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자연에 대한 공상적 시나리오 전

  • 전시분류

    단체

  • 전시기간

    2023-09-02 ~ 2024-01-07

  • 참여작가

    강신대, 강홍구, 김효연, 나즈골 안사리니아, 댄 퍼잡스키, 댄 피터만, 리슨투더시티, 무넴 와시프, 박자현, 방정아, 배드 뉴 데이즈, 송호준, 아라마이아니, 아이 웨이웨이, 알랜 세쿨라, 요코 오노, 이미지연구공동체 반짝, 이진준, 인터프리트, 장영혜중공업, 정철교, 조아나 몰, 주재환, 킴 시몬손, 토폴로지컬 아틀라스, 피오나 배너, 황재형, 하룬 미

  • 전시 장소

    부산현대미술관

  • 유/무료

    무료

  • 문의처

    051-220-7400

  • 홈페이지

    http://www.busan.go.kr/moca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부산현대미술관 《자연에 대한 공상적 시나리오》전 개최 

◈ 2023. 9. 2.(토) ~ 2024. 1. 7.(일) 부산현대미술관 전시실2(2층)에서 기획전시《자연에 대한 공상적 시나리오》개최 
◈ 기후위기시대 동시대 미술이 지향해야 할 친환경이란 무엇인지를 모색하는 전시로 국내외 작가 29인/팀 작품 200여 점으로 구성
◈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사회비판적, 참여적 미술의 역사적 계보를 거슬러 동시대 미술에서의 생태정치적 접근 방식 재맥락화 시도
◈ 작가, 관련 분야 연구자, 사회운동가 및 활동가, 시민단체와 연대, 기후위기시대 지속가능한 예술 실천 아젠다를 논의하는 관객 참여형 다양한 전시 연계 프로그램 진행



□ 부산현대미술관은 9월 2일부터 내년 1월 7일까지 미술관과 전시장 안과 밖을 매개하며 기후위기와 동시대 자본주의의 관계 고찰하고, 동시대 미술에서의 생태정치의 가능성을 살피는 《자연에 대한 공상적 시나리오》전을 개최한다.

 ○ 전시는 기후변화의 본격화와 더불어, 정치, 경제, 문화, 사회 전반의 영역에서 친환경 정책이 강조되는 자본주의 시스템의 변화 속에서 동시대 미술이 지향해야 할 친환경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고자 기획되었다.

 ○ 이것은 생태경제학, 탈성장론이 성장 중심의 주류 경제학의 대안으로 등장하고, 자본주의적 삶의 양식 변화를 촉구하는 정치사회학이 강조되는 기후위기시대, 동시대 미술의 사회적 역할과 예술 생산 방식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이기도 하다.


□ 이 문제의식과 함께, 전시는 시장경제 법칙이 자연으로 본격 확대되며 미술이 가장 정치적이었던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사회비판적, 참여적 미술을 거슬러 생태정치의 전개 방향을 살피고, 기후위기시대 유의미한 예술 실천 태도의 준거점을 찾아본다. 

 ○ 이번 전시에는 사회운동가로서 예술가의 면모를 보여주는 국내외 작가 29명/팀의 다양한 장르와 매체의 작품을 선보인다. 출품작들은 공공 캠페인, 현장조사 및 여론조사, 사례분석, 기록과 협업 등 사회학, 정치학, 인류학, 생태학 등 다학제적 연구 방법론을 미술의 지평에 적용, 자본주의 가속화에 따른 환경 문제를 공적 사안으로 간주하며 그 실태를 미술관 제도 안과 밖에서 공론화한다. 

 ○ 이들 작품은 주류 경제학의 차원에서 논의되는 동시대 생태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적 해제 작업을 수행하는 한편, 전시를 위한 시각화, 물질적 구현을 넘어 스스로 사회적 실천의 한 형태가 되기를 자처한다. 전자가 플랜테이션, 광산, 유정, 심해 아래에서 유동하는 자본의 이미지를 가시화한다면, 후자는 노동자, 난민, 자원봉사자, 사회활동가, 정책연구자 등과 함께 기후위기가 초래한 삶 속으로 직접 이행해 들어간다.

 ○ 이를 통해 탄소 환원주의로 소급되는 견고한 유토피아를 가능하게 하는 침공, 점령, 지배, 착취라는 오래된 식민주의, 제국주의, 군국주의 역사의 잔여물과 그 아래 은폐된 부의 흐름을 가시화하고, 기후위기라는 대혼란을 총체적으로 재현해낸다.

 ○ 자본이 생산한 소비재로서 오브제가 아니라, 예술이 스스로를 자본의 “바깥”에 위치시키고, 자본에 맞서 생산한 산물들이라는 점에서 이들 작품은기후위기시대 새로운 예술 방식이자 탈생산으로서 예술이라 부를 수 있다.

 ○ 주요 작품으로는 자연 생태계와 정치, 경제, 사회의 불가분한 관계를 주목하는 한스 하케의 초기작 <투게더>(1969/2013), 부산역 유라시아 플랫폼에서 상영되는 요코 오노의 아티스트 캠페인 프로젝트 <지구야 사랑해>(2023), 미술관 제도 안과 밖을 연결하며 기후위기와 동시대 미술관, 자본주의의 관계 및 을숙도의 현재를 보여주는 댄 퍼잡스키의 <기후드로잉-휴먼 네이처>(2023), 스발바르 시드볼트 시설의 활동 과정을 통해 빠르게 변해가는 북극해 풍경을 담은 김효연의 영상 작품 <끝의 종>(2023), 기후위기라는 만성적 비상사태라는 우리 시대의 풍경 재현을 고민하는 강신대의 <풍경 연구 S#1>이 있다.
 
○ 부산의 도시 정비 정책과 이로 인한 환경 변화, 원자력 에너지 산업과 지역 사회 갈등 등 부산의 도시 개발 역사와 당면한 현안들을 성찰하는 부산의 방정아, 정철교, 박자현의 작품이 함께 소개된다.
□ 미술관은 참여작가, 관련 분야 연구자, 사회운동가/활동가 및 시민단체의 연대를 통해 기후위기시대 지속가능한 예술 실천 아젠다를 자유롭게 논의하고 공유하는 다채로운 연계 행사를 진행한다.
 ○ 전시 연계 행사는 오늘날 친환경 미술관에 내재된 자본의 논리, 자기모순과 한계, 극복의 가능성을 모색하며, 1) 기후위기와 생태자본주의시대, 탈성장론은 실재하는 유토피아인가 2) 기후위기시대, 탈생산으로서 예술 3) 친환경 미술관 : 기후위기시대 비판적 뮤지올로지 세 주제로 구성된다. 
 
○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분야의 전문가 강연, 참여작가 아티스트 토크 및 현장 참여를 통한 투어 프로그램, 지역 청소년 등과 연계한 관객 참여 퍼포먼스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전시 주제 및 작품에 대해 심도 있는 이해와 논의의 장을 제공한다.
 
○ 오는 10월 7일에는 “기후위기와 생태자본주의 시대, 탈성장론은 실재하는 유토피아인가”를 주제로 정치, 사회, 경제, 문화 분야의 전문가 및 활동가의 강연이 진행된다. 한재각(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 , 채효정(『오늘의 교육』 편집위원장), 김병권(기후경제 및 디지털경제 정책연구자, 『기후를 위한 경제학』 저자), 서동진(계원예술대학교 융합예술학과 교수)가 참여하고, 녹색성장론, 그린뉴딜, 탈탄소 경제 등 동시대 자본주의가 친환경을 다루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 생산되는 대안 담론과 정책을 논의한다.



□ 이외에도 다양한 관람객 참여형 체험 프로그램도 마련돼있다.
 
○ 10월부터 부산현대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교실>과 연계, “기후위기시대, 탈생산으로서 예술”, “친환경미술관: 기후위기시대 비판적 뮤지올로지”를 주제로 다채로운 시민 참여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 10월 8일(일)과 11월 25일(토), 26일(일)에는 참여형 버스 투어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참여작가 리슨투더시티의 <을숙도 하구 단면도>(2023)에 담긴 을숙도와 강서구 일대의 풍요로운 생태계를 “습지와새들의친구” 박중록 운영위원장과 탐험하며, 을숙도 일대에 서식하는 새, 도시화, 환경 보호 간의 미묘한 상충을 새로운 시각으로 다가가는 흥미로운 시간을 제공한다.

 ○ 10월 28일(토), 29일(일)에는 인도네이사 작가 아라마이아니가 지역 내 기후에 관심 있는 청소년 및 대학생들과 함께 <깃발 프로젝트> 퍼포먼스를 펼친다. 이번 퍼포먼스는 다양한 공동체가 추구하는 핵심 가치를 담은 깃발을 활용, 환경과 사회적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지역 내 젊은 활동가들이 기후위기와 사회적 가치에 대한 열정을 공유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촉구하는 메시지 전달자로서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강승완 부산현대미술관 관장은 “전시를 계기로 기후위기라는 전 지구적 공통 과제가 우리에게 부여된 이 시기에 인간 중심적 관점을 넘어 자연과의 공생을 고민해야 할 동시대 미술의 현주소를 되짚어보고, 오늘날 미술관이 진정으로 지향해야 할 친환경이란 무엇인지를 함께 사유하기를 바란다”라고 전했다.

 ○ 기타 자세한 문의는 부산현대미술관 누리집(https://www.busan.go.kr/moca/index)을 참고하거나 전화(☎051-220-7400)로 문의하면 된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