보이며, 실험영화의 선구자로 시각문화에 한 획을 그은 렌 라이Len Lye는 20세기 초에 만든 실험 영상을, 애니메이션의 아버지로 알려진 월트 디즈니는 춤추는 해골을 소재로 직접 연출한 1929년 작업 을 선보인다. 또한, 현존하는 가장 중요한 독일 영화감독이자 미디어 아티스트인 하룬 파로키Harun Farocki는 최신작 (2012)를 통해 컴퓨터로 만들어낸 풍경과 실제 풍경을 나란히 제시하며 생명과 자연, 가상의 경계를 언급한다. 특히 2층 전시장 한 쪽 벽면을 가득 채우는 대형 회화작업을 선보이는 애덤 아비카이넨Adam Avikainen은 이번 전시를 위해 삼 개월 간 한국에 체류하며 작품을 창작하였다.


이번 <애니미즘>전에서 선보이는 한국 작가들의 작업으로는 근대화 이후 토착 무속 신앙의 급격한 성쇠를 주제로 작업하고 있는 박찬경의 사진작업을 비롯, 시각예술 작가이자 영화감독으로 활동 중인 임흥순의 <비념>(2012), 구동희의 영상작업 (2012), 한국적 풍경의 배면에 내재한 원초적인 야성과 토착성을 보여주는 김상돈의 (2009), 무당의 숨을 불어넣은 유리병 작업을 통해 예술과 주술이 가진 보이지 않는 힘에 주목하는 길초실의 The Breathtaking(2012) 등 이 있다. 또한, 일민 시각문화총서 <격물치지>에 소개된 바 있는 박호상의 사진작업, 일민 시각문화총서 <See, Show and the Windows>에 소개되었던 이동엽의 사진작업 등 리서치를 통해 선택한 작업을 비롯, 인문학박물관과 동아일보 아카이브 등 여러 시작자료 아카이브에서 수집한 자료들을 함께 제시한다.


■ 기획자 안젤름 프랑케 Anselm Franke소개

브뤼셀과 베를린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안젤름 프랑케는 베를린 KW Institute for Contemporary Art 큐레이터, 벨기에 안트베르펜 Extra City Kunsthal의 디렉터를 역임했으며, 현재 베를린 세계 문화의 집Haus der Kulturen der Welt 시각예술분과 수석큐레이터, 베를린 국제 다큐멘터리 포럼의 공동기획자로 활동하고 있다. 런던 골드스미스 칼리지, 칼스루헤 울름조형대학 등에서 강의했으며, 주요 기획 전으로 마니페스타7(2008), 브뤼셀 비엔날레(2008-2009) 타이베이 비엔날레(2012) 등이 있다.


■ 애니미즘: 전시와 개념에 대하여

안젤름 프랑케

<애니미즘> 전시는 예술이나 만화영화와 같은 대중문화에서 이미 우리에게 친숙한 애니메이션animation으로부터 출발한다. 예술에서 애니메이션은 특히 멈춰있는 어떤 것에 움직임을 가해서 생명력을 불러일으키는 효과로 흔하게 사용되고 있지만 조각이나 특정 회화와 같은 미술 작품들이 관객의 시선을 되살아나게 하는 효과 또한 존재한다.


그러나 미술의 여러 기법 중 하나로 인식되는 애니메이션은 기법에만 국한되지 않는 역사적 논쟁의 주제이다. 살아 있다고 인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미술이라는 범위 밖에서 이러한 질문을 던진다면 질문 자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더 나아간 구별짓기를 요구하는 또 다른 질문들을 예외 없이 불러일으킬 것이다. 단지 움직임을 가하는 것은 개별적인 생명과 동등한 개념으로 인식되지 않으며, 이 사실에 의심할 여지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그것을 구분하는 경계선은 어디 있는가? 영혼이나 생명, 움직이는 힘을 가진 것은 무엇인가? 생물인 것과 생물이 아닌 것 사이의, 혹은 순수한 주체와 단순한 객체 사이의 경계는 결코 자연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다. 이 는 각기 다른 문화에서 이 경계가 매우 상이한 방식으로 인식되고 상상된다는 단순한 사실로 알 수 있다. 따라서 “올바른” 구분이라는 것에 대한 궁극적으로 “객관적인” 규정이란 것은 없다. 하지만 이 경계선은 “순전하게” 주관적인 문제도 아니다. 결국, 이 경계선이 자연과 인간의 물질적 관계에 중요한 만큼, 특정 사회에 있는 유생물들의 사회정치적 상태에 대한 문제에 있어서도 중요하다. 이러한 경계선 자체를 조직적인 지식 시스템 및 실천들과 더불어 검토하는 것이 가능할 것인가? <애니미즘> 기획은 가상의 구분이 증후적으로 문화를 반영한다는 전제, 그리고 재현, 미학적 과정, 미디어 이미지는 이러한 경계선을 구축하고, 반영하고 가로지른다는 전제로부터 시작한다. 결과적으로 이 전시는 어떻게 이러한 경계가 미학적 주관화와 객관화 과정에 반영되어 있는지를 탐구하며, 이러한 미학적 과정들을 식민지적 근대성이라는 견고한 사회정치적 맥락에 놓고자 한다.


근대 서구적 관점(이 관점의 이원론적 개념은 주체와 객체라는 범주의 분리를 전제로 한다)에 대한 가장 급진적인 반(反)원형antitype이 애니미즘에서 발견된다. 애니미즘은 자연과 문화의 구분이 거의 없는 사고방식, 그리고 물체, 자연, 또는 전 우주가 살아 있고 유사 주체화된 것으로 인식하는 세계관에 해당된다. 근대적 세계관은 19세기 말, 식민주의와 과학의 발전이라는 믿음의 정점에서 전근대적인 타자의 이미지로부터 자기 확신을 찾고자 했다. 애니미즘은 타자라는 개념의 현현(顯現)이 되었다. 애니미즘은 “탈신비화되고disenchanted” 객관화, 구체화된 근대성의 세계에 대한 반(反)원형이다. 근대적 관점에서 애니미즘은 앞에서 언급한 경계들이 잘못 이해되거나 -낭만적이고 유토피아적인 방식으로- 그 경계를 탈피한 마술적 변형의 세계를 대표한다.


애니미즘의 문화가 상당히 실제적임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전세계 인구의 40% 정도가 소위 “애니미즘적 믿음”을 가지고 있다- 이를 서구 근대성의 역사에서 설명하는 것은 쉽지가 않았다. 근대 지식과 그 과학적인 원칙들을 담보하고 있는 “자연“과 “문화”, ”주체“와 ”객체“의 구성이라는 기본적인 가정에서 시작한다면, 애니미즘을 ”신념“이나 ”순수한 믿음”으로 규정하는 것 이상의 선택은 불가능하며, 그렇게 된다면 사물들의 객관적인 현실을 파악하는 데 실패하고 종국엔 “심리적인 메커니즘”으로 설명해버리게 된다. 근대적 지식으로 봤을 때 애니미스트는 “객관적 지식”에 도달하지 못한 이들로서 내적 심리적 현실과 외부 세계의 사실을 “잘못” 혼동한 이들이다. 그리고 애니미스트 문화가 기술을 수단 삼아 환경을 정복하는 것을 등한시한다는 사실을 지적한 근대의 발언들 덕에 이러한 시각이 더 지지를 받았다. 하지만 애니미즘을 바라보는 근대적 시각은 철저히 투사에 불과하다. 애니미스트가 현실에 대해 말하는 것을 현실로서가 아니라 자신들의 신념이 기반을 둔 의심할 여지없는 가정 -예를 들어 “바깥의” 세상은 오로지 물질적 법칙을 따르는 중립적이고 무생물의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의 렌즈를 통해서만 평가하기 때문이다.
애니미즘을 전시의 주제로 선택한 결정적인 이유는 이 개념이 서구 근대성이라는 개념의 실제적인 제약이 되는 동시에, 근대 지성계의 과학 원리 분야에서 지식의 인식과 질서에 깊이 새겨져 있는 근대적 현실 원칙에 대한 도발이기 때문이다. 애니미즘의 관습들은 기껏해야 “문화”라는 범주 아래에서 인식되었고, 그것도 우주와 세계의 실제적인 특질에 발언하고자 하지 않는 경우에 한해서였다.


결론적으로 <애니미즘>은 애니미즘에 대한 문화 인류적인 유물들을 진열장에 담아 전시하면서 타 문화가 그들만의 방식으로 살아있다고 주장하는 류의 전시가 아니다. 애니미즘을 전근대적인 타자로 보고 단순히 생명이 없는 물체에 영혼을 부여하는 의미로 잘못 믿고 있는 서구적/근대적 사고는 사실 그 자체로 이 근대성의 근본적인 가정들을 증후적으로 보여준다. 이에 반해 이 전시의 의도는 서구 근대성의 뿌리에 자리 잡은 근본적인 가정들을 비출 수 있는 거울로서 애니미즘 내의 용어와 개념을 살펴보고, 이것이 경계, 그리고 경계를 만들어내는 방식, 기술, 신화들의 산물임을 인식하고자 한다. <애니미즘> 기획은 애니미즘에 대한 제한적인 이해와 그 표현에 대한 근대적 상상들을 반성하고, 또 그에 대한 식민주의적 사고방식에서 탈피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 연계 프로그램



1)큐레이터 작가와의 대담

일시: 2013년 12월 5일 오후 3시

장소: 일민미술관 2층 전시실

강연자: 안젤름 프랑케 Anselm Franke (베를린 세계문화의집 시각예술분과 수석 큐레이터), 안젤라 멜리토폴루스 Angela Melitopoulos (덴마크 왕립예술학교 교수), 마우리치오 라자라토 Maurizio Razzarato (철학자, 사회학자), 박찬경(작가, 미디어시티서울2014 예술감독)


2) 강연 프로그램

주제강연 ①

주제: “DISORIENTATION: the animate image in contemporary Southeast Asia”

강연자: 데이비드 테 David Teh (싱가포르 국립대학 영문학과 교수, 큐레이터)

일시 / 장소: 2013년 12월 13일 오후 4시 / 일민미술관 2층 전시실


주제강연 ②

주제: “제국의 시대를 배회하는 유령들”

강연자: 김수기 (현실문화 대표)

일시 / 장소: 2014년 1월 15일 오후 4시 / 일민미술관 2층 전시실


주제강연 ③

주제: “펠릭스 가타리의 생태철학과 그 실천성”(가제)

강연자: 신승철 (생태철학, 환경철학)

일시 / 장소: 2014년 1월 22일 오후 4시 / 일민미술관 2층 전시실


주제강연 ④

주제: “인간, 사물, 동맹_ 부르노 라투르의 사상”(가제)

강연자: 홍성욱 (서울대학교 생명공학부 교수)

일시 / 장소: 2014년 2월 12일 오후 4시 / 일민미술관 2층 전시실


3) 전시설명 프로그램
큐레이터의 전시설명

일시 / 장소: 12월 10일~31일, 매일 오후 2시 / 일민미술관 1층 전시실

*큐레이터들이 직접 전시 설명 진행


도슨트 프로그램

일시 / 장소: 1월 2일~3월 1일, 매일 오후 2시 / 일민미술관 1층 전시실



기획:  안젤름 프랑케Anselm Franke(베를린 세계 문화의 집 시각예술분과 수석 큐레이터)

전시 및 리서치 협업:  김현진 (일민미술관 학예실장)

후원:  주한독일문화원, 주한독일대사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의:  일민미술관 학예실 (02-2020-2063/2065)


참여작가(국내외 37팀)  애덤 아비카이넨Adam Avikainen, 알 클라Al Clah, 알랭 레네Alain Resnais, 아나 맨디에타Ana Mandieta, 안젤라 멜리토풀로스Angela Melitopoulos, 안젤라 리치 루치Angela Ricci Lucchi, 칸디다 회퍼Candida Höfer, 길초실Chosil Kil, 크리스 마커Chris Marker, 다리아 마틴Daria Martin, 디엑 슈미트Dierk Schmidt, 구동희Donghee Koo, 이동엽Dongyeop Lee, 에르하르트 슈트펠츠Erhard Schüttpelz, 에흘러 보스Ehler Voss, 에릭 슈타인브레허Erik Steinbrecher, 한스 리히터Hans Richter, 하룬 파로키Harun Farocki, 하인츠 쇼트Heinz Schott, 임흥순Heungsoon Im, 박호상Hosang Park, 자크라왈 닐탐롱Jakrawal Nilthamrong, 장 펭레베Jean Painlevé, 지미 더햄Jimmie Durham, 요아킴 쾨스터Joachim Koester, 켄 제이콥스Ken Jacobs, 렌 라이Len Lye, 레온 페라리León Ferrari, 마르셀 브로타에스Marcel Broodthaers, 마우리치오 라자라토Maurizio Lazzarato, 나타샤 사드르 하기기안Natascha Sadr Haghighian, 오토봉 낭가Otobong Nkanga, 박찬경Park Chan-kyong, 파울로 타바레스Paulo Tavares, 김상돈Sangdon Kim, 김수기Suki Kim, 수잔 슈플리Susan Schüppli, 톰 홀러트Tom Holert, 빈센트 모니켄담Vincent Monnikendam, 월트 디즈니Walt Disney, 쿠사마 야요이Yayoi Kusama, 여반트 기니키안Yervant Gianikian


전시기간 2013. 12. 6 – 2014. 3. 2

전시장소 일민미술관 1, 2, 3 전시실

              화요일-일요일 11am-7pm, 신정, 설 당일, 월요일 휴관


오프닝리셉션: 2013.12.5(목) 오후 5시

오프닝   토크: 2013.12.5(목) 오후 3시, 일민미술관 2층 전시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