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OVER THE RAINBOW-그 너머를 보다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무지개 너머에는 무엇이 있을까- 닫혀진 현실의 삶 속에서 사람들은 무한함과 초월을 상상한다. 현실 너머의 세계에 이르고자 하는 인간의 끝없는 욕망과 관심은 우주공간의 정복으로까지 이어지면서 공간의 한계선을 넘어서게 되었다. 디지털 네트워크는 존재하는 모든 지식 정보를 공유하게 하였고 도달할 수 없는 곳의 가상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면서 시공간의 무한한 확장을 가져왔다. 테크놀로지와 생명공학, 정신의학의 발달은 복제를 통해 유한한 삶 너머의 시간까지 연장 하였을 뿐 아니라, 영혼이나 마음의 영역까지 과학적으로 분석하기에 이르렀다.
이전에 범접할 수 없었던 무한의 공간과 미지의 시간이 이제는 현실의 영역 내에 자리 잡았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시선을 또 다시 그 너머로 돌린다. 첨단 테크놀로지 시대 마법과 판타지 소설에 환호하는 이유도 우리에게 내재해 있는 세상 너머에 대한 동경 때문일 것이다. 시공간을 넘나들게 한 매트릭스가 가상공간일 뿐이라는 자각, 신체가 미디어로 확장되고 삶이 복제로 연장되었다 할지라도 인간은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되는 유한한 존재라는 근원적인 믿음, 그리고 합리성의 이름으로 자행되는 전쟁과 살인, 인간의 가치 상실과 분열, 현실의 갈등과 일상의 진부함들은 닫혀 지고 유한한 현실의 공간 너머 무한히 열려진 절대적인 공간을 기대하게 만든다.
이번 Over the Rainbow-그 너머를 보다 전은 현실적인 삶의 유한성으로부터 벗어나 무한히 열려진 초월의 공간을 바라보고자 하는 현대인의 마음을 담은 전시이다. 전시 제목인 'Over the Rainbow'는 바로 무지개 넘어 또 다른 세계, 지각할 수 없지만 존재할 것이라고 믿기 원하는 무한의 세계를 의미한다. 이번 전시 작품들은 거의가 미 발표된 신작으로, 초현실과, 꿈 무의식과 상상의 영역을 묘사하지 않고서도 현실에서 접하는 자연과 인간의 모습, 어둠과 빛의 이미지 등을 통해 현실의 시공간을 넘어선 세계를 바라보고 상상하게 만든다. 특히 이번 전시 작품들 중 몇몇은 숭고(Sublime)의 심리적 경험을 불러일으키는데, 숭고의 본성인 이성으로 도달 할 수 없는 무한성과 초월의 일면을 상기시키기도 하고 그 앞에 선 인간의 유한성을 일깨워 주기도 하며, 현상계 저편을 예감케 하기도 한다.





현대 미술이 찰나적인 세속적 상황과 인간의 유한성을 초월하여 절대적인 영원성을 추구하고, '숭고(Sublime)' 개념을 시각적으로 표상하려는 의지는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어 왔다. 카스퍼 다비드 프리드리히, 윌리엄 터너 등 자연의 숭고미를 드러낸 유럽의 낭만주의 화가들은 압도하는 자연의 역학적 힘을 재현하며 인간의 유한성을 일깨우고 그 너머의 무한한 형이상학적 세계를 암시하였다. 마크 로드코, 클리포드 스틸, 바넷 뉴만 등의 추상표현주의 회화는 구체적인 대상을 제거한 채 거대한 화면과 최소의 색면만으로 이성과 합리성을 뛰어넘는 무한성을 환기시키고 인간의 실존과 비극 너머 숭고함의 감성을 전달하며, 모더니즘의 정신적 위상을 획득하였다. 신체, 성, 일상, 정체성, 테크놀로지 등이 이슈가 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혼성적 양상 속에서도 현대미술은 여전히 신화적인 세계나 마음의 영역에 대한 관심과 표현을 잃지 않고 있음도 사실이다.


현실너머 세계, 보이지 않는 무한과 초월에 대한 일깨움은 역설적으로 현실에서 대면하는 이미지들에 의해 촉발된다. 광활한 산이나 하늘과 바다가 맞닿은 곳에 그려지는 끝없는 수평선을 바라볼 때, 밤하늘 달빛을 올려보거나 어두움 속에서 빛을 체험할 때, 그리고 삶의 마지막 순간 죽음에 임하는 인간의 모습을 대면할 때, 우리는 때때로 세상 너머의 세상을 상기하고 조우한다.

전시 작품들은 이처럼 거대한 자연을 묘사하거나 빛과 색을 표현하며, 혹은 인간의 얼굴을 통해 삶과 죽음을 은유 하거나 시간의 우주적 순환과정을 섬세하게 포착하며, 무한과 초월의 모습을 연상하게 하고 현실과 일상에서 경험하기 힘든 숭고의 감성에 다가서게 만든다. 이들 작품들은 보여지는 것을 통해 보이지 않는 세계를 상기시킨다는 점에서 현실 너머 세계를 열어주는 통로로, 인간의 시지각을 확장해주는 일종의 매개체로 작용한다.





인간과 자연과의 유기적 관계를 회화로 탐구해온 홍순명은 이번 전시에서는 거대한 자연의 모습을 표현한 새로운 풍경화를 선보인다. 외형적으로 높고 광활한 산, 웅장한 폭포, 초월성을 상징하는 구름, 끝없이 펼쳐지는 하늘의 외경스러운 공간을 표현한 그의 회화는 풍경 너머 무한한 세계를 암시할 뿐 아니라, 거대한 자연 앞에서 느끼는 인간의 유한성과 두려움을 내포하는 숭고의 감성을 자극한다.
<이미지 풍경 Imagescape>으로 명명된 일련의 작품들은 신체를 매개로 체험한 실제 자연이 라기보다는 우연히 포착된 이미지로, 사진이나 영화의 배경으로 처리된 디지털 이미지를 캔버스 화면에 유화로 재생산하면서 디지털에 대한 아날로그적 해석을 가한 새로운 풍경화이다. 일례로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영화 <솔라리스 Solaris>의 장면 일부를 회화로 번안한 대형 작품 <이미지 풍경>은 푸른빛의 거대한 바다표면이나 광막한 평원 등의 새로운 이미지를 창출하며 추상표현주의자들의 화면과도 같이 이성으로는 도달 할 수 없는 초자연의 세계를 환기시킨다.



박현주는 사각의 큐브와 그 위에 덧씌워진 회화작업으로 일종의 '회화적 오브제'라 할 수 있는 평면 설치작업으로 주목을 받아 왔는데, 그의 작업의 핵심은 색과 빛이다. 그의 작품에서 발산되는 빛과 색은 질료에 대한 작가의 끈질긴 교감과 실험, 물감을 칠하거나 금박을 붙이는 반복행위의 산물이지만, 그 결과물들은 실제 시간과 공간의 초월을 경험하게 하고 시각을 무한히 확장 시킨다는 점에서 물질성과 비물질성을 동시에 담보한다. 작품 제목인 <내면의 빛 Inner Light>은 비물질성으로서의 이러한 빛의 효과를 집약한다. 이번 전시에서 한 벽면을 채운 70여개의 거울 큐브들은 그 표면이 감각적인 푸른 색조의 그라데이션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측면 거울에서 반사되는 빛과 그림자는 어두움 속에서 일종의 비의적인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템페라 물감의 은은한 색조로 그려진 장방형의 작품에서 네 측면을 두른 금박은 조명을 받아 반사되면서 신성한 에너지를 파생시키고 단순한 장소가 아닌 성소의 느낌을 전달해준다. 작가는 동경예대 유학시절 프라 안젤리코의 성상화를 모사하며 빛과 색의 형상성과 정신성을 내면화해왔다. 중세 이콘화가 발현하는 천상의 빛, 물질과 정신의 구분을 와해하는 숭고한 빛은 박현주의 작품을 읽어내는 키워드이다. 이번 전시에서 그가 설치한 빛과 색의 공간은 공간의 한계를 넘어 형상화 할 수 없는 무한의 공간으로 재해석된다.




샤머니즘을 비롯, 초감각적 지각 세계에 관심을 가져온 우리나라 1세대 비디오 아티스트 김해민은 이번 전시에서는 인물과 자연 풍경이 담긴 독특한 신작으로 현실과 비현실, 삶과 죽음, 시간과 영원의 문제를 풀어낸다. 영적 세계, 초자연의 세계를 체험한 바 있는 노인들의 모습을 10여 년간 영상에 담아온 작가는 삶의 질곡과 영험한 기운이 배어있는 그들의 얼굴을 커다란 스크린에 연속적으로 투사한다. 그들의 얼굴은 삶의 기억들과 그 이후 죽음의 영상을 감지하게 하고, 현실과 초월을 동시에 표현한다. 또한 그 앞에 놓여진 작은 스크린에는 노인들의 메타포로 여겨지는 스산한 풍경들과 이들의 표정이나 몸짓의 연장선상에서 이해되는 또 다른 이미지들을 제시함으로써 평면의 프레임 속에 갇힌 영상을 보다 입체적으로 확장시킨다. 따라서 앞 뒤 스크린으로 상정된 두 개의 공간은 유령과도 같은 이미지들의 넘나듬으로 상호침투하고 접속하면서 경계가 무너진 하나의 공간으로 통합된다. 김해민의 영상작품 속 인물들은 다소 음산한 모습으로 스크린 옆에 설치된 불빛들의 켜짐과 꺼짐에 따라 변화하고, 자연의 소리와 섞인 사운드와 어우러지면서, 전시장 전체는 비현실적인 비의적 공간으로 전환된다. 관람자들은 어둠 속에서 작품들과 반응하며 시간과 공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상황을 경험하게 된다.




비디오 영상 설치작가 한계륜어두운 숲과 미세하게 움직이는 하늘을 배경으로, 차고 지는 달의 우주적 순환 과정을 6개의 유리판 속 액정 모니터에 담아낸다. 달은 오랜 시기동안 동 서양의 문화권에서 조화로운 이상세계의 상징이었으며, 또한 평화와 풍요를 염원하는 구도의 대상이었다. 물리적 정복으로 인해 은폐된 달의 모습이 드러났다 할지라도 달은 여전히 인간에게 '그 너머를 바라보고 상상하게' 만드는 신비의 영역으로 남아있다. 한계륜의 작품에서 달의 이미지는 각기 다른 시간대의 하늘과 숲 이미지와 함께 감지할 수 없을 만큼 느린 속도로 서서히 변화하여, 동양화의 병풍과도 같은 회화적인 정한의 풍경으로 다가온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달의 변화를 서정적이고도 명상적으로 풀어낸 그의 영상설치 작품은 인간의 경험과 이성의 범위를 넘어서는 자연과 우주의 질서를 일깨우며, 또한 그 앞에 선 우리 삶의 유한성을 자각하게 해준다.




이번 전에 출품된 네 명 작가의 자연, 인간, 빛, 우주의 순환을 표현한 작품들은 보이는 것을 통해 보이지 않는 세계를 연상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현실공간과 현실너머의 공간을 이어주는 통로이자 매개체로 작용한다. 관람자들은 이번 전시를 통해 시각에만 의존해 온 세상 너머의 세상, 무한과 초월의 공간을 바라보고 감지하는 기회를 갖게 될 뿐 아니라, 테크놀로지의 현란함과 세속적인 일상 속에 묻혀 잊어버리고 있었던 인간과 자연, 우주의 존재와 그 의미를 다시금 생각해 보게 될 것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