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오형근 사진전:소녀연기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순수사진과 상업사진의 경계를 넘나드는 독특한 작업세계
소녀연기(少女演技)

사진가 오형근에게 ‘아줌마’1)는 넘어서야 할 콤플렉스일까, 아니면 든든한 백그라운드일까. 오형근은 ‘아줌마’ 사진작업으로 당시 사회적 신드롬을 재확인했고, 또한 이로 인해 미술계에 이름을 알리게 됐지만 정작 그는 아줌마가 싫다고 말한다. 그런데 사진가 오형근이 이번에는 ‘소녀연기’라는 제목으로 여고생을 찍었다. 그렇다면 ‘소녀연기’는 또 다른 신드롬을 위한 전략일까. 아니면 사회구조에 대한 관심의 발현일까. 또한 작가로 하여금 여고생 작업을 가능케 한 우리 시대의 모습은 무엇인가. 그는 이 작업을 통해 사회의 기득권이 만들어낸 여고생 이미지를 드러내고, 그 밑에 담겨진 은밀한 시선을 이야기하고자한다. 흥미로운 것은 그 들춰진 이미지를 바라보는 시선에는 작가 자신도 있음을 오형근은 부정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오형근 사진작업의 절반은 영화2)에 관련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이 그가 영화적 시선을 잘 잡아내는 능력을 영화인들에게서 인정받는 것인지, 아니면 본래 그의 사진에 영화적 요소가 담겨있는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 무엇이 먼저이던 간에 오형근은 예의 사진작가들과 다른 색채를 지닌 작가다. 그가 미국에 머무르는 동안 찍은, 거리에서 어울리는 미국인들의 모습을 담은 ‘미국인 그들(Americans Them)’이나 영화 촬영현장의 시민 연기자들과 군중을 기록한 ‘광주 이야기(Kwangju Story)’는 작가가 비록 사진의 기본 전제인 스트리트 포토그래퍼(street photographer)로서의 사진을 추구했다 하더라도 다른 사진작가들과는 상당히 다른 면모를 보이고 있다. 미묘한 연출력이 엿보이고, 여기에는 인물의 내러티브가 담겨져 있다.




일민미술관이 마련하는 오형근의 <소녀연기>작업은 이제까지 보여줬던 작가의 연출력을 조금 다른 각도에서 보여준다. 기존의 작업들이 무의식적 연출이었다면 이번의 여고생 작업은 의도적인 연출이라는 점에서 그러하다. 작가는 사진 상에는 잘 보이지 않지만, 무대를 만들기도 하고 장치를 사용하기도 함으로써 여고생 이미지를 형상화하고자 한다. 작가에게 여고생이 지니고 있는 실제 이미지의 진정성에 대한 고민은 무의미하다. 작가는 우리 사회가 만들어낸 표피적 상징으로서의 여고생 즉 소녀 이미지를 마치 채집하듯 잡아내고, 이것을 펼쳐 보이고 있다.

사진가가 갖기 마련인 허구와 실제 사이의 갈등은 더 이상 의미가 없어 보인다. 오히려 <소녀연기>연작은 이 두 요소를 적극적으로 결합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작가는 이번 작업에서 사진의 방법론적인 고민을 넘어, 그의 작업을 자신이 구성원으로 속해있는 사회의 한 현상을 읽어내는 도구로써 그 가치를 살려내고 있다.

교복을 착용한 소녀들은 자신들이 이제껏 익혀왔던 표현능력을 맘껏 발휘한다. 학생 신분의 표식인 교복이 그 일차적 기능에 앞서 권력집단의 취향임을 인식하지 못한 채 렌즈를 향해 정면대응의 소녀연기를 펼친다. 순수하고 풋풋한 향기가 더 아름답다는 것을 깨달을 새도 없이 그녀들은 사회가 쳐놓은 미적 욕망의 그물망에 걸려들어 버리는 것이다. 그렇다고 이를 부정한다는 것은 무모하다. 오히려 반복하여 정렬된 여고생 연작에서 우리는 단정할 수 없는 미지의 아우라를 깨닫게 된다. 오형근은 자신이 지닌 영화적이고 대중문화적 재능을 유감없이 발휘하며 사회의 한 단면을 이야기하고, 우리는 그의 작업을 통해 현실을 확인하고 있다.


김희령│일민미술관 디렉터




1) 오형근은 1999년 <아줌마>라는 타이틀의 개인전을 가졌다. 당시는 사진에 대해 일반인의 관심이 증폭된 시기였는데, '아줌마'라는 흔치않은 주제가 주는 강렬함으로 주목받았다.
2) 오형근은 '꽃잎', '공동경비구역 JSA', '스캔들', 그리고 '장화홍련', '태극기 휘날리며', '실미도' 등 30여 편의 영화 포스터 작업을 했으며, 패션과 광고분야 사진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소녀와 여성

소녀연기는 ‘아이와 여성’이라는 양성적인 구도보다는 ‘소녀와 여성’이라는 좀 더 미묘한 편차에 접어든 여고생들의 초상을 담은 작업이다. 때문에 주로 그들의 손끝과 몸매에 서려있는 여성스런 성장의 징후들과 소녀적인 시선의 교차점을 드러내는데 주력했다. 기본적으로, 나는 이런 모호한 시기에 접어든 여고생들의 정서적인 흔들림을 담고 싶었다.




작업 초기에는 거리에서 만날 수 있는 평범한 여고생들의 모습을 담으려 했으나 미성년자의 초상권 문제로 인하여 작업이 더디어 졌다. 그러나 중반에 접어들면서 연예인을 지망하는 여고생들을 MTM이라는 연예연기학원(演藝演技學院)으로부터 소개 받으면서 좀 더 자유롭게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게 되었다. 사실 이들이 연예연기학원생이라는 특정 그룹에 속해 있기는 하지만, 연기나 사진에 대한 특별한 경험이 없고 아직은 여고생이라는 큰 울타리 안에 들어있어 '여고생'이라는 주제에 어긋남이 없어 보였다. 그러나 2002년 여름부터 작업이 깊숙이 진행됨에 따라 단순히 여고생이라는 범주를 벗어나 이들만이 표출해내는 전면적인 '소녀 演技'를 느끼게 되었다. 그것은 TTL소녀 임 은경이 보여주는 슬프고 아련한 눈매일수도 있고 'DRAMA'라는 CF에서 이영애가 만들어내는 관능적이고 성숙한 시선일수도 있었다.(나는 물음표시선이라고 부른다. “나는 몰라요 세상이 어떤 곳인지” 하는...)

그러나 정말 흥미로운 점은, 이들이 자신들을 어떤 느낌의 소녀로 내보여야 주류 연예 문화 속으로 흡입될 수 있는지를 공식처럼 알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 공식은 그들이 만들어 낸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소녀들이 영화나 TV를 통해서 습득했을 것이라고 느껴졌다. 짐작컨데 이 소녀들의 대부분은 거울이나 혹은 스티커 사진기 앞에서 수십 번도 넘게 임 은경과 이 영애의 물음표 시선을 연습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소녀들에게 이런 시선을 짓게 만드는 주체는 누구인가? 아마도 연예 미디어이고 이러한 연예 미디아를 통해서 여고생들이 소녀처럼 순진하고 순결하게 보이기를 바라는 우리들일 것이다.

오형근 ‘소녀연기’ 중에서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